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鍾城粹五輓 綰帶當年事依然一夢中常憐官位晩獨愛古人風塞外三秋別人間萬事空平生知己盡頭白恨難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黃僉知後憲挽 緋玉膺殊典遐齡邁八旬偏蒙指囷義常服掇皮眞鷄黍空留約音容奄隔晨西州他日路花木摠傷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尹參議攀挽 闊步今方展騫騰夙所期如何緣一疾奄忽隔明時仁壽終難恃明徵儘可疑家聲幸有託池上鳳毛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朴和叔書 日昨季胤來傳惠牘兼示先廟移奉時記文奉玩再三如獲拱璧當令兒輩裒輯諸賢所詠作爲一帖以塵高覽也汝吉奄作千古痛悼之懷何可言也吾家中表群從最稱蕃茂而數十年間門禍荐疊到今在世者唯賢與僕之兄弟及公擧一人而已轉眄之間零替至此如我襄朽將死者安得不腸蝕而肝摧哉賢旣不得入洛僕亦局促拘繫歲行今將盡矣無緣相握舒悲中夜起坐不覺簌簌中咽僕命途多釁早喪父母兄弟親戚之樂又復索然每念人間眞一缺陷世界要金友延之書夢齋二字扁諸書室蓋以示吾志也頃者松磵李季周來見曰人之生也萬事皆有實理而君獨以夢扁齋此是蒙莊異道也以惺齋改書付璧而去此公所戒眞是喚醒要訣僕亦受而服之矣及遭吉弟之喪益覺駒隙光陰無異一枕黑甜夢齋之扁將欲復粘於壁上賢可以憐我心事而愍我迷路耶僕自今以來病日甚益鬚髮皆變齒牙盡搖居恒悒悒頓無生趣公罷之後退歸私舍則閉門却掃塊坐一室作一面壁老僧雖子女滿前嬉笑紛然亦未嘗欣愉此是運氣將盡而然耶頃者伯胤之來適飮朝酒數杯醉中口呼書辭語脈無脊文理不續醒而思之誠可笑也使兒輩改書以送幸覽之所寄二絶從當拚和以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趙汝吉文 惟靈名家典刑早受義方孝謹之性行誼出常靑春發軔驥足千里中經顚躓益敦素履脫略榮途視若浮雲人或詆排我獨奇君世運嬗變群陰剝陽洪流一潰莫可隄防吾儕凜凜愞縮囚舌君能挺然忠膽欲裂刳肝一疏可質神鬼衆鏑交集略無懾畏賁育之勇非人所奪天心悔禍泰茅斯拔寵以緋玉擢以天官人皆稱艶君不欣懽每懷謙挹思遂初服云胡一疾遽爾奄忽聞君將逝神氣不隕顧諸稚兒申復家訓脩然觀化弗悲弗戚死生之際尤見素畜嗚呼哀哉昔我中表最稱蕃茂合堂群居和樂相友浮生有涯石火相催轉頭之頃萬事悲哀唯君兄弟左挈右提一日不見惄焉傷懷君憂我憂我喜君喜親愛之篤實均同氣去歲之春君訪弊廬俯仰感慨相與欷歔黔陽小築近君鄕庄携手同歸期與倘佯籠禽未脫晩計猶存君去奚適遽負斯言呼君不譍哭君不識冥然漠然使我腸蝕恢疎之氣耿介之資戢之一木再覿無期平居笑談奄作千古白首踽踽疇與爲伍一爵來奠淚逬聲呑君如不昧庶格斯文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壺谷韻奉呈梅澗 衙退山齋酒滿巵得閒隨處是佳期涼生井葉初凋日月出街鍾欲動時爲挽諸賢欣共榻仍携群弟喜連枝風流不必輸前輩彩筆堪誇五子詩右七夕終南會【是日擧台及舍弟來會故次聯及之和此詩者谷澗華重與不佞爲五人故末句云】病肺猶能近酒巵佳辰爲赴故人期常慙薄劣非三益却喜賢豪共一時把臂仍成竹林會滿頭須揷菊花枝尊前勝事眞堪詑梅老淸談谷老詩右九秋梅澗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城府院君挽 社稷安危際扶持有藎臣文章資黼黻形像畫麒麟事業傾前輩家聲裕後人九重亡鑑慟朝右共酸辛系是名賢後官仍相國尊承家三世貴報主一心存事劇還成疾人亡孰濟屯悽涼舊部曲來哭盡聲呑半夜銀臺報蒼黃下藥時天心胡遽奪國手竟難醫北極宣哀詔東園備葬儀九原應有感身後亦恩私陋巷頻回駕偏知故誼加評詩常過奬憂世每長嗟萬事渾如夢浮生儘有涯西州多少感頭白淚橫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次試院諸君子韻 醉來巾幘任傾斜睡眼瞢騰似隔霞學士淸標疑暎玉薇垣彩筆欲生花衰年蹩躠眞堪笑此日團圓只自誇會待臘梅初發後一尊醽醁更宜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香山悄然相對感念先世德美仍歎處世行己之難徵杯少酣相與聯句廣尹李擇之適來訪故篇末及之此是他日兩家子弟觀感處也 