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漕溪菴【同】 【同】 絶壁晴嵐錦繡開 臨溪不去更徘徊 黃鸝迎客歌雲樹 白鶴同僧睡月臺溜蜜群蜂含藥返 弄風雙鷲截空來 閒吟欲寫崢嶸興 釋子多情又進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萬德寺 【同】 寳殿嵬嵬壓海雄 登臨怳在畵圖中 千年古木天皇植 萬里長江地勢通社裏蓮花留跡白 庭前柏樹待師紅 臨風欲問三纏葛 無語羣峯指碧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大隱菴【淨水寺】 【見譯本八十五頁】 玲瓏丹臒照羣巒 六月淸風倚曲欄 畵角雙龍雲霧濕 層軒三伏雪氷寒題詩客子邀黃鶴 禮佛山僧爇白檀 傍此烟霞身可托 厭看塵世若波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修道菴【萬德寺 辛卯春】 【同八十六頁】 只與春山共入山 碧蘿明月隔塵寰 霖餘日照精神爽 雲際鳶飛氣像閒泛渚白鷗隨意去 囀枝黃鳥識時還 幽然坐闢簷窓看 於物物人理一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宿出書論【正廟丁酉八月以漢城試參榜】 【同頁】 論曰艮彖曰時止則止時行則行止亦時行亦時也孔夫子遲於去魯速於去齊遲亦道速亦道也蓋時者當其可之謂也道者適乎宜之謂也然則孟子之去齊也亦時也道也何以言之鄒夫子以命世之亞聖願學於孔子仕止久速莫非時也用舍行藏盡是道也心所汲汲者行道也濟時也意所惓惓者愛君也澤民也雖然莫非國也而必於由齊莫非君也而必於宣王者其意可掬矣蓋嘗論之李謫仙詩王風萎蔓草戰國多荊榛生丁戰國之世身有治平之具而生民塗炭聖途鹵莾慨王風之不振痛列國之爭雄回瞻四方蹙蹙靡聘若夫秦也楚也則夷狄之裔也非得志可行之所也滕也薜也則褊蕞之國也無振作可爲之勢也之魯而臧氏之子沮焉之梁而惠王之資劣矣於是乎適齊一見而論道再見而言事觀其資而默諒格其心而善誘天資朴實矣言論明確矣好勇好樂之說自知其有愧好貨好色之論可見其無隱由是而推焉則庶可以堯舜其君矣由是而變焉則亦可以臯夔其臣矣鷄鳴狗吠達乎四境勢易於反手屈指也民困政替幾乎千年時易於飢食渴飮也時有如此之臣勢遇如彼之君及國兆足以行矣民庶可以濟矣而惜乎齊王奪於功利之私拘於【缺】之【缺】用之不終末如場藿之縶駒則見之己先肯效馮歸之搏虎乎是以決以義辭以禮隱王之失徐戰之行今日而宿明日而信再明而出書齊非父母之國也晝非遠齊之邑也馬亦非瘏也僕亦非痛矣而如此焉遲留者其意何居蓋當此之時舍宣王則無可與有爲者也非孟子則孰可以平治者耶以孟子而遇齊王可謂千載之一時而終於未遇遽然辭歸以大賢天地之量豈可效小丈夫之悻悻哉于斯時也跡雖去齊心不忘齊也身雖辭王志未捨王也故遲其行待其政必欲濟斯世安斯民此豈淺見薄識所可測度也哉嗚呼千里而見王者匪干祿也爲道也三宿而出晝者非遲滯也適時也然則曩所謂止亦時行亦時遲亦道速亦道者非學孔子而有得者乎而尹士也以坐井窺管之見欲評大賢包荒之量不亦愚乎吁謹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堤上獨夜 【見譯本九十頁】 堤上何曾有宿緣 胡然獨坐小燈前 故鄕消息三千里 京洛光陰四十年甕裏功名還可笑 寓中身世更堪憐 出無輿馬飛無翼 悄向南雲望眼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居金陵鄕廬偶然嘆吟【別構伴鷗亭南九江所稱鰲岑有之 純廟丙子八月】 【同九十一頁】 百年湖海閉門深 滿園松篁處士心 鰲背秋光山萬里 鷗前月色水千尋男兒有志窮村老 穹昊無私大地臨 讀罷黄庭看北斗 爽然淸籟起遙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門案序【純廟乙亥至月十日 門末通政大夫前行兵曹參議某謹識】 【見譯本一一六頁】 夫族必有譜門各有案古今之通規也惟我海南尹氏素稱湖南巨閥而壬午譜以後迄未之修擧矣曩在英廟丁亥先輩長老大開譜役幾乎垂成而意外有葛藤罷之一門之茹歎厥惟久矣歲癸卯不佞落仕還鄕吾族兄得佐氏來謂曰吾門中大同譜之設茫無其期自護軍公分派以後子枝漸蕃而散在各處名面未辨昭穆莫推此豈非一大欠事乎僉曰諾因成門案而屬不侫作序文以記之不佞跪而對曰事則美矣而越在英廟辛亥我曾王考中樞公爲護軍公先祖設享而立異分享春秋事極可恨而今當修案之時未能會同是可痛歎然而其勢末由則不得不因以成之矣昨年夏不佞自湖中大歸後諸族稍稍來訪而有合享之議今年春會議干萬德寺則詢謀僉同曰貪殘子孫勢難分享從今以後庶可免闕享之弊而祭閣可修矣祭器可設矣凡節皆歸順便豈不美哉九月享祀後僉議皆曰事旣至此大門案一部更爲修正然後事可歸一故以至月初十日更會于萬德寺一以序昭穆一以合親疎一以修門案使後來者有所觀感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土階銘 【見譯本一一七頁】 階奚以築等三級土奚以用昭儉德別上中下非三何象天地人無一邪古聖是築肇此階今聖是築臨此階平壤宮中先甲辰春塘臺上後甲辰階無古今同一級土無古今同一色前聞此階歎以服今拜此階銘以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祈雨祭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64년 김권용(金權龍) 위촉장(委囑狀)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全羅南道知事 金權龍 전라남도지사(2.6×2.7)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4년에 전라남도지사 신용우가 김권용에게 발급한 위촉장. *내용: 강진군 강진면 아동위원으로 위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63년 김권용(金權龍) 표창장(表彰狀)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康津郡守 金權龍 강진군수인(2.1×2.1)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3년에 강진군수 박석주가 김권용에게 발급한 표창장. *내용: 1962년도 농업증산보상계획에 의한 하계퇴비증산실적의 심사 결과 우수하여 표창함 *부상: 농기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蔣生 太常春酒大堤西花下留連醉欲迷人事十年風燭轉送君今日倍含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淮中春沼舊居 閱盡人間事浮生轉覺忙暗敎心貯火催却鬢添霜古木秋將暮寒雲雁已翔山河不盡淚沾灑舊琴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風溪 相國亭臺古空庭鳥雀悲竹留霜後節松老歲寒枝廢榻苔全沒華榱字半虧傷心車馬地此日淚堪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서
유형분류 :
사부

