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39년 한병수(韓秉秀) 통지서(通知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韓秉秀 崔濟千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275_001 1939년 11월 10일 한병수(韓秉秀)가 최제천(崔濟千)에게 보내는 통지서(通知書) 영광군 영광면 우평리(靈光郡 靈光面 牛坪里)에 사는 청주한씨 종중 대표(淸州韓氏 宗中 代表) 한병수(韓秉秀)가 영광군 법성면 법성리(靈光郡 法聖面 法聖里)에 사는 최제천(崔濟千)에게 통지하는 내용 영광군 법성면 덕흥리(靈光郡 法聖面 德興里) 山 18번지와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靈光郡 法聖面 新庄里) 山 105번지가 인접하여 실측경계감정(實測境界鑑定)한 결과 상의협정(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6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會 李時同 2顆(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6년 1월 19일에 해남군 삼산면 창리(海南郡 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해남군 삼산면 농회 (海南郡 三山面 農會)에 임야세(林野稅)를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8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7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에 12월 24일에 창리(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납부하고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상태: 월일에 해당하는 숫자와 計 5,935는 파란색 볼펜으로 적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縣內二道面 第 白也峙里戶籍單子第 統第 戶 幼學李國煥 年三十九丁丑 本驪州父 學生 大休祖 通訓大夫行漢城府參軍 洺曾祖 通訓大夫行高城郡守江陵鎭管兵馬同僉節制使 叔鎭外祖 學生尹弘美 本海南妻金氏 年三十七己卯 籍扶安父 成均生員 錫昌祖 學生 㝡曾祖 成均生員 晩壽外祖 學生吳重勳 本咸陽仰役奴中元 年甲子 父班奴石生 母班婢分花 奴每同 年甲戌 父班奴奉立 母良女名不知 奴塔君 年乙酉父母上同 婢正德 年辛巳 父班奴已生 母良女名不知 買奴時同 年癸酉 父班奴七生 母私婢日春 婢六春年戊寅 父母上同 奴豆阝乭 年癸未 父班奴守男 母班婢三礼 婢天德 年庚寅 父班奴天位 母班婢次西非 奴天貴年丁丑 父母上同 婢每礼 年乙酉 父班奴每龍 母良女名不知 婢雪今 年辛卯 父私奴名不知 母班婢守今 奴貴金年戊辰 父班奴奉上 母良女名不知 奴所回 年乙未 父班奴武奉 母班婢萬香 外居秩 海南奴奉龍 年甲子 父班奴奉金 母班婢甲辰 奴已金 年己巳 父母上同 婢件里介 年乙酉 父私奴思郞金 母班婢分香 奴聖才 年 父良人高春山 母班婢貴礼 光州板橋婢士今 年 母班婢礼 父名不知 婢莫今 年 父母上同 奴泛徵 年 母班婢士今 父名不知 婢厚愛 年 婢加伊德 年 父母上同 婢礼德 年 母班婢莫今 父名不知 康津婢每德 年 父班奴奉立 母良女名不知 婢漢西非 年 父私奴漢山 母班婢每德 古今島奴元正 年 母班婢月香 父私奴名不知 珍島婢丁西非 年辛未 父班奴戒日 母班婢時良 奴丁元 年甲戌 奴已命 年戊子 非培上 年庚寅 父母上同逃亡秩 婢石丹 年 父張義先 母班婢愛香 婢分今 年 父名不知 母班婢石丹 己丑逃亡 比今 年五十父千立 母班婢漢城非 奴乙閏 年 母班婢比今 父名不知 庚子逃亡 婢分德 母班婢分香 父私奴士郞金 戊申逃亡己卯四月 日 出[着押][海南縣監之印][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7년 이시동(李時同) 가영수증(假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閔泳旭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7년 2월 4일에 소작인(小作人) 이시동(李時同)이 받은 가영수증(假領收證) 벼 4가마니 18근을 받은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79년 동면(東面) 향약계안(鄕約契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9년 6월에 東面에서 작성된 鄕約契案. 동면에 향약을 조직한 배경과 이유, 준수해야할 조목, 임원 명단이 각 里별로 나열하여 수록한 내용 *柳泰根 향약 序文이 수록되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87년 대강면(大江面) 회의록(會議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87년에 大江面에서 작성된 會議錄. 