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통고문이 글은 통지하여 알리기 위한 것입니다. 부인이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섬길 때, 어찌 기이한 일과 남다른 행적의 효행이 있고 난 뒤에야 효부(孝婦)라 일컫고, 남편과 사별하고 나서 목숨을 버리고 뒤를 따르는 열행(烈行)이 있고 난 뒤에야 열부라고 일컫겠습니까.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위해서 그 뜻을 봉양하고 몸을 봉양하는 효행과 남편에게 정절을 지키며 과부로서 살아가는 열행을 갖추면 또한 효열부(孝㤠婦)라고 일컬을 수 있는 것입니다.양산(梁山)의 김씨 가문에 명국(明國)의 어머니인 청주 김정임(金貞任) 여사는 호남의 별열 가문인 득현(得炫)의 둘째 딸로 집안에서는 효성이 지극하였고, 시집갈 나이가 되어서는 김계철(金桂喆)과 혼인하여 남편을 공경히 대우하고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잘 섬겨서 사덕(四德)1)을 갖춘 부인이라고 고을과 이웃 고을에서 칭찬이 자자하였습니다.남편이 경인년의 난(6·25사변)으로 불행히 1950년 10월 21일에 세상을 떠나니, 향년 25세였고 여사는 방년 23세였습니다. 뜻밖에 청상과부가 된 비통함을 맞아 창졸간에 어떻게 살 수가 없었습니다. 땅을 치고 하늘에 울부짖고 곧장 뒤를 따라 죽으려고 하였지만 늙으신 시아버지와 시어머니가 당에 계시고 어린 고아는 포대기에 싸여 있었습니다. 만약 처음 뜻을 수행한다면 집안일을 의탁할 곳이 없다고 번뜩 깨달아 마음을 고쳐먹고, 남편의 초상, 장례, 제례 절차를 의례대로 준행하고 시부모 봉양하기, 고아 기르기, 집안 지키기의 세 가지 일을 자신의 임무로 삼았습니다. 혹 품팔이를 하기도 하고 혹 장사를 하기도 하며 노모를 봉양하고 고아를 기르는 자본을 마련하여 가계를 부지하였으니, 그간의 생활 고초는 말로 형용하기 어렵습니다. 참으로 정절을 지키고 과부로서 삶을 살면서 노모를 봉양하고 고아를 기르는 효열부가 아닐 수 없었기에 향로(鄕老)와 족당(族黨) 사이에서 그 효열의 행실을 표창한 적이 있습니다. 또한 고자(孤子)인 명국이 그 어머니의 의로운 방식의 교육을 받아 사회인들로부터 신망을 받고 두 손자가 연대(延大)와 전대(全大)에 재학 중이니, 모두 부인이 선을 행한 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기강과 인륜이 무너진 오늘날에 부인의 효열의 행실은 세상 사람들의 모범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균관에 계신 성균관장님께서는 부인에 대한 효열부를 포창(褒彰)하여 선을 권면하고 인을 흥기하는 도를 널리 전파해 주시기를 몹시 바랍니다.공부자(孔夫子) 탄강 2553년(2002) 모월 모일에 광주향교 전교 오인균 사덕(四德) 옛날 여자들이 지녀야 할 네 가지 덕행을 말한다. 사덕에는 곧고 유순한 덕인 부덕(婦德), 온순한 말씨인 부언(婦言), 공순한 몸가짐인 부용(婦容), 길쌈과 음식 조리 등 부인의 일인 부공(婦功)을 가리킨다.