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望金權龍來九月三十日花巖祠禮成祭官尊爵薦定丙辰九月十五日康津鄕校典校 金敬默[康津校宮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9년 김춘봉(金春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長興都護府 金春奉 行府使[着押] 1顆(7.0×7.0), 周挾改字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9년(정조 13)에 장흥부에서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9년(정조 13)에 장흥부에서 남면(南面) 남산포(南山浦)에 사는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생(1734)이다. 당시의 나이는 55세라고 기록하였으나, 생년을 바탕으로 계산하면 실제로는 56세가 된다. 가족 사항은 없으며 외가는 해남윤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 증조부는 진해현감을 지냈고, 외조는 기록되지 않았다. 장흥부 남면 남산포는 지금의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四年己酉四月 日 長興府考己酉成籍戶口帳內 南面南山浦第七統四戶 鰥夫幼學金春奉 年五十五甲寅 本梁山 父學生玧昌 祖 學生有聲 曾祖 通政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汝錫外祖 學生 尹弘濟 本海南等 丙午戶口相準 印行府使[署押][長興府使之印][周挾改字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오~기유년 봉상책(奉上冊) 고문서-치부기록류-밧자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기유년에 작성한 門契畓 穀數와 소작료 등의 내용을 기입한 捧上冊. *형태사항: 성책(假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오년 행정사(杏亭祠) 출의록(出義錄) 고문서-치부기록류-원납기 杏亭祠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오년에 杏亭祠에서 祭器 구입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작성한 出義錄. *張數: 3張 *형태사항: 성책(假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王霸論 管子一書卽仲之所以佐霸之術也嘗觀其言曰政之興在順民心此好惡與同之意也曰民之力有倦而君之欲無猒比節以制度之意也曰牧民者欲民正也此旣富而敎之意也合乎先王之道者亦時有之故仲之所以爲賢然其書之大旨則以立法重令爲先以生財積糓爲務以城郭甲兵爲安以自適其所大欲而已法令立者其所謂治民有器者也財糓多者其所謂積於將士者也城郭其所謂固守而甲兵者其所謂應敵也操其器甲而制下厚其將士而得力固守應敵而隣國莫敢誰何此其所以九合一匡而爲五伯之首也然先王禮樂敎化之本仁義之美文物之盛由是而不可復見矣且先王之制兵也使之不可敗而不使之逐利爭勝古之司馬法是也仲一切變置使民易知而爲盡力速勝之兵功利之說興而民殘於兵善戰之士起而諸侯相呑陵夷至於戰國皆仲之爲也嗚乎先王之爲國也法令非不擧而以敎化爲本財糓非不辦而必後於仁義用武非不競而以文治爲主故曰徒法不能以自行曰德者本也財者末也曰脩文德以來之又曰聰明睿知神武而不殺能斯道矣天下皆將歸我而願爲之民何必繕甲兵厲威武而爭勝於人之爲也且六經之言正大明白可以常行而百世不惑者也管子之說叢雜零瑣不可爲後世之憑藉其爲陰謀之書決矣就其可行者通於國有不通於天下行於今有不行於後此豈可擬議於六經哉孟子之論王道實而簡未嘗如此之煩絮也曰然則伯不足爲歟曰古無王道則已矣如有之何必舎九軌之塗而趍於曲徑耶使王道之行而天下不可爲則已矣其化也與天地同流其民也遷善而不自知則豈霸者之所可彷彿耶曰王道其效遲伯者則收功易亦可取此而舎彼耶曰遲者功之大者也易者效之微者也武王周公繼之而後行晋文公一戰而霸然其所成就豈啻天壤之截耶然則必以管仲論王伯何也曰管仲伯佐之雄而使人知其規模之卑狹則王道之大亦由此而可辨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諸子論 