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壺谷梅磵生辰盍簪韻 自詑吾儕士賢豪際一時眼靑宜共樂頭白不須悲爛醉三杯酒耽看半日棋慇懃留後約梅發是爲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石門三疊韻 炎涼消息閱庭蓂身世居然逼暮齡鏡裏衰容愁鑷白人間要路厭紆靑空思海客隨鷗社未學臞仙鍊鶴形聞道南江春水闊一蓑煙雨夢寒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李督郵鳳來惠酒 故人情義薄雲高酒壘詩壇興亦豪遺我一尊知有意急持觚爵任陶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錦平尉朴公燕 先朝禁臠幾人存銜命公今出塞垣望入白雲懸遠念夢回丹陛惱歸魂盧龍古磧塵沙漲駿馬高臺草樹繁莫向春風懷往事山河擧目自聲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尹參判【趾善】赴燕 侍郞銜命下瑤墀扶病都門餞一巵每惜中年頻作別可堪今日又臨岐行經鴨水書難到路盡燕山夢亦遲好保千金完使事莫將征旆滯歸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安尉遷葬挽【進退格】 杖屨追陪歲幾更秪今魂夢想儀形承家文彩諸郞秀幹蠱聲名入座榮久識福門天有餉改營眞宅地應靈千秋江漢風流遠悵望秦樓淚自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任文仲韻 靑眼經秋久未開故人消息幾時回功名不借將軍樹野趣空憐處士梅東里琴尊虛歲月南蹊風雨長莓苔金門亦可成眞隱莫向山中謾去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別李參判選赴燕 蘭臺竝直夢悠悠多病年來共白頭尙歎巷南頻阻面可堪關外又離憂音書已判三江隔道路寧論萬里脩怊悵都門一尊酒凍天斜日易西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君見昨自潭邑去書大略說布似又先抵矣今又龍奴起送而欲作家書意萬重者古人正謂我心擧筆欲言者甚多還未能奈何所謂會事只是付言而今自又爲應製云前榜汝曺皆山外念換錢事如昨書外無他言則如此爲料出給無至見困於彼也家中事必多難處而但安心做去吾行可謂進退維谷不得不留待開正而這間冗費何以出辦衣服又一難事歲內自昌邑探其信便一襲衣付送爲可此間經歷細問于此奴可知矣餘不一一至月卄五日 舍兄書丁春又有他書簡事待數自云耳同福山訟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父主前 上白是日前朴參奉便上書下鑑否霖雨支離伏未審比辰氣軆候一享萬安痢患餘症快完否伏慕區區不任下誠之至子眠食無恙伏幸何達潭兒際此放學敎師歸家申生亦歸傍無助益渠自無聊故伴隨海南學生閔議官慶鎬子姪也今日送白浦留五六日後使歸勤上來耳雖無誠稍知向學而今年期得漢語卒業明年使學英語則似得四五年切力然后可成而學費雖困難如此敎育則一平生無碍生計亦在其中耳 下諒伏望餘不備上白是癸丑六月二十二日子光秀上白潭兒名以爀一字改定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7년 이택종(李宅鐘)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酉菊月初六日 宗下 宅鐘 丁酉菊月初六日 李宅鐘 李光秀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 9월에 이택종(李宅鐘)이 종인(宗人) 이광수(李光秀)에게 안부 등을 전한 간찰. 1897년 9월에 이택종(李宅鐘)이 종인(宗人) 이광수(李光秀)에게 안부 등을 전한 편지이다. 지난번 화수회(花樹會), 즉 친족모임이 있었는데 참여하지 못한 아쉬움을 전하고, 저의 마음을 서로 알아주는 이는 옥산(玉山, 이광수 호)이라고 하며 친근함을 표현하기도 했다. 지난번 매산(梅山)의 모임은 일생에서 잊지 못할 만남이었으나 평교(平橋)에서 잠깐 상봉하고 헤어져 아쉬움이 들지만, 이 또한 좋은 인연이었다며 위로하기도 했다. 