(『周禮』 「天官·九嬪」) 通告文右文爲通告事는 婦人이舅姑를섬김에있어 어찌奇事異跡의孝行이있는然後에孝婦라稱하고 夫君을死別함에있서 棄命下從의㤠行이있는然後에㤠婦라稱하리오 舅姑에게 養志養軆의孝行과부군에게 全節寡居의㤠行을갖추면 또한孝㤠婦라稱할수있는것입니다 梁山金門에明國의慈堂인淸州金貞任女史는湖南華閥인 得炫의二女로在家에孝誠이地極하였고 及筓의나이에金桂喆에게于歸後로敬待夫君하고 善事舅姑하여 四德을갖춘婦人으로鄕隣의稱讚이藉藉하였다 夫君이庚寅之亂으로因하여 不幸히一九五0年十月二十一日卒하니 得年이二十五이오 女史의芳年은二十三이라 不意에靑孀이된悲痛을當하여 倉卒無奈라 叩地叫天하고 卽欲下從하였으나 老舅姑在堂하고幼孤兒在襁褓하니 若遂初志 則家事를無依托이라幡然改悟하고 夫君의喪葬祭節을依禮遵行하고以奉舅姑와育孤兒와保家戶의三事로爲己任하여或賃傭或行商으로以做奉老育孤之資하여家計를扶持하니 其間의生活苦焦는難以形言이라 實로全節寡居로奉老育孤한孝㤠婦가아닐수없는故로鄕老族黨間에서그孝烈之行을表彰한바있습니다또한孤子인明國이그慈堂의義方敎育을받아 社會人들로부터信望을받고 두孫子가延大와全大에在學中이니 모두婦人의爲善之福이아니할수없습니다綱倫이斁敗된오늘에있서 婦人의孝烈之行은 世人들의模範이될수있으므로 首善之地에게신成均館長任께서婦人에對한孝烈婦褒彰을하시어勸善興仁之道廣布하여주시기千萬伏望하니이다孔夫子誕降二千五百辛五十三年 月 日光州鄕校典校 吳仁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表從金公【仲鐸】文 昔在戊午庚申之間公負笈從學于雙山永圃齋師我先人公之於我卽表從兄也而又與之同門則愛公之深知公之熟宜無如我者況內舅門戶之托先人衣鉢之傳俱在於公而何遽不淑以至于此耶盖公之才質初甚朴茂篤志厲學之餘開口成章運筆如飛雖千萬人埸屋前者走僵後者駭汗旣溢而流持滿而發信乎學力之不可誣也公之稟性捐介正直雖不爲流俗之所悅而孝友之篤忠信之至操守凛然可謂有歲寒之節嗚呼以若才行宜其不爲不雨之雲不實之華而年纔五十齎志而逝儻所謂天難忱測者非耶嗚乎公之無意於世亦己久矣每與余語及風俗慨然有若凂之志其無乃蟬蛻淖泥之中雲遊岱嶽之上耶嗚呼中年漢師竟夕挑燈去冬完城雪裏分程宛如昨事今幾月日而郢質已死牙絃孰聽親戚之悲又兼知己之痛白首詞場無與適從況一朔病淹未得聞知嚴冬畏寒葬不臨穴知公之深愛公之厚反不若凡民之匍匐敬具雞酒送人賛奠嗚乎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傳【二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境內多士幼學尹鎭亨·朴宗孝·安載恊等 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 窃伏惟崇獎節義旋異行業者 係是我 朝家常典而寔有實行 不得蒙褒貤之恩 豈不惜哉 掎歟盛哉 本邑梁山金氏之祖諱亮號有恒齋 而宏博之學行 著顯之德行 年代寢邈 景仰愈新 靑蓮李公 負芨於斯門 林石川·崔孤竹·奇高峰諸賢 從遊於講席 紫陽書性理篇 則追日討論 心經·近思錄 則繼夜刮磨 恒居必以衣冠 韶顔白髮 望之 若地上仙 事父母 殫其誠孝 敎子孫 輒以莊嚴 故時人咸曰君子哉 遂名其里曰君子里 名其洞曰行義洞 其平素實行 怳若親見 而况復有恒齋曾孫節孝公好光杏亭公伸光兄弟 俱以出天之孝 恒切愛日之誠 其慈患之浸篤也 醫言鶉鴿宜疾 公虔誠禱天 一羣飛入幕中 羅以進之 病遂瘳焉 古人黃雀氷鯉之感 不獨專美也 曁甲子亂 與其兄節孝公 立功於猪灘 庚午登武科 丙子以兼司僕 扈從南漢 勞績甚著 參寧國原從一等功臣 朝家錄其勳 官至博川·凞川·忠州·永川四邑 皆立石 頌其淸廉 俱載左承宣洪瑑之日記 嗚呼 忠而能孝 孝而能忠 世所罕有 至於公三代如彼卓然者 豈非有恒齋之種德攸曁耶 以其德行忠孝 固宜食報於後 而尙久褒旌之舉 其爲士林抑鬱之歎 倘復如何 民等世居芳隣 習於見聞 而方欲褒獎之際 泮宮之通章來到 故玆以齊聲仰籲 伏願 閤下 特嘉金氏三世節行之卓異 以爲褒揚不泯之地 幸甚 謹冒昧以陳己巳四月十二日 幼學崔粹東 林善基 金以燮 尹宗旭 尹再烈 吳思復 吳始海 金錫良 宋益喆 金永發 吳福鉉 金情潤 安時宅 朴履孝 崔揵峴 金啓華 韓震翊 金浲垕 尹善祐 金興礪 尹相臣 趙湜 金在聲 宋彦吉 尹箕範 崔吉興 洪相鉉 孫錫孝 金正琪 尹河一 金正琰 吳成鉉 金仁澤 任宗世 李錫老 尹夢說 曺允泰 尹以相 魏永圭 林宗漢 洪甲浩 李重粲 朴就孝 李命碩 金雋涵 張是維 馬相眞 黃 全 趙運世 金元衡 林應文 文載永 趙正鉉 金養直 等官[着押][官印](題辭)節行卓異宜合褒旌(背面)而不敢擅言於其間向事十二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을미년 김열창(金悅昌)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金悅昌 長興都護府使 [署押] 5顆(7.0×7.0)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미년 2월 27일에 강진에 사는 유학 김열창 등 8인이 장흥부사에게 올린 상서 을미년 2월 27일에 강진에 사는 유학 김열창 등 8인이 장흥부사에게 올린 상서이다. 