東陽受鴻田【汾】漢水牒南紀【香】蟬聯且赫舃【香】百年無相墜【汾】王謝結姻好【汾】後裔猶趾美【香】相將服庭訓【香】竝武朝端廁【汾】兢惶感聖恩【汾】鞠躬期盡瘁【香】冥升位已崇【香】頩顏常自媿【汾】掌戎旣云重【汾】秉文亦不易【香】絲毫蔑報答【香】耿結心無已【汾】年齡倏已暮【汾】歲月猶隙駟【香】幽居幸卜隣【香】杖屨同行止【汾】世故王紛紜【汾】日夕欣共醉【香】淸襟自曠遠【香】翛然遺萬事【汾】杯盤慰余懷【汾】子弟俱列侍【香】人生貴適意【香】何必紆靑紫【汾】課童讀詩書【汾】毋使追名利【香】孝謹石家法【香】兒輩宜致意【汾】幸有漢南尹【汾】惠然今忽至【香】相對共傾倒【香】不覺移日晷【汾】亦是平陽裔【汾】況復同吾志【香】親愛固如此【香】促坐不須起【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玉山 重侍案 執事峒庵宗謹謝函曏者以花樹之樂僑於藤邨之時一邱隔聞未得日之穩討其於以心相許則乃玉山與峒庵也至於梅山之會是所一生不忘者而平橋暫逢相語而別如非佳緣耶一分百里相阻者凡四朔悵悵然於邑忽於心劃辱墜兼承一序一詩奉讀周篇怳若接淸儀而承敎如狂摳倒不覺傍者之笑也至於無書之責不啻時沕之暇日事怡慢有意未遂者愧何足道古人所謂千里之外朝夕相遇者是心也心已相許則有書無玉何足關哉更惟便后日富重侍體上遠護萬祉 閤節曁洞中諸丈箇箇安寧否懸懸不忘區區伏祝長夏鰲西之遊必是光明之道入於至微之間矣仰賀且羨宗下來此以後親患以火痰暑滯尙未顯效日事刀掛京信之阻如以累朔無非悶鬱傷心處也所謂工夫本其尋常而且何暇於文字耶奈何奈何万万都縮姑此布肅丁酉菊月初六日宗下宅鐘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미년 이동헌(李東憲)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未九月十九日 族末 東獻 宗中 僉執事 癸未九月十九日 李東獻 宗中 僉執事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미년 9월에 이동헌(李東獻)이 담양(潭陽) 종중(宗中) 어른들께 선조 개장(改葬) 일의 불참에 대한 죄송함과 선물에 대한 감사함을 전한 답장 간찰. 계미년 9월에 이동헌(李東獻)이 담양(潭陽) 종중(宗中) 어른들께 선조 개장(改葬) 일의 불참에 대한 죄송함과 선물에 대한 감사함을 전한 답장 편지이다. 피봉을 통해 흥동(興洞)에 거주하는 이동헌이 담양군 대곡면(大谷面) 종중 어른들께 올린 편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편지 서두에는 편지를 받고 서리 내리는 시기에 여러 어르신이 두루 평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위로되었다고 전하고, 이동헌 본인의 안부를 전했다. 자신은 집안의 운수와 신수(身數)가 모두 혹독하여 거듭 참독(慘毒)한 상(喪)을 만나서 애간장이 끊어질 듯하다며 서글픔과 탄식을 드러냈다. 이어 선산(先山)의 개장(改葬)의 불참 문제를 들었다. 지난번 경기도 과천(果川) 청계산(淸溪山) 아래 위치한 광명동(廣明洞)의 개사초(改莎草), 즉 무덤에 떼를 갈아입히는 일은 종중 어른들에 힘입어 마쳤다고 하니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그러나 처음 이 일의 시행 여부를 제대로 듣지 못해 참석하지 못했다고 전하며 죄송한 마음을 표했다. 이어 보내주신 백문(白文)은 아이들의 과거 시험을 준비로 쓰겠다며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과천의 광명동 묘소는 이개(李?)의 무덤이다. 이개는 전주이씨 왕실의 계통으로, 양녕 대군(讓寧大君)과 영일 정씨(迎日鄭氏)와의 사이에 태어난 장자(長子)이다. 순성군(順城郡)이라 봉(封)하였고, 작위는 흥록대부(興祿大夫)에 이르렀으며, 시호(諡號)를 희안(僖安)이라 증(贈)하였다. 