儒賢 李璥【見上人物】趙大成【淳昌人字成之號梅窓從李一齋恒聞爲學之方與鄭菁莎沼安竹菴琢㝡友善官勵節校尉不就贈佐郞享順天曲水祠詳載墓碣銘】南趎【見上人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서
유형분류 :
사부

遺? 柳復一【文化人性素儉約自律以正㓜年所學只史畧四卷而已晩而解經傳尤深於易理人皆敬重佐郞崔根厚有詩曰潛符鄒魯心情性自謂?文彖?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서
유형분류 :
사부

鄕校重修記 【崇禎四壬寅觀月下澣】 勿齋盧光履谷城安君濟遠走人?百里以書來曰吾先祖晦軒公在昔勝國媚佛之日慨然入上國摹取五聖七十子及濂洛群哲眞影以來䖍奉于夫子廟而猶有滿庭春草寂無人之歎曁我聖朝文教休明環東土數千里絃誦之聲相聞吾鄕卽其一也大聖殿在於聖出峯下上雨旁風屋不時修亦多頽圮殿之壞爲尤甚鄕父老愴若是謀所以重新之俾余幹其事以余爲晦軒公後也辭謝不得乃與盧君良國禀于縣大夫申侯淳而經始焉遂掇其古殿而一新之若明倫堂齋湢所杗楣礴甓之破缺不完者繪畵赤白之漫漶不鮮者未及盡復其舊觀而申侯經遞餘債浩夥今李侯來代之曰是吾事也許多工役之費無不經度措畫而以告功惟子之願有記也光履發凾三復喟然嘆曰嘗聞壤之褊財之匱莫本縣若也而及其有修葺之論則邑子弟莫不咨嗟嘆息退與出金捐財至於累數百以完之可見鄒魯遺風猶有存者且夫校者教也若使遊於校者斆學相半講究入德之門恢拓進道之基則其必心正身修自然不出於家而成教於國庶有以對揚聖朝敦化育材之意于二君與有榮焉於是乎僕僕書此以歸之李侯名胤愚學有家法故其爲政知所先後如此云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