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葉西權相公韻 【同三十二頁】 一春今己暮 花事此何遲 莫道楊衍侯 猶欣雨及時 葱葱見佳氣 色色入新詩 早晩紅塵爛 投笻也不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黃橋艸堂韻 【同】 草堂深且靜 城市一幽居 邀客詩兼酒 忘機圖又書 徘徊觀物象 俯仰察鳶魚 瀟洒風塵外 自家自裕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曺極之韻 【同】 未展長秋步 幾年伏老驥 黃槐今値節 丹桂可攀枝 霧豹舐毛日 雲鵬刷翮時 君家迎喜夕 知是盍簪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咏木堗烟【乙未觀音窟與李友集英呼韻】 【同】 刳來直木等虛舟 不用蓰薪漢客謀 世霧三時時可記 雨林何必聽啼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考忌辰聊述悲懷 【同八十頁】 露脚綠綠和淚垂 推窓三復蓼莪詩 夜深燭下心千里 天闊江南夢片時小院草萋春有恨 長空風動樹含悲 悄然不寐因明發 泣血孤懷宿鳥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月晦曰病臥無人相問寂寥述懷【二首 五七絶句見前編】 【同】 計拙資身愧丈夫 呻吟伏枕賴誰扶 一旬病疾生疑死 千里妻孥有若無却羨墻頭鳩喚婦 偏憐簷角鷲將雛 寂寥終日愁仍臥 悵望鄕山眼欲枯喃喃簷燕話春愁 望裏歸雲盡意浮 身世百年沈二豎 家山千里隔三秋飢妻飢弟長懸夢 佳婦佳兒每入眸 鳴我不平多苦語 從玆吟哢可宜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 【同】 半生爲客洛城於 何似湖南一弊廬 樹際秋聲孤鶴驚 澗邊霞氣蟄龍噓縱無日日三盃酒 尙有朝朝數楪蔬 虛負百年憂樂志 從今進退自優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决歸吟 【同】 洛城愁思正悽然 不見妻兒又一朞 年近七旬餘數載 鄕分兩處各三離銓家告悶如充耳 旅舍談懷己蹙眉 萬事商量都是幻 歸裝宜束未寒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三十九頁】 愛君雙鬢玉 回甲在今年 晬席陽生月 羈窓歲暮天 行藏衰鏡裏 消息故山邊 何日都門外 傍人漢爾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見譯本三十九頁】 遊子何多日 悠悠度甲年 華巓幾莖雪 丹悃九重天 月白思家際 梅芳索笑邊 親朋競相引 春酒聖兼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 花甲回今夕 立朝三十年 忱葵丹向日 鬢玉白隕天 談笑佳朋席 鄕園何處邊 可歎無公道 孰能酬獨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 是日思應倍 羈窓過甲年 賜還偏爲地 增秩亦由天 談笑三盃裏 家鄕一夢邊 他時餘慶報 幾個兒孫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蓮社饗會【萬德寺】 【同】 蓮寺風光月滿樓 蘭亭舊會續一秋 依歌玉管鳥蹌舞 介壽瓊盃花作籌少長交和鴻雁列 英豪咸集鳳凰儔 德星晳晳南天照 鼓瑟三更咏鹿{口+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水洞族中【追遠堂落成時 大口】 