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허순(許㶷)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使 許㶷 牧使<着押> 光州牧使之印(7.0×7.0)周俠改印(17.7x5.5)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5년에 허순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 1885년(고종 22)에 허순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허순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을묘생(1855)이다. 호주의 이름과 생년·본관을 적은 뒤 사조(四祖)와 가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拾壹年 月 日 光州牧考乙酉成籍戶口帳內 北面三所旨海山村 住第七統第一戶幼學 許 㶷 年三十一乙卯 本陽川父 學生 棕祖 學生 寬曾祖 學生 沃外祖 學生 宋必基 本恩津妻 安氏 歲三十一乙卯 籍順興父 幼學 之壽祖 學生 琪八曾祖 學生 光龍外祖 學生 李哲鍾 本全州率弟 幼學 炫 年十七己巳等 壬午戶口相準 印牧使[着押][光州牧使之印][周俠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23년 거점사창집강(巨岾社倉執綱) 박(朴) 서목(書目) 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巨岾社倉執綱 朴 光州牧使 執綱 朴<着名>,行使<着押> [光州牧使之印] 1顆(7.5×7.5)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3년 5월 27일에 거점사창집강 박(朴)이 광주목에 올린 서목 1823년(순조 23) 5월 27일에 거점사창집강(巨岾社倉執綱) 박(朴)이 광주목에 올린 서목(書目)이다. 서목의 왼쪽을 살펴보면 구멍을 뚫어 묶은 흔적이 있어 함께 묶인 첩정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서목은 거점면의 하성채 형제와 그 부인의 효열을 보고한다고 하였다. 접수된 시점은 6월 6일이며 광주목사는 서목에 '접수함[到付]'라고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巨岾社倉執綱書目本面河聖采兄弟二孝二烈 仰報爲臥乎事 狀癸未五月二十七日 執綱 朴朴[着名]行使[着押][光州牧使之印](題辭)到付癸未六月初六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임술년 송창여(宋昌呂)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宋昌呂 興陽縣監 官<押> □…□ 5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술년 정월에 송창여(宋昌呂) 등이 흥양현에 올린 상서(上書) 임술년 정월에 송창여(宋昌呂) 등이 흥양현에 올린 상서(上書)이다. 주요 내용은 무술년에 장홍(張弘) 등이 올린 상서(上書)와 같다. 상서에 대해 흥양현감은 관시(關市)에서 기롱함이 있을 때 다른 언어와 다른 의복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주나라의 제도라는 말로 운을 떼면서, 예전에 받은 절목(節目)으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으니, 작은 일은 향촌에서 자체적으로 벌을 내리는 등 처리하고, 큰 일은 관에 고하여 처리하라는 처결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48년 이시동(李時同) 상환통지서(償還通知書) 2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木浦地方土地行政廳 李時同 □…□ (3x3) □…□ (청색,원형, 3.5)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 6월 20일에 목포지방토지행정청(木浦地方土地行政廳)이 해남군 삼산면 창리(海南郡 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에게 발급한 상환통지서(償還通知書) 件番 3955에 해당한 대맥 0.35섬을 납부하라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0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5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0년에 7월 1일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046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에 3월 25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80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64년 재산비품대장(財産備品臺帳)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4년 5월부터 1985년 10월 15일까지 작성한 財産備品臺帳. 財産目錄, 備品目錄, 購入 내역, 寄贈 내역 등을 기록함 *총 17장이 가철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71년 재산비품대장(財産備品臺帳)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1년 3월에 작성한 財産備品臺帳. 高興郡 大西面 南亭里에 있는 논 600평의 재산목록과 祭床·祭衣·香爐·香盒 등의 비품 목록을 기록함 *총 14장이 가철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3년 최익민(崔益玟) 등 상서(上書)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崔益玟 禮曹 禮曹<着押> 禮曹之印 3顆(8.0×8.0)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고종 10) 8월에 최익민(崔益玟) 등이 예조에 올린 상서(上書) 1873년(고종 10) 8월에 최익민(崔益玟) 등이 예조에 올린 상서(上書)이다. 주요 내용은 같은 고을에 사는 고(故) 사인(士人) 허관(許寬)과 부인 광산김씨의 지극한 효성을 헤아려 주셔서 정려를 내려달라는 것이다. 상서에 대해 예조에서는 탁이(卓異)한 효열(孝烈)이 들을수록 가상하나 포장(褒獎)의 은전을 내려주는 것은 공론이 더욱 모이기를 기다리라고 하였다. 다만 연호잡역은 응당 면해주어야 하니 앞으로 침탈하지 말아서 풍교(風敎)를 세울 수 있도록 하라는 처결을 내렸다. 예조의 처결은 4월 24일 광주목에 내려졌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儒生 幼學崔益玖·梁時模·曺益承·柳泰恒等 謹齋沐上書于大宗伯閤下 伏以爲孝者 百行之源 三綱之首也 苟有其人 則其在士林之道 豈不薦達乎 本道光州士人許 寬 論其世德 則文敬公諱 珙十四代孫 大提學諱 富之十二代孫 進士公 淐之曾孫也 以簪纓古家 資稟至孝 家貧親老 菽水難繼 山而樵焉 水而漁焉 甘旨之供 以養志爲先務 晟昏省定之節 以禮法爲勤務 孰不欽仰 孰不歎服乎 其父親 以老病 命在幾絶 割股斷指 飼之而迴甦數日 天命奈何 奄及屬纊 哀毁之狀 擗踊之痛 聞者見者 莫不感歎 送終之節 亮遵古禮 居廬三年 擧楸悲號 至於樹爲之枯 每夜有虎來到身傍 有若護衛 而少無畏忌 如是至於三年 此出天感物之孝也 嗟哉 許 寬 豈非大孝哉 況復其妻光山金氏 克遵其夫之孝行 傭以供舅姑也 甘旨之供 無適志 至於送終之境 哀毁之狀 擗踊之痛 罔有紀極 其夫居廬之時 雖祈寒盛暑日必一往 終始不怠 此實自古罕有之卓行也 其在士林之公議 未可含嘿 故猥敢仰籲 伏願閤下 特爲 啓聞天陛 俾蒙旌褒之地 千萬伏望大宗伯閤下 藻鑑癸酉八月 日 道內儒生 光州幼學崔益玖 鄭彦鐘 羅州進士崔權 梁時模 全州幼學李祉春 吳永佑 南原幼學房煥忠 金永三 柳泰恒 等禮曹[着押][禮曹之印](題辭)孝烈卓異之行 聞極嘉尙 奬褒之典 益俟恢公而烟戶雜役 係是應頉者也 更勿侵懲 俾爲樹風之地 宜當向事本官 卄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0년 김맹기(金孟起) 소작권포기증서(小作權抛棄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金孟起 淸州韓氏門中 3顆(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 7월 2일에 김맹기(金孟起)가 청주한씨문중(淸州韓氏門中)에 발행한 소작권 포기증서(小作權抛棄證書) 영광군 영광면 연성리(靈光郡 靈光面 連城里)에 사는 김맹기(金孟起)가 청주한씨(淸州韓氏) 추모양재종중(追慕兩齋宗中)으로 보내는 소작권(小作權) 포기(抛棄) 내용 소작지(小作地) 소재지(所在地): 靈光郡 畝良面 德興里 105番地 畓 昭和 15년(1940)부터 17년(1942) 3월 1일까지 해당 소작료 전부를 종중으로 인도(引渡)할 것을 기재함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