天下之道不可不一於正不一則雜不正則邪雜而邪則民不知所從而天下將亂矣是以堯舜周孔天下之父師也禮樂刑政天下之繩凖也易詩書春秋天下之型範也人雖有工拙器雖有六小而陶者必以型範匠人必以繩準古今雖亦不同而可不以父師之敎敎人耶然則以堯舜周孔之道行禮樂刑政之治而取正於易詩書春秋者猶陶之型範匠之繩父子上下長幼之序不幾乎亂雜而無章乎且天下之生久矣風氣已開情竇已鑿則是非善惡勢不可一也道德齊禮率勌鉏强勢不得已也以不可同而使之玄同以不可不有爲而使之無爲者豈聖人憂世之道乎不言不思無知無能而終可以使天下之治安無事乎況兼愛者滅倫刑法者少恩其施之天下也人之類殆無遺矣噫一家無定法而一家亂一國無定法而一國亂況乎天下之大耶邪說之亂天下而天下其將幅裂而瓜分矣民誰適從而可以蕃吾生安吾性耶然則不使之雜而不可以不一矣不惑於邪而不可以不正矣一於正者何卽所謂堯舜周孔之敎禮樂刑政之制易詩書春秋之文而使天下繩而凖之型而範之而專統於父師之道也何患乎天下之雜亂而邪說之肆行乎彼諸子之不師於堯舜周孔棄禮樂刑政之常廢易詩書春秋之業而欲以其學易天下者是猶陶者而求繩準匠人而用範型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9년 김춘봉(金春奉)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金春奉 長興都護府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9년에 남면(南面) 남산리(南山里)에 사는 김춘봉이 장흥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1779년(정조 3)에 남면 남산리 제4통 제2호에 사는 환부(鰥夫) 김춘봉이 장흥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1734)생이다. 당시의 나이를 48세로 기록했으나 실제로는 46세이다. 가족 사항은 없으며 외가는 해남윤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幼學)이고, 증조부는 진해 현감을 역임한 김여석(金汝錫)이다. 남면 남산리는 지금의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南面南山里第四統二第戶 鰥夫金春奉 年四十八甲寅 本梁山父 幼學 玧昌祖 幼學 有聲曾祖 通政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 汝錫外祖 尹弘濟 本海南己亥年춘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0년 김춘봉(金春鳳)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長興都護府 金春鳳 行府使[着押] 1顆(7.0×7.0), 周挾改字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0년(정조 24)에 장흥부에서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 1800년(정조 24)에 장흥부에서 남면(南面) 산정리(山亭里)에 사는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생(1734)이다. 준호구를 발급받을 당시의 나이는 65세로 기록되었는데, 생년에 따르면 당시 김춘봉의 나이는 67세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 증조부는 진해현감을 지냈고, 외조는 기록되지 않았다. 가족으로 아들 김우주(金佑周, 31세)가 있고, 소유노비로 비(婢) 1구가 있다. 장흥부 남면 남산포는 지금의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五年四月 日 長興府考戊午成籍戶口帳內 南面山亭里第 統第 戶 幼學鰥夫金春鳳 年六十五甲寅 本梁山 父 學生玧昌 祖 學生有聲 曾祖 贈通政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兵馬節制都尉汝錫 外祖 學生 尹弘濟 本海南 率子 佑周 年三十一戊子賤口婢 彐云德 年四十一戊寅等 乙卯戶口相準 印行府使[署押][長興府使之印][周挾改字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 출의록(出義錄) 1 고문서-치부기록류-원납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신년에 작성한 契金과 義金의 기록. *정사~기미년 묘향비 특별 희사록(고문서ID72)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 출의록(出義錄) 2 