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8년 고시달(高時遠)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高時遠 光州牧使 行使<着押> [光州牧使之印] 3顆(7×7)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8년 10월 25일 고시달 등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 1808년(순조 8) 10월 25일 고시달 등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이다. 광주 거점(巨岾)에 사는 하성채(河聖采)와 하달채(河達采) 형제, 그리고 그들의 부인의 특별한 효행을 기리며 정려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광주목사는 25일 내린 처결에 행적이 이와 같다니 매우 가상하다고 하면서, 이를 감영에 보고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67년 동면(東面) 조선전절목(造船錢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興陽縣監 東面 官<押>座首 張 <着名>, 一別監 宋 <着名>, 二別監 宋 <着名>, 戶長 朴禎煥 <着名>, 吏房 金台河 <着名>, 承發 朴茂石 <着名>, 戰船代將 金處煥 <着名> 興陽縣監之印16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7년 8월에 흥양현에서 동면에 발급한 조선전절목 1867년(고종 4) 10월에 흥양현에서 동면(東面)에 발급한 조선전절목(造船錢節目)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70년 동면사창구폐절목(東面社倉捄弊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興陽縣監 東面 官[押]座首 宋 [着名] 一別監 丁 [着名], 二別監 林 [着名], 戶長 朴承煥 [着名], 吏房 申承模 [着名], 承發 李鎭奭 [着名] 興陽縣監之印12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0년 9월에 흥양현에서 동면에 발급한 사창구폐절목 1870년(고종 7) 9월에 흥양현에서 동면(東面)에 발급한 사창구폐절목(社倉捄弊節目)이다. 사창은 조선시대 각 고을에서 환곡을 저장해 두던 창고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71~1885년 대강면(大江面) 집강안(執綱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大江面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1년부터 1885년까지 大江面 執綱 명단을 기록한 大江面 執綱案. 연도별로 都察과 公員의 명단을 열거하여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소지(所志) 초(草) 3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성수(成守)가 형이나 숙부와 교류 없이 남처럼 지냈음에도 도조(賭租) 횡령 등 다양한 죄를 저지르자 순검이 형과 숙부의 집에 찾아와 매년 기물을 탕진하는 것이 억울하다고 호소하는 연도 미상의 소지(所志) 초(草) 미상의 작성인이 성수의 악행으로 인해 그 형과 형수의 집을 순검이 해마다 찾아오는 것이 부당하다고 호소하기 위해 작성한 연도 미상의 소지 초이다. 고발의 주요 내용은 성수가 사음(舍音)일 때 신축년의 도조(賭租) 천 냥을 어디엔가 사용하였고, 상납해야 할 돈 가운데 150여 냥을 무엄하게 독살[石箭]을 쌓는 데에 사용하였으며, 황소 여러 마리를 바깥에 숨겨 두었고, 집 주변에 있는 텃밭[基田] 20여 마지기를 사채(私債)로 전당 잡혔으며, 왕세(王稅)로 쓸 공전(公錢)을 함부로 가져다 처자식과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었다는 것이다. 결국 관에서 순검을 보내 그의 형과 숙부의 집에 쳐들어가 온갖 집기들을 모조리 탕진하여 잔약(殘弱)한 형과 숙부가 목숨을 보전할 수 없게 되었으니 순검께서 분명하게 살펴 원통함이 없게 해달라는 내용이다. 순검은 갑오경장 때에 신식 경찰제도가 실시되면서 설치된 경찰관직으로, 1907년에 순사(巡査)로 바뀌었다. 순검의 기본임무는 민(民)의 피해 예방, 건강 보호, 방탕음일(放湯淫逸) 제지, 국법을 범하고자 하는 자를 은밀하게 탐포(探捕)하는 일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47년 광주목(光州牧) 유안(儒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1847 光州牧 使<着押>, 執綱 李<着名>, 李<着名>, 李<着名>, 朴<着名> 光州牧使之印 광주 광주향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7년 12월에 光州牧에서 작성한 儒案. 光州牧의 儒生 명단과 光州鄕校의 校生 명단을 수록함 성명 위에 干支와 仚 또는 仚을 기재하여 사망 여부와 연도를 수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大江面興陽縣査徵錢均布捄弊節目[馬牌]2)節目本邑壬癸荐歉之後 無亡軍丁二千餘名番布 徵隣族 民不聊生 故前前官尹等時 毋論島陸班常 通同均布 而繼又前官任等時 別定儒品有司 査得閑丁 塡充無亡後 實無亡一千四百一名 仍定均布 措處儘好 而有何恠鬼輩 乘其遞歸之後 毁破揭板 燒燼成案 首倡者幾人 拈出嚴勘 以警海3)俗 而無亡軍丁段 通一境均布 永爲定式爲在果 甲寅以後 兩稅色吏及三倉色吏處 今番査徵錢一千二十兩內一百七十六兩四戔 以本邑籍費不足條 出給補用 今式段 籍費名色 切勿擧論 俾有補民之實效 而在錢八百四十三兩六戔 均布補弊次 玆以出給 派給各面 以稍饒勤幹者 擇定有司 並與來去 用餘錢六十二兩六戔 而使之三分殖利 兩等取息補用均布之意 成給節目爲去乎 依此永久遵行 宜當者丁巳十月 日此亦中 講信日子 春則正月二十日 秋則七月二十日而仍本取利 利錢段 面任收合來納爲矣 有司之仍存改遞間姓名成冊春秋修報 俾無差錯次御史[着押][馬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72년 동면(東面) 향약안(鄕約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2년 6월에 東面에서 작성된 鄕約案. 동면의 각 里별 都察과 執綱의 명단을 나열하여 수록한 내용 *第二號東面鄕約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한규흥(韓圭興)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圭興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11월 30일에 한규흥(韓圭興)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함평군 학교면 월산리(咸平郡 鶴橋面 月山里)에 사는 한규흥이 추모양재 종중(追慕兩齋 宗中)에 원금 400백원에 대한 연 이자 32원을 내고 발급받은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야 토지(林野 土地) 내역서(內譯書)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韓炳一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주소와 임야 대금을 적어놓은 내역서(內譯書) 韓炳一 등 1명: 法聖面 新庄里 山 98 林野 淸州韓氏 追慕宗中: 法聖面 新庄里 山 105 林野, 土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77년 한씨문중(韓氏門中)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氏門中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7년 9월 24일에 한씨문중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신리 3번지에 있는 한씨문중이 재산세와 방위세를 합하여 23,725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78년 한씨문중(韓氏門中)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氏門中 2顆(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8년 3월 27일에 한씨문중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신리 3번지에 있는 한씨문중이 농지세로 3,04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