이어 말하길, 백 리의 거리를 두고 서로 떨어져 지낸 지 4달이 지나 그리워하던 중에 이광수가 읍으로 보낸 편지와 서문(序文), 시(詩)를 받아 읽어 보았다고 하였다. 이 글들을 보니 황홀하여 마치 청아한 모습을 대하는 것 같았다고 기쁨을 표시했다. 또 가르침을 받고 매우 기뻤으나 그간 답장을 하지 못한 사정과 죄송한 마음을 전했다. 이어 이광수의 안부를 물은 내용이 보인다. 조부모님과 부모님을 모시고 잘 지내고 있는지, 식구들과 마을의 여러 어르신은 두루 안녕하신지를 물어 이광수의 식구뿐만 아니라 문중 어르신의 안부까지 두루 챙겼다. 또 여름에 오서(鰲西)의 유람은 반드시 광명(光明)이 되었을 것이니 축하한다고 하며 부러움을 드러냈다. 이어 이택종 본인의 안부를 전하기를, 아버지께서 화담증(火痰症)을 앓고 계시는데 특별한 효험을 보지 못해 걱정된다는 말과 서울 소식이 몇 달 동안 막혀있어서 답답하다는 것, 공부는 일상적으로 해야 하는데도 문자를 접할 겨를이 없다는 내용 등을 전하면서 편지를 마쳤다. 이광수(1873~1953)의 호는 옥산(玉山), 자(字)는 미중(美中)이다. 부인 죽산안씨(竹山安氏)와의 사이에 외아들 혁(爀, 1898~1977)을 두었다. 노사학파의 일원인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인이다. 1900년에 경의문대(經義問對)로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로 되었으며, 계몽운동가인 양한묵(梁漢黙) 등과 교유하면서 신학문에 뜻을 두고 개화(開化)에 앞장섰다가 송사에게 파문(破門)을 당하기도 했다. 일제의 강제 병합을 목격하고 고향에 돌아와 후학을 양성하며 여생을 보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平尉山亭次諸公韻 靑平沈都尉搆數椽茅亭於西園雜植花卉當其艶陽之節紅紫交映宛然在錦帳繡幕中公時與諸名勝讌集觴詠以樂東郭息庵壺谷西河諸公各賦三絶掛諸楣間公手書其詩要余續和而適有公私冗務久未奉副公歿數年後得其古紙於箱篋中轉頭之境已成千古不能無杜陵人日之感忘其蕪拙步送其韻於公之兩胤非謂曰詩不忍孤幽明之托云爾鳳凰樓觀是仙家鳳去無人管物華唯有東風尋舊跡春來開遍滿園花池臺寥落鳥爭喧白日閑花鎖舊園惆悵朱門老賓客此生何處更源源無端人事海成桑宿草丘原閉若堂最是沁園來去路不堪隣笛鬢成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族姪申就萬 簪組相聯八百年東陽家世共稱賢看君氣度非凡士勤讀詩書報祖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鶴有感 摧殘羽翮鎖樊籠悵望雲山在眼中中夜獨鳴池上月羈懷何似未歸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遠望晩吟 客懷悽切怯秋風故國山河似夢中五百年來無限事暮煙蕭瑟草連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彝仲疊示韻 富貴何曾願耕桑可救饑自無匡世略空詠考槃詩江海君仍病風塵我已衰平生飛動意漸覺日低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南仲輝凶報 羨君今日了塵緣身後猶堪號酒仙歸去泉臺多故友昔年驩樂定依然城西一別夢依依病裏傳書淚半滋浮世百年泡影盡相從唯有九原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別李郞赴箕城 春雨蕭蕭不勝情與君留醉欲無醒遙知行到箕城日錦繡山前草已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僉知弘一挽 八袠延遐算名家有典刑貂緋膺寵秩蘭玉滿階庭屛跡身無累忘情沒亦寧平生坐隱處寥落閉孤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維揚使君送雉酒 珍重神明宰慇勤問禿翁淸尊分綠蟻嘉味餉華蟲俗眼寧嫌白衰顏暫借紅多君有好意不讓古人風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