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35년 이국환(李國煥)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李國煥 [海南]縣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35년 4월에 이국환이 해남현에 제출한 호구단자 1735년(영조 11) 4월에 이국환이 해남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이국환의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정축생이다. 호주의 이름과 생년·본관을 적은 뒤 사조(四祖)와 가족, 소유노비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축년(己丑年) 혼서(婚書) 2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376_001 기축년에 대례일(大禮日)을 적은 혼서(婚書) 존안(尊鴈)과 납폐(納幣)는 대례와 같은 날인 己丑年 11월 20일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7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4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會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7년 8월 12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4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4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7월 27일에 창리(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48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62년 동면(東面) 향약계안(鄕約契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2년 3월에 東面에서 작성된 鄕約契案. 동면에 향약을 조직한 배경과 이유, 준수해야할 조목, 임원 명단이 각 里별로 나열하여 수록한 내용 *柳泰根 향약 序文이 수록되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使訓鍊院都正▣▣▣(行通訓)大夫星州判官兼星州鎭管兵馬僉節節制使秃用守城將丁春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義禁府訓鍊院▣…同治六年六月 日忠節卓異加 贈事承傳[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1년 유사 분정기(有司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1년 9월 20일부터 1943년 9월 20일까지 有司分定記. 綾州祭享行員, 細洞祭享餠有司, 細洞祭享魚肉有司의 명단을 기록함 *총 13장이 가철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6년 홀기(笏記) 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6년 10월에 祭祀의 진행 순서를 작성한 笏記. 祭祀 진행 순서, 初獻·亞憲·終獻 등 제사에 참석 명단인 執事榜, 각종 제사의 祝文 등을 기록함 *총 8장이 가철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7년 정춘(丁春)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丁春 施命之寶(10.0×10.0)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7년 6월에 정춘을 자헌대부·병조판서 겸 지의금부 훈련원 ▣…▣로 추증한 문서 1867년(고종 4) 6월에 정춘을 자헌대부·병조판서 겸 지의금부 훈련원 ▣…▣로 추증한 문서이다. 문서의 결락이 있어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 이 문서의 왼편을 보면 '충절탁이가증사승전(忠節卓異加贈事承傳)'이라는 표현이 쓰여 있는데, 이는 정춘의 충절이 매우 뛰어나 이 품계를 더해주었다는 사실을 의미다. '승전'에서의 '전'은 왕명(王命)을 뜻한다. 정춘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화(士華), 호는 송암(松巖), 시호는 충의(忠義)이다. 전남 여수에서 출생하였다. 1588년(선조 2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종형 정철(丁哲, ?~1595), 종질 정대수(丁大水)와 함께 이순신 장군 막하에서 유격장으로 활약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허병(許炳)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高宗 許炳 施命之寶(9.0×9.0)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허병(許炳)을 통사랑·건릉참봉에 임명하는 고신(告身) 허병(許炳)을 통사랑·건릉참봉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고신(告身)이다. 문서 발급일은 광서 19년(1893) 정월이라고 적혀 있다. 이 문서의 연호 위에는 시명지보(施命之寶)가 날인되어 있는데, 인장의 모양이 당대 통용된 시명지보와 차이가 있고, 본문의 필체가 고르지 못하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許炳爲通仕郎健陵參奉者光緖九年正月 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소지(所志) 초(草)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성수(成守)가 형이나 숙부와 교류없이 남처럼 지냈음에도 도조(賭租) 횡령 등 다양한 죄를 저지르자 순검이 형과 숙부의 집에 찾아와 매년 기물을 탕진하는 것이 억울하다고 호소하는 연도 미상의 소지(所志) 초(草) 미상의 작성인이 성수의 악행으로 인해 그 형과 형수의 집을 순검이 해마다 찾아오는 것이 부당하다고 호소하기 위해 작성한 연도 미상의 소지 초이다. 고발의 주요 내용은 성수가 신축년의 도조(賭租 남은 돈 4천 냥을 사음(舍音)일 때 어디엔가 사용하였고, 상납해야할 돈 가운데 150여 냥을 무엄하게 독살[石箭]을 쌓는 데에 사용하였으며, 황소 여러 마리와 3백 냥 값의 배를 타 지방에 숨겨 두었고, 돈은 어디에 숨겼는지, 집 주변에 있는 텃밭[基田] 20여 마지기를 전당 잡혀 사채(私債)를 썼고, 왕세(王稅)로 쓸 공전(公錢)을 함부로 가져다 처자식과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었다는 것이다. 결국 관에서 순검을 보내 그의 형과 숙부의 집에 쳐들어가 온갖 집기들을 모조리 탕진하니 잔약(殘弱)한 형과 숙부가 어떻게 목숨을 보전하겠느냐고 반문하는 내용이다. 순검은 갑오경장 때에 신식 경찰제도가 실시되면서 설치된 경찰 관직으로, 1907년에 순사(巡査)로 바뀌었다. 순검의 기본임무는 민(民)의 피해 예방, 건강보호, 방탕음일(放湯淫逸) 제지, 국법을 범하고자 하는 자를 은밀하게 탐포(探捕)하는 일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1년 한문교(韓文敎) 신청서(申請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文敎 靈光郡守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1년 5월 9일에 한문교(韓文敎)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리는 신청서(申請書) 분묘수호용위토(墳墓守護用位土)를 신청하는 내용 분묘 소재지(墳墓所在地): 영광군 법성면 입암리(靈光郡 法聖面 笠巖里) 87-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成守爲人外若有義而內多利欲其兄其叔視若路人也辛丑年賭祖(租)舍音時餘錢四千餘兩用於何處㫆上納錢中一百五十餘兩無嚴截之防築石箭ᄒᆞ며黃牛累隻果價三百兩船隻隱置外方ᄒᆞ리錢隱置以何與此之家前後左右基田二十餘斗落私債執典爲名ᄒᆞ고王稅公錢無嚴犯ᄒᆞ야與其妻子飽食煖衣ᄒᆞ다갸至於末境官差巡檢驅入兄家叔家ᄒᆞ야盡蕩什物年復年來ᄒᆞ니弱兄殘叔何以保全乎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