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權五永 富貴功名在出天修仁三棣合心連名門繼世全通脈華閥承家守穎泉赫赫名聲添境內融融和氣繞庭邊以今鄕里榮譽重積善文公慶福傳【坡州郡炭縣面金蠅里】 樵菴安東權五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在玉 春和日暖寶城天爲祖孫亭賀客連好面朋交如厚石善心友德似甘泉淸香浮動田園裡淡性沈潛河水邊後裔能行先繼術保家保族永相傳【大田市東區三省二洞三六一―二】 新村金在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諸鍾福 致誠亭閣貫中天名鎭東方西海連靜而修身游學海儉以養志樂林泉慕先偉業千秋去道德全通八域邊覆地遺陰垂後世秉彝無忒繼承傳【大田市東區三省二洞三七四—一六】菊村漆原諸鍾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宋哲圭 棣亭築造鳳臺天瑞氣盈盈松翠連簾外山光千嶂石門前湧水一瓢泉鷰鶯陜路朝陽裡鷗鷺淸江夕影邊勝地尊鄕多景物萬人保護永相傳【大田市東區三省二洞三六五—一】隱堂鎭川宋哲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李鍾欣 茂棣濃陰暎碧天金昆玉季采相連雲牽瑞色凝靈岫月引精光照福泉竝枕同床情有極聯衿列座樂無邊人誰敢不爭稱美仰頌嘉風繼世傳【公州市鳳凰洞二二〇】聽虛全義李鍾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穩眠堂重建祝文【代進士金冉鐸撰】 竹樹城西芍藥峯前道庄一區至人盤旋粤在戊申堂扁穩眠夢到羲皇一枕千年隱居修道詒我靑氈老柏干雲疏杏岀林事有興廢時異古今改新觚稜于寅于巳述志肯堂聾啞父子牧守駐麾韻士結轍六翁華製桐岡健筆曁宋公額具此三絶伊後廾年又經一劫路迷草合山空水流詎容埋沒先祖菟裘隆棟之吉卜在玆辰鋸雪斤風工亦技殫朴而不華依舊苟完伏惟坤靈保佑無艱玆具酒饌虔告用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慶里社祝交 民惟土着以社爲主壝而樹之粤自周禮國而鄕里何所不然惟我比閭俗古民淳山農多稔野繭爲絲事育是安繄我神休修其淨土培以名木每勤報賽辰良日吉崇觴載俎一里單出神其保佑永永無極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三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祝文【二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秀才 城陰一別至今黯然邈若山河無緣再敍賢者不辱遠存言懇意複乃知從遊之間眞有一故人尊人榮衞少暢令季突弁尤庸欣慰僕近取榾柮殘火慰腹度日盖積痞之餘冷痰添崇思有以大承氣急攻下之然除非國醫亦難投癠恐元氣削弱一分受益又生一病也況四十之年今又過二顏髮和腴漸不如舊當門兩齒相者所謂內學堂而去年落其一冬來又脫去一功名之念亦因以少衰然人有寛譬之曰東人有病脚而作相失明而顯名者齒之缺安知不爲幸耶僕亦太憨頗信其然眞令人捧腹處也賢者近作詩文謂之老鍊則誠有所遜英銳發越之氣亦時文之所罕見者假有兩騏驥一則馴服已久駕車就道一如人意而齒則老矣一則奔騰決驟鷙曼介睨驤首高鳴怒必踶之齧之不受箝勒之施然新出蒲梢立於伯樂之廟矣使市馬者相其長進之步而爲之喂養當舎彼而就此也賢者有萬里前途幸勿以遠而遲之也然文章之其始也非直爲尋摘古語雕篆爲工取姸於人之目而已也非道理安用文爲哉近者大悟四十二年之非斷然一心以科第文字爲弁髦從事中庸性命之原靜坐玩繹已有年矣其要不過尊德性道問學然自非聖知而專務尊德性則近於江西之頓悟不流於佛者幾希是以莫如先講學以進於尊德性之域耳頃書別紙有西銘理一分殊之問意賢者亦有志於本原之學故及之若東西分黨之說則本無是非之定論使主乎東者辨之指西而爲非主乎西者辨之以東而爲非東果是而西果非耶西果是而東果非耶栗谷先生有兩是兩非之論皆不若調停保合同趨於大公至正之域耳然此非在下之所可能而不如無辨之爲愈也且吾東甲乙之論決非君子小人黑白之判也何必觸時諱犯笑侮使一邊之人指之以一邊之人乎所可知可學者多矣不必留意於此等也一種先入之言主着於胷中則有如物有根則必露生接人討話褊性忿戾之氣隨時作病痛也無已則有一說劉元城呂汲公當洛蜀之分不爲褊論葉向高値東西林之變不爲危言劾論此可師範也黨論之禍人國以社稷之大計生民之休戚爲餘事角戰取勝干戈相尋於朝著之上社稷生民隨而受病而莫之救藥書曰王道蕩蕩無偏無黨易曰元吉以中正學者平日用心當以三代盛際爲法而立身要路所欲忠者國耳利安元元爲務如此而已所示法帖篆隷眞草俱備亦希世之珍玩僕平生作字全未成樣欲知運筆之方非欲刻意於鍾王虞柳之技也然旣得所欲見者則一日之間三四開示或以意摸索以指畫肚玩物之戒因此而發然就其中烏川陶翁坡山之筆亦遒健勁硬若留意於書學此君子之心畫也久假不歸幸恕之契濶已久惟冀學進以副區區之望不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姪德三【相鼎】 江湖相忘亦已經年未審新元侍彩諸節俱爲增祉慰溯慰溯族從望八之齡亦已過分天公嗔其久留陽界降此奇疾則分所甘當焉但痛死可也癢死令人可慚晝夜搔爬渾身遍腫目不交睫如此可保也耶昨聞行塵不遠而想戞過多病之疏奚獨故人也顧此瀕死人事血屬無望故不待議于門中以雙峯再從姪大如之第三子原默兒立螟兒雖無厥父之快諾吾以此牢定耳諒之也不知那時更見天日造敍貴中耶適仍便略此略草不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喜懼齋序 