고문서-치부기록류-원납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신년에 작성한 契金과 義金의 기록 중 일부. *정사~기미년 묘향비 특별 희사록(고문서ID72)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張儉論 東京黨錮諸贒其才足以股肱王室氣節足以撑支宇宙厲世道植倫紀而値陰陽血戰之會駢命於貂璫逆竪之手誠冤矣痛哉然千載之下凛然猶有生氣者不以其不苟生於濁世而死有贒於生也哉或以其人類皆訐而爲直暗於保身惡足爲賢乎嗟乎直道事君枉邪者伐異惟國惟公身有所不恤苟使人皆保身不事忠直世誰可爲之天下誰使澄淸耶宋仁宗嘗曰蘧伯玉不如史魚吾取而爲法焉然則郭林宗申屠蟠徐孺子皆不足爲賢乎曰數子異乎是林宗賢而在下不若陳竇之身任國事且知用舎行藏之幾則不死固宜爾申屠孺子早知世不可爲則高於人遠矣不死而生亦各有道也若張儉者何如始不能超然於黨論如申屠徐孺子終不能死於鉤黨如陳竇諸子太史公曰人情莫不貪生惡死至激於義理者不然網彌四海羣賢盡劉則請坐鉤黨有如皇甫規者抱詔閉舎有如吳道者或慕名而不惜其身或奉法而不忍於視死皆義理之公憤也況黨禁之酷自其身衆人之戮由舎藏而乃歷抵逃躱苟爲性命區區之計哉況白首歸來乃復嬰情於遊宦哉故吾以爲黨人未必皆賢而張儉之生前有愧於申屠徐孺子後有愧於陳竇又不能無愧於吳道皇甫規也嘗閱國朝己卯事竊有感傷故云云而張儉之生於斯世其亦不幸也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武侯論 天下不可欺而人有大節然後天丁信之府謂大節者以天下賞之不足以動其心而行一不義殺一不辜而得天下則皆不爲也以天下之大亦有所不屑則何欲何求而可以奪其守喪其心乎是以事君則至誠惻怛臨民則正大光明而天下之人不以一毫人慾疑其人古之君子可以托百里之命寄不御之權者皆此等人也昭烈之將崩也謂孔明曰如其不才君可自取取天下之謂也嗚呼此言之發豈人臣所可堪而古之人君亦嘗有以詔其臣乎成湯不以詔伊尹武王不以詔周公則此何言哉此何言哉天下者非昭烈之天下而高祖光武之天下也以昭烈之明雖處死生之際而豈有亂命而輕發也噫孔明之得此於昭烈亦有由焉盖其草廬三聘之初固知其高世之賢而明乎出處之際其志之不以富貴聞達有所撓奪雖庸人亦已瞭然矣且昭烈孔明之爲君臣亦幾年矣攻戰㝎際不忘仁義行陣之間亦有儒象武帝以進止有常識霍光以目不忤視識金日磾孔明之行已可以服人者豈止霍光日磾之比也且以嚴治蜀而蜀人服焉耕者雜處而魏人安焉李平垂泣廖立致死何莫非誠信足以感人而雖其怨敵亦知其無私故也然則孔明之心擧天下皆亦知之而況君臣之深於契遇乎知之深信之至而托人以心腹故至於無所不言也嗚呼暴戾如新莽而金縢之冊不足以掩目智計如曺操而征西之稱不能以藉口則天下之人稔知其平生之惡也名與實爽行與心違則雖曰芥視千乘屣脫萬鍾人誰肯從以然之然則夷攷其行必不以天下動其心故知天下之大節知天下之大節故爲天下之所信爲天下之所信故至有自取之敎也嗚呼天下不可欺而孔明豈不賢乎哉雖然其臣雖有大節而君不知之知之而不能信之者多矣孔明之節明著後世者亦非昭烈之所成就耶然則昭烈知其必不自取故故爲是肝鬲之言以感激其心堅其輔幼之志耶曰非也後主之庸才昭烈旣知之而天下之事更無如之何則臨崩之際方寸亂矣都不若都付孔明而姑爲瞑目故耳孔明之心何待其感激而鞠躬盡力固平日之素定於胷中也先儒有言曰不能眞知孔明之心不爲此言允矣晩羲莫卷之十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김춘봉(金春奉)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金春奉 長興都護府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3년(정조 7)에 남면(南面) 남산리(南山里)에 사는 김춘봉이 장흥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1783년(정조 7)에 남면 남산리 제7통 제5호에 사는 환부(鰥夫) 김춘봉이 장흥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1734)생이다. 호구단자를 제출할 당시의 나이는 50세이다. 가족 사항은 없으며 외가는 해남윤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幼學)이고, 증조부는 진해 현감을 역임한 김여석(金汝錫)이다. 남면 남산리는 지금의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김츈봉南面南山里第七統第五戶 鰥夫金春奉 年五十甲寅 本梁山父 學生 玧昌祖 學生 有聲曾祖 通訓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 汝錫外祖 尹弘濟 本海南庚子 戶口相準 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