주요 내용은 자신들의 지친(至親)인 춘봉(春鳳)이 정병(正兵)의 역(役)에 혼입되어 원통하니 그에게 부당하게 부과된 천정(賤丁)을 속히 면제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다음 날인 28일 장흥부사는 "춘봉의 천역은, 그가 비록 장자(狀者)의 지친이긴 하나 간격(間隔)을 두고 득대(得代)한 상태이니, 어찌 헤아려 처분할 수 있겠는가."라고 처결하였다. 즉 춘봉이 천역에 혼입된 시점은 이전 부사 때이므로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6년 김춘봉(金春鳳)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長興都護府 金春鳳 行府使[着押] 1顆(7.0×7.0), 周挾改字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6년(정조 10)에 장흥부에서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6년(정조 10)에 장흥부에서 남면(南面) 남산포(南山浦)에 사는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생(1734)이다. 당시의 나이는 53세이다. 가족 사항은 없으며 외가는 해남윤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 증조부는 진해현감을 지냈고, 외조는 기록되지 않았다. 장흥부 남면 남산포는 지금의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一年 月 日 長興府考丙午成籍戶口帳內 南面南山里第一統第一戶 鰥夫幼學金春鳳 年五十三甲寅 本梁山 父 學生玧昌 祖 學生有聲 曾祖 通政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汝錫 外祖 學生尹弘濟 本海南等 癸卯戶口相準 印行府使[署押][長興府使之印][周挾改字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2008년 정상윤(鄭尙允)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日 光州鄕校 典校 鄭尙允 等 16人 康津鄕校 儒林 僉座下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日 鄭尙允 康津鄕校 儒林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8_001 2008년에 광주향교(光州鄕校) 전교(典校) 정상윤(鄭尙允) 등 16명이 강진향교(康津鄕校) 유림(儒林)들에게 보낸 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답통이는 통문에 공경히 회답하기 위한 것입니다. 가만히 생각건대, 서양의 사조[西潮]가 팽배하고 세상이 급변하여 가르치고 배울 곳이 없으며, 풍속 교화가 무너지고 보고 듣는 것이 모두 이치에 어긋나고 도를 손상시키는 때에, 한 우레와 같은 소식이 눈을 뜨게 하고 귀를 기울이게 하니 얼마나 다행이겠습니까. 