情發於性而性無不善情有善惡然情之所感者正而發皆中節則可喜者喜之可懼者懼之而情亦無不善也況孝爲萬善之首而喜懼之一於其親者哉吾宗有梁鍷永者卽喜懼齋主人也其孝親之誠出於天性不假修爲其溫凊滫瀡之奉猶屬疏節而計日而月計月而年思其不可復者而恒慥慥焉此其喜懼之情發於性而無不善者非耶晩乃有詩曰徹地恨無窮叫天問未緣老萊彼何德兒嬉白首年盖傷其親之蚤世不得終養也然則爲誰而可喜爲誰而可懼而猶以喜懼稱之者亦豈非不忍死其親而事死如生之意乎噫喜懼者七情中事而旣不離乎性之本善又能愈久而篤於風樹之感則其素學而能者不惟天資之過人而果非有得於家庭者乎其王考三事齋亦嘗以孝聞於世也然其澹於利而厚於交濶於事而富於文吾嘗同遊京輦薦紳章甫莫不以爲善人吉士而詩亦大行于時出入乎風騷者之閒此豈非詩出於感而形於物乎余於是益信喜懼之賢而有才者皆孝之推也爲之序而系以詩曰禾黍之怡怡兮蓼莪之泣生可致養兮沒而靡及父母之年一喜一懼子之名齋惟以繼孝凡爲人子是則是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醒齋序 余友福川金國元自號曰晩醒請余以贈言余曰不醉胡醒余常見君雖遊於酒人乎飮未嘗至醉是知晩醒之意不在酒也人之生也固有明德爲知覺之原如把火之燃寶鑑之徹物之照管乎中者豈有毫忽之差爽乎是以見理則明處事則當何待瑞巖僧喚做而爲存心養性之節度乎然自非上知氣稟是拘人慾是蔽夢覺之間塵塵相授昧昧然昏昏然懸懕爲愚下之人而止耳安能使此心不死而全其本然之天乎噫子之平生余亦知之矣聰明才識出乎等夷遇文字如騎生馬捕長蛇涉獵領會急不得暇象數之明若將見河洛之奧然父兄之詔妻孥之仰不免爲進取之學至今紛如窮阨愈甚雪裘而服其絺暑風而從之火外慕之所牽中熱之所爍形神苦惱穎慧頓減於前日況黲然者白渥然者槁日月冉冉如東流之不返惟恐爲醉生夢死之歸且醉酒酩酊尙可以析醒而況此心之天虛靈不昧乎是以晩醒之稱所以志前過而善晩節也自今以往將從事於本原之學求所以存吾心養吾性眞若囚星焚月者之戒乎酒而不至於醉也然其醒也固有道大學一部是吾儒之本家而明明德又是第一綱領最初下工處也盍亦專門乎是余將見晩醒之學幾乎天民之先覺而余亦不酒而醉者也有感於子之請爲之序焉又以詩申之曰因酒而醉其醉易醒不酒而醉其醉難醒難且醒焉是爲眞醒衆醉滔滔迷不知醒子醒非晩於乎獨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김춘봉(金春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長興都護府 金春奉 行府使[着押] 1顆(7.0×7.0), 周挾改字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3년(정조 7)에 장흥부에서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3년(정조 7) 4월에 장흥부에서 남면(南面) 남산포(南山浦)에 사는 김춘봉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생(1734)이다. 당시의 나이는 50세이다. 가족 사항은 없으며 외가는 해남윤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 증조부는 진해현감을 지냈고, 외조는 기록되지 않았다. 장흥부 남면 남산포는 지금의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 日 長興府考癸卯成籍戶口帳內 南面南山浦第 統第 戶 鰥夫金春奉 年五十甲寅 本梁山 父 學生玧昌 祖 學生有聲 曾祖 通訓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汝錫 外祖 尹弘濟 本海南等 庚子戶口相準 印行府使[署押][長興府使之印][周挾改字印]김츈봉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2008년 임원택(林元澤)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除月日 財團法人 全羅南道鄕校財團理事會 理事長 林元澤 等 45人 康津鄕校 儒林 僉尊座下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除月日 林元澤 康津鄕校 儒林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8_001 2008년에 전라남도향교재단이사회(全羅南道鄕校財團理事會) 이사장(理事長) 임원택(林元澤) 등 45명이 강진향교(康津鄕校) 유림(儒林)들에게 보낸 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통문에 공경히 회답합니다.이 글은 통문에 회답하기 위한 것입니다. 일찍이 듣건대, 군자서원이 어진 이를 존중하고 선비를 양성하는 유풍(儒風)이 세상에 나타나게 하고 나쁜 풍속을 좋은 풍속으로 바꾸는 교화가 고을에 드러나게 하였으니, 이는 사도(斯道)의 성대하고 지극한 일입니다. 시운이 불행하여 훼철되는 시기를 맞아서 유항재(有恒齋) 김 선생·절효(節孝) 김공·행정(杏亭) 김공 세 선생의 제단을 설치하고 제수를 올려 제사를 지냈습니다. 매우 다행스럽