정기적으로 발생한 면계의 회의 내용을 수록한 내용 *문서철 형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41년 한씨문중(韓氏門中)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金亨振 韓氏追慕兩齋門中 5顆(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2월 4일에 발행한 한씨문중(韓氏門中) 계약서(契約書) 영광군 묘량면 덕흥리(靈光郡 畒良面 德興里) 484번지 답으로 땅값으로 254원 88전을 매도대금 1,593원으로 매도(賣渡)하기로 계약하는 내용 매주(賣主): 김형진(金亨振), 김경두(金慶斗) 매주(買主): 청주한씨 문중(淸州韓氏門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미년 원동면(元東面) 창명회금수지부(彰明會金受支簿)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미년 3월에 元東面에서 작성된 彰明會金受支簿. 儒道彰明會 회금의 수입과 지출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0년 허빈(許彬) 차첩(差帖) 고문서-교령류-차첩 光州牧使 許彬 牧使<着押> 光州牧使之印 3顆(7.0×7.0), 帖字印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0년(고종 17) 10월에 광주목사가 허빈에게 발급한 차첩 1880년(고종 17) 10월에 광주목사가 허빈에게 발급한 차첩이다. 허빈을 삼소지면(三所旨面) 면의 사수(社首)로 임명하니 이를 따르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허빈(許彬)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使 許彬 牧使<着押> 光州牧使之印(7.0×7.0)周俠改印(17.7x5.5)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5년에 허빈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 885년(고종 22)에 허빈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허빈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정해생(1827)이다. 호주의 이름과 생년·본관을 적은 뒤 사조(四祖)와 가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拾壹年 月 日 光州牧考乙酉成籍戶口帳內 北面三所旨海山村 住第六統第一戶幼學 許 彬 年六十九丁丑 本陽川父 學生 寬祖 學生 沃曾祖 學生 璞外祖 學生 金宗鎰 本光山妻 金氏 歲六十九丁丑 籍慶州父 幼學 學鉉祖 學生 一泓曾祖 學生 英孫外祖 學生 河永淸 本晉州率子 幼學 燮 三十二甲寅婦 金氏 歲二十九丙辰 籍光山等 壬子戶口相準 印牧使[着押][光州牧使之印][周俠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정유년 장홍(張弘)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張弘 興陽縣監 <押> □…□ 5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유년 10월에 장홍(張弘) 등 26명이 흥양현에 올린 상서(上書) 정유년 10월에 장홍(張弘) 등 26명이 흥양현에 올린 상서(上書)이다. 주요 내용은 무술년에 장홍(張弘) 등이 올린 상서(上書)와 같다. 상서에 대해 흥양현감은 향약(鄕約)이 거듭 폐해지니 상서의 내용의 지당하다고 하면서, 다만 도적에게 활을 쏘고 총을 쏜다는 두 글자는 과한 것 같으니 장(杖)을 치는 것으로 족하다고 하였다. 이어서 이전에 보낸 전령(傳令)을 한문과 언문으로 반포한 것이 있는데 향촌에서 잊은 것 같으니 도회(都會)에서 다시한면 효유(曉諭)하라고 처결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0년 광주목사(光州牧使) 완문(完文) 고문서-증빙류-완의 光州牧使 使<着押> 光州牧使之印 5顆(7.2×7.2)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0년 6월에 광주목사가 발급한 완문 1860년(철종 11) 6월에 광주목사(光州牧使)가 발급한 완문(完文)이다.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하성채 가문에 발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완문은 예조에서 광주목에 보낸 관(關)의 내용을 근거로 한다. 고(故) 하성채의 부인 남씨와 하달채의 부인 김씨의 효행에 대해서는 이미 정려의 은전을 내렸으므로, 자손들의 연호잡역을 면해 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完文爲永久遵行事 卽到禮曹 啓下關內 光州故士人河聖采妻南氏·河達采妻▣▣▣(金氏孝)愈卓異 已蒙旌閭之典是如乎 其子孫家烟戶雜役 依例蠲除之亦敎是如乎 孝烈如是卓異 已蒙旌閭之典 又有除役之關 奉行之道 在所當念▣▣▣與閭直一戶烟戶雜役·還上等 特爲蠲除 依此遵行 宜當者庚申六月 日使[着押][光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