삼가 귀하의 통문을 살펴보니, 군자서원과 행정사가 복원되고 이전 이름으로 편액을 고친 사유를 읽었습니다. 군자서원이 복원되고 이전 이름으로 변경하여 편액을 매단 것은 아무런 흠결이 없는 당연한 일이니, 어찌 성대하지 않겠습니까.귀 향교 유림 제위(諸位)께서 백세가 지나도록 잊지 않고 지난 행적을 이어 앞길을 열어서 한결같이 선현을 제사 지내는 법과 세도가 풍화되는 가르침이 되었으니, 이러한 성대한 일을 누군들 옷섶을 가다듬고 우러러 공경하지 않겠습니까. 이후로는 군자서원이 영원토록 기강과 규범을 변경하지 않기를 몹시 바랍니다.이상은 강진향교 유림 여러 좌하께 통문에 공경히 회답한 것입니다.단군 기원 4341년(2008) 무자 12월 모일에 광주향교 전교 정상윤·의전수석(儀典首席) 나창순(羅昌淳)·의전차석 강평원(姜平遠)·총무수석 박상래(朴相來)·총무차석 나종욱(羅鍾郁)·재무수석 이정희(李正煕)·재무차석 최동수(崔東洙)·교화수석(敎化首席) 김용길(金龍吉)· 교화차석 김남전(金南田)·조직수석(組織首席) 이경휘(李京輝)·조직차석 김환수(金煥洙)·섭외수석(涉外首席) 곽용선(郭龍鮮)·섭외차석 임인섭(林仁燮)·감사 빈정원(賓貞元)·감사 심재옥(沈載玉)·사무국장 이원송(李元松)·사무국장 김종회(金鍾會) 答通右敬答通事 竊惟西潮滿漲 滄桑及〔急〕變 教學無處 風化陵夷 所聞所見盡是悖理傷道之日 何幸一雷消息張目警耳也 謹按貴通 則君子書院杏亭祠之復元舊名改扁事由 而讀之 君子書院復元扁改揭宜當事無欠之事也 豈不且盛哉 貴校儒林諸位百世不忘之 繼往蹟而開前程 一爲先賢祀祧之典世道風化之教 如是盛擧 孰不斂衽而欽仰乎哉 自往以來 君子書院永爲勿替綱紀模範千萬幸甚右敬答通于康津鄕校儒林 僉尊座下橋君紀元四千三百四十二年戊子十二月 日光州鄕校 典校 鄭尙允[光州鄕校典校印]儀典首席羅昌淳 組織首席李京輝儀典次席姜平遠 組織次席金煥洙總務首席朴相來 涉外首席郭龍鮮總務首席羅鍾郁 涉外次席林仁燮財務次席李正煕 監事賓貞元財務次席崔東洙 監事沈載玉敎化首席金龍吉 事務局長李元松敎化次席金南田 事務局長金鍾會[皮封](前面) 康津鄕校 僉尊下(背面) 光州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含華子傳 含華子姓某名某系出東瀛其先世世有官閥今降同編戶含華子學于先人年九歲始讀小學十歲後汎覽經史百子略涉大義稍長慕擧子業以爲詩者可以發人才思推其極致則協笙歌薦郊廟融洩焉鏗鏘焉鳴國家之盛故作古詩數百篇近體九百餘首藝文志曰登高作賦可以爲大夫自屈宋以下至于雕篆靡不肄業駢耦效玉楊對策倣賈董雜以場屋科臼之製製作遂盈箱矣然挾小時文工于時者亦厭薄之由是屢擧發解不能進取困于風塵乃客居江海十七年與漁樵雜處人不知之亦恬如也嘗有吟曰龜趺淹歲月蟹屋架江潮海上相逢處無人慰寂寥聊以自遣也方其靜暇欲窮事物之變乃旁搜天文地理浮圖老子岐黃之術聲律韻學之方沿流泝夲雖不窮到亦各窺斑成數卷冊子已而焚之曰術不精則不如無言且與其用力於彼曷若盡心於斯道乎因以歷觀湖山風土所宜謡俗美惡晩年還鄕謂友人曰何必去父母之鄕盖欲就山深境僻淸泉脩越處結茆爲屋擁書自娛而亦未暇也乃歎日用舎行藏是有命焉不能自由探究性命之原硏窮義理之歸以淑其身且以爲垂世範俗之資者往哲所尙取小經四部潛心積慮上達六經分類編排間附已見作聖學謏聞董子之學有體而無用韓子之學有用而無體先儒病之旣有體矣不可無用且居則曰不吾知也如知之亦何以哉以切近於時務可以救政疵民瘼者作策數十篇名曰豨苓集嗚呼人雖至愚必有一得如有取者亦可以知其志也含華子長七尺餘氣質軟弱衣冠不詭雖處紛華其志則邱壑雲水也雖在窶窮其操則玉壺淸冰也與人交不忍輕絶聞人善喜而揚之但性素狷狹嫉惡太甚亦不敢暴也嘗自贊其象曰有凸其顙有秀其眉啓期之樂長康之癡讀聖賢書嗜而忘味遇泉石勝不慕富貴今人與居慕古之道優遊卒歲從好所好早尙韓文公范文正諸賢晩得朱子全書手不釋卷愛伊川撃壤集效其體裁如好夢必因思慮少陰機先有鬼神知庶幾近之矣年三十餘生一男常戒之曰治心莫如敬進學莫如誠行己處事莫如正汝須識之癸巳冬含華子自敍如此繼此以往不知所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康津居幼學金悅昌·垕昌·鍊昌等 