【同】 睦隣追遠豈論財 一閣巋然不日開 飽德羣黎朝暮樂 聞風多士邇遐來衣冠濟濟書堆案 絃誦洋洋月滿臺 我有新詩歌以落 諸君側耳且停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亡室淑夫人林氏緬禮告由文 【見譯本一二六頁】 維歲次丙子四月朔日庚戌夫通政大夫前行兵曹參議尹○○敢告于亡室淑夫人扶安林氏之靈嗚呼哀哉惟我淑夫人胡忍遽棄我而先歸使我抱此無涯之慟耶必欲厭世而遽歸則何不小待三四年返故鄕悅親戚融融嘻嘻叙盡平生而悠然歸化耶欲叙積懷則胷抑而不能言也涕零而不忍書也鳴呼辛已結縭壬午于歸五十餘年之間嘉言善行之可記者非止一二而孝於舅姑睦於妯娌宜於兄弟安於貧窶平生未嘗疾言遽色人不見其喜怒族隣或有非理相加則談笑而處之某性本躁暴或有喜怒過當之事則俟其氣平從容陳戒曰丈夫處事當寬平默運何用猝遽不顧其名字之義乎每聞其戒不覺敬服僕僕稱謝者多矣歲癸巳東堂初解後因術士言祈禱七星而設床庭中但與夫人七日齊沐虔誠行之而自其後迄干丁酉决科之日每日夜半夫人獨自盥洗汲泉禱于七星雖迅雷暴雨一心奉之科後榜聲稍遲隣人皆唁曰今科又屈矣夫人小無慽容徐曰科乃在天數之謂何數日後榜乃來到夫人適出籬外舍季奔告曰科榜來到云則小無忙急底景色徐緩而來舍季促之則徐答曰旣爲之科誰可奪之云此等事雖使丈夫當之亦難如此從容矣布衣時長讀山寺釋褐後長在京洛後雖曰偕老多年而實計同室之日則未滿十年矣丁卯冬寧越莅任後戊辰春使官隷陪來而二週年居官婢僕輩不敢爲圖囑之事此亦人之難能者也庚午春解緩暫寓堤上而首丘之願恒切矣癸酉春神天不佑屬纊於寓所天胡忍斯勢之所拘不得已葬於瓮堂山下返虞而入室不見某人此時此心天地欲老甲戌朞祥後心緖益復愁亂乃作悼亡詩二首曰五十三年伉儷重入室不見己周年首丘願結千秋恨客地孤魂正可憐楊柳月廻前夜面櫻桃花發去年枝人何一去無消息長使衰翁聽子規此兩詩說盡本情明靈庶或諒知矣甲戌初夏挈眷南歸矣長兒辭墓傍此時景色行路猶惻南來後適値變年憂患鱗疊只使墓喧守掃明靈寧不痛哭於冥冥之中也今年正月仲兒作省楸之行不忍單身獨歸出萬死載襯而歸雖與生還有間而鄕黨族隣且悲且喜曰夫人之魂返于室堂此必由於夫人平日心德之所報也多年願恨之始解也云其言則似慰而其情則愈慽矣且聞寓堤時使兒輩索婚書紙乃壽衣服置諸篋中曰俗云以此紙分作死後歛履則必續後生之緣云雖不可準信而汝輩不遵而行之及其病篤也遺囑諸兒曰吾必死於此埋於此雖年久之後必負骸而歸葬於故山則吾之目始可瞑云矣今以初三日葬於先人墓下兩件事今皆從願未知庶或無泉下之遺恨也否乎嗚呼披帷而入胡不應也撫柩而哭胡不聞也一盃酒數行書烏足以叙其萬一也嗚呼哀哉魂其享之庚辰月日謹以數行文一盃酒奠于先妣墓前土墩之神而告之曰越在丙子先妣之葬千里返柩謹行緬禮而墓前土墩其高如丈其大十圍問于近處人則或曰古塚或曰土墩若是人塚則其大其高必無如此之理若是土墩則未知古人何意築此事在久遠難以的知而旣己葬親則墓前咫尺擁蔽前面間不容髮生理神道必無異同計不獲已今番寒食略略削平而留其舊痕於一小塚必是兩便庶其饗之【右林夫人入墓時古土墩告由文長子通德郞師鎭所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歌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繅車歌 天開地闢하야萬物이 初生할제飛獸과 走獸들을羽毛를 돗쳤난듸禽獸에 석인 人生그뉘라 區別할고燧人氏 불붙혀敎民火食하겨시고伏羲氏 그물매져敎犭+田獵하단말가神農氏 有虞氏는가작깎고 그릇구어士農工商 다배부러世上을 가라친대世上의 이내몸은무삼닐 하다하리作舟車하랴하고皇帝軒轅나겨시고敎民稼穡하자하니后稷이 나겨시다萬人身上도라보니夏葛冬裘뿐이로다繅車나 지어내여布衣나 가라치새夏禹氏斬山斧를吳岡의 손이되여月宮의 섯난丹桂한가지 베혀내여一尺을 끈허다가버텅을 깍가내니南陽의 