나이가 들어 과천 청계산 아래 광명동으로 물러나 사시었다가 돌아가시자 이곳에 장사하였다. 배위(配位)인 평산 신씨(平山申氏)는 경연지사(慶筵知事)인 자경(自敬)의 따님인데 자손이 없었고, 배위인 군부인 영일 정씨(迎日鄭氏)는 참의(參議) 종성(宗誠)의 따님이요,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손녀로 4남을 두셨다. 장남은 오천군(烏川君) 사종(嗣宗), 차남은 헌양군(巘陽君) 사조(嗣祖), 3남은 포산부정(苞山副正) 사원(嗣源), 4남은 이산부정(伊山副正) 사성(嗣盛)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舍弟赴燕 悠悠遠行邁惻惻臨路岐蕭蕭征馬鳴杳杳燕山陲乾坤久閉藏冠蓋紛相馳所憐寒士妻默默空長咨都門設祖帳親愛咸追送嘉肴旣充豆旨酒且盈甕羲馭欻西傾行色何倥傯紛然離思集淚眼徒瞢瞢西關佳麗地樓觀何崔嵬綺筵爲君設華觴爲君開綽約如花女珠佩雜瓊瑰妖冶解媚人勖君宜愼哉鶻峀高無極龍灣深不測方艫濟三江咫尺限封域依依戀鄕邑窅窅迷京國曠野莽空闊四際雲煙黑迅駟不留蹄急輅無停轍行行猶未已遑恤饑與渴衝飆振四野陽煦變陰冽羈思苦搖搖且置勿復說鷄鳴陟脩隴日沒投穹廬飛沙塞平路濁流漲深渠飄颻歎孤征憂思鬱未舒殊俗動駭矚悵然思歸歟驅車入燕關城郭一何壯螮蝀橫太昊環觀儘無兩高樓縱極覽天水共蕩漾一身杳如粟浩嘯空流悵朝餐灤水陽夕宿金臺傍淸風已綿邈俊士難翺翔氛陰漲海宇豺虎恣猖狂呼天窅冥冥泣涕垂滂滂膴膴藏聖地哀哀沒胡塵園寢化爲墟松柏化爲薪牧豎上丘壟躑躅而悲呻拊膺氣紆軫咄咄難重陳周墉遶丹闕鬱鬱連雲空神聖繼鴻基玉帛朝法宮崇替欻變遷百年竟爲戎魯連死已久悵望滄海東稅駕入蠻館沁沁經朝昏縱有奮飛翼幽馽似籠樊傷時涕欲澘念舊聲已呑所冀愼行李努力如盤飧君子仗忠信可以行蠻貊少年貴壯遊豈歎爲遠客使乎不辱命宿昔誦三百去矣厲素志暫別非所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諸公韻賀吳尙書周甲弄璋之慶 雅度溫溫德美全公家福慶豈徒然同庚父子眞奇事天意應存降嶽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同知慶壽宴詩 成同知令丈中年投紱屛跡閒居以杯觴自娛年至八耋有子五人其二擢文科其二方爲守宰最少者亦登仕籍福履之盛爲世所稱今仲春中浣公之諸胤爲設慶壽宴余亦參席聊占一律以記盛事賦就歸來養性靈超然高臥醉還醒明廷寵秩齊卿月南極休祥耀壽星竝躍龍門聯喜慶雙飛鳧舃共歸寧華筵賀客金貂滿爭把莊椿更祝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喜雨 三月江干雨未休田疇漠漠水爭流從知天道相回換庶見今年麥有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哀龍兒 爾何爲吾子我何爲爾父乍來旋又去使我心腸腐六歲氣頗壯阿睹精英聚謂言且成立庶可持門戶一疾竟未瘳奄忽成千古依依舞彩衣欲見無所覩平生所愛玩資送委諸土我亦稍識理亦能忍悲苦人生到此際死滅寧爲愈曉起送爾去蒼茫江月午一去不復返汝能忘汝乳【此兒以末子嬌愛最深時吮其母無汁之乳故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驪陽府院君挽 名家詩禮早蜚英黼黻王廷士望傾毓德已膺沙麓慶傳經頻見鳳毛榮忽驚箕尾收精爽共惜朝端失老成最是潘楊情好篤不堪題挽淚縱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尋傳燈寺贈僧 理屐酬佳節行行到夕陽河山收暑氣原墅染秋光漸覺年華促其如顏貌傷聊因竹院話襟抱却淸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生昌立挽 久知丹穴鳳毛奇好物無堅理莫推最是還臺丞相哭路人於此亦沾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桑楡錄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