謹再拜上書于長興府閤下 伏以有蔭子孫勿侵賤役 自是 朝家金石之典 而匪意生等之至親春鳳 混入於正兵之役 則豈不寃痛哉 大抵春鳳 雖爲渡淮之橘 而淪落于 治下南面之地 然枚擧變世 則於兵曺正郞綾城縣令爲六世孫 於戶曹參議爲四世孫 於鎭海縣監爲三世孫 而身疤于賤丁者 此不過面任輩之橫侵 誠極寒心 矧夫 閤下 容接士族之下 有此履盆之寃 故生等冒瀆 敢此仰籲 伏願 閤下 體 朝家恩貸士族之意 亟頉春鳳賤丁之侵 以爲遐方孱微士族支過之地 無任祈懇之至乙未二月二十七日 幼學金浻昌 光運 邦運 尙運 宗運等[着押][長興府使之印](題辭)春鳳之賤役雖是狀者之至親 似有間隔 得代何當量處向事色 卄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0년 병조(兵曹) 관(關) 고문서-첩관통보류-관 兵曹 全羅道觀察使 行判書[署押] 參判參議正郞佐郞 兵曹之印 3顆(8.9×8.9), 關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0년 5월에 병조가 전라도관찰사에게 보낸 관 1880년 5월에 병조가 전라도관찰사에게 보낸 관이다. 장흥에 사는 절충장군 김두권(金斗權)이 순장(巡將)으로 임명되었기에 그가 상경하여 임무를 살피도록 여러 읍에 전달하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兵曹爲相考事 道內長興居折衝金斗權 巡將差下爲有置 上來察任之意 該邑良中 知委施行 宜當向事 合行移關 請照驗施行 須至關者右 關全羅道觀察使光緖六年五月 日相考行判書[着押][關] 參判 參議 正郞 佐郞[兵曹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9년 김윤기(金潤器)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 金潤器 行縣監[着押] 1顆(6.5×6.5), 周挾字改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9년(정조 13)에 강진현에서 김윤기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9년(정조 13)에 강진현에서 칠량면(七良面) 율변리(栗邊里)에 사는 김윤기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호주 김윤기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신해생(1731년)이다. 준호구를 발급받을 당시의 나이는 59세이다. 가족으로는 아버지 김희구(金喜, 86세)가 있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조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증조와 외조부는 학생이다. 소유노비는 광양으로 도망간 비(婢) 1구가 있다. 강진현 칠량면 율변리는 지금의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단월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四年 月 日康津縣考己酉式成籍戶口帳內 七良面栗邊里第 統第 戶 鰥夫金潤器 年五十九辛亥 本梁山 奉父喜九 年八十六甲申 祖 老職通政大夫義 曾祖 學生 南斗 外祖 學生 朴震衡 本順川賤口婢玉丹逃 居光陽 相准 印行縣監[署押][康津縣監之印][周俠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2008년 최근덕(崔根德)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日 成均館長 崔根德 等 32人 康津鄕校 儒林 