諸葛亮이六出祈山하올떼의軍粮을 실으랴고木牛를 만드난닷우아래 구무뚜리두설주 세우거동女媧氏 서실떼에五色石 깍가내여天柱를 만드리서東南을 괴얏난딧二四八 여덜살이前後에 버렸난양楚漢이 싸울떼의劍戟이 森列한듯한낫 구물동이구무마다 깨였난양孔夫子의 닥은道가一以貫之 하얏낫닷거무줄 얼것난양有巢氏 서실때의식목실 하랴하고構木位巢 하얏난다해저서 다라내니丹山에 우던鳳이碧梧에 나라드러翠尾를 들추온 듯외로운 괴머리는閑暇이 세원난양越나라 范相國이功名을 마다하고秋風一葉舟를五湖에 띄웠난닷瀟湘江斑竹枝로雙고래 하얏난닷吳나라 伍子胥가越兵을 보랴하고두눈을 케여다가東門에 다랐난닷가리여 쏘아내니赤壁江曹孟德의東南風 건듯불제鐵轘連船하였는 듯規矩를 맛추와서어-선득 뀌며내니蒼蒼九萬里의璿璣玉衡製作이라松窓을 半開하고席上에 노흔거동東海上 새난날이扶桑에 半出한듯瑤臺女를 불너내여그앞에 안츠거동瑤池에 西王母가大宴을 罷한後碧桃를 구경하고花下坐開하였는 듯香杉을 半만것고두루줄 물너내니田單이 罷燕할제長鎗을 빼여내여牛角에 묵것난닷우아래 雙고동은淑香이 亂離맛나父母를 離別할제玉指環을 끼였난닷한또기 넓은돌이서우히 놀넌난양八年治水 하올때에千年목은 金거북이洪範九疇 짊어지고洛水에 업젓난 듯皓衣를 닙폈난양玉羲之蘭亭 쓰고北溟魚 그린두갑筆端에 쏘았난양설주의 매인헌겁한덩이 싸인밀이江南따 노던 黃鶴高樓가 椎碎하여玉皇께 上訴갈제白雲間에 싸였난 듯그아레 달닌所用李太白이 술바들제靑絲를 풀처내여玉甁을 빗겨차고가온대 쏘온막대呂南과 白頭仙人世上을 避하여서玉壺에 숨었난닷기름묻혀 내닷난양淸江저문날에白鷗가 沐浴하고蘆花枝에 을나난 듯膝下의 筐주리난壯할시고 伯夷叔齊首陽山殷日月에採薇하난 筐주리라구름같이 피운棉花모라다 담엇난양石崇의 金石園에珊瑚채가 싸였난 듯오른손을 빼여내여꼭두마리 두루난양關羽張飛勝戰할제靑龍劍 빗겨들고陣中에 달려들어萬軍을 해치난 듯왼손을 빼여내여고치를 지어난양漢丞相張子房이楚兵을 흩으랴고雞鳴山秋夜月에玉簫를 빗겨든닷가락에 부처다가空中에 올니난양北海上蘇子京이中原을 못오기로尺書를 傳하랴고白雁을 날니난 듯綿絲를 내긋난양吳姬月女採蓮할제蓮實을 꺾어내여蓮絲를 니기난딧니격삐격 하난소래紅蓮塘발근달에雙雙이 우난鴛鴦和答하는 소래로다蒼山에 日暮하고黃昏이 도라올제短壁에 달닌燈불聽溪堂 밧깃밤에半畝塘 밝은달이梧桐에 걸년난닷燈下의 그르매가三更에 궁그난양고슴돗 외틀지고月夜에 궁그난닷으르릉 아르릉 하난소래南山에 白額虎가李裨將의 살을맜고보울니난 소리로다한덩이 뻬어내여玉手로 둘너갈제交趾南越裳氏가中國에 使臣을 볼재周公聖人 뵈라하고白雉를 밧드는 듯그리저리 다자사서一匹을 나라다가되거니 짜거니布衣를 지어내니天孫의 七良錦을掌中에 춤을밧고孟嘗君의 狐白裘도願할뜻이 전혀업다一時에 다가라여萬人身命 끄려내니아-모리 白雪이 紛紛하여도 民無凍餒하오리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燭籠 【見譯本五頁】 四面紙籠一燭明 燒心垂淚若多情 羈窓乍罷重宸夢 河漢西廻斗北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咏入房螢 【同】 透窓飛入點樑頭 微作書牀燭影浮 須臾暗裏輕輕下 七月雲霄大火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青 【同】 一色青青自古今 桐皮栢葉又松心 庭前偃立長爲蓋 枝上蕭條或奏琴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