僉座下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日 崔根德 康津鄕校 儒林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8_001 2008년에 성균관장(成均館長) 최근덕(崔根德) 등 32명이 강진향교(康津鄕校) 유림(儒林)들에게 보낸 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2002년 오인균(吳仁均) 통고문(通告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孔夫子誕降二千五百五十三年月日 光州鄕校 典校 吳仁均 成均館長任 孔夫子誕降二千五百五十三年月日 吳仁均 成均館長任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2002년에 광주향교(光州鄕校) 전교(典校) 오인균(吳仁均)이 성균관장임(成均館長任)에게 보낸 통고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梁孝子傳 吾與之同姓而居同一鄕有名有天者盖孝子也凡吾梁氏皆自耽羅以良乙那爲始祖故以耽羅爲貫羅麗之世有封龍城錦城子孫因以派分然無非耽羅之支裔故散處八域者皆吾宗族而其初一人之身也況有天之尙貫耽羅又閱世居此疑與余爲近宗然奠系無徵其不可慨也哉且就其兩世言之則其父落草轉移家于丹陽面邊洞業於壠畮卽州西天台山下也吾嘗造焉谿谷窈窕竹木森秀中有草屋三間淨無塵埃有幽居之趣平生行誼見稱於閭黨而年又不永只有二子其長卽有天也有天之母李氏節行卓異遭崩城之痛誓以駢命絶不飮食者數日見兩稚遶膝號哭迺翻然而改曰使汝俱失怙恃無以生全夫子之家更絶香火薄命之人將無以見夫子於地下且腹有一塊血尙不墮地不可以自決遂彊食治生若無哀戚又產一女左右提挈酷於鍾愛三喪盡誠抱兒哭墓洊遭歉荒瀕死者數矣終不以餓死事失節人皆服其貞敬其不可犯之色焉有天於焉稍長身兼樵水代親之勞一言一動必以順親之心愉惋之容滌瀡之供殆若小學中人母年已衰又患痁疾殆至難醫焦遑煎迫頃刻靡懈蠲體禱天夜不交睫末乃割殷灌血於口中又稱兎肉利病炙以進之未冷之屍線陽復萌今異於昨漸臻完甦繼以甘脆靡不庸極白髮膚腴若未始病焉凡在見聞莫不嘖舌欽歎鶴鳴九臯聲聞于天幽而必闡至行所感盖自丙申爲始里而面面而鄕摭實薦報積至卷軸是母是子播諸萬口之誦邑宰稱賞旣頉簽伍之役中又烟役之蠲免而營題繡判皆以待時啓聞爲敎噫使斯人生於士大夫家誦六經之言服五典之敎賢父嚴師爲之提警則孝悌之感油然於習性者亦固有順無彊而以若褦襶之流魚魯之識夫孰謂篤於誠孝至忍血肉之痛而爲衆人所不能者耶其無乃所慈之節行爲醴泉之源靈芝之根耶然則其母之節行又誰敎之吁可異也尤可敬也且地賤人微之雖有至行鮮不有埋沒於斯世而吾鄕之前後彰善眷眷乎綆汲者其俗亦可尙也余始與斯人只知爲鄕人而同宗也未嘗有接盃酒道慇懃而及其順風而號足以興感於彝性而況如我百世之宗親耶況又儒狀之申複薦紳之嘉賞塗人耳目而實行之有不可誣者耶噫人之食報久乃可騐而或旌或贈必有其日矣于斯時也其可無家狀實蹪爲人之左證耶旣惜其寒微又懼夫衆論之不終故略此序敍以竢覽者之採擇焉此非阿好之言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論【四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병진년 김권용(金權龍)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金敬默 金權龍 1顆(6.8×5.3)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진년 9월 15일에 강진향교(康津鄕校)에서 김권용을 화엄사(花嚴祠) 예성제(禮成祭) 제관으로 천거하는 망기 병진년 9월 15일에 강진향교에서 김권용을 화엄사 예성제 제관으로 천거하는 망기다. 강진향교 전교 김경묵(金敬默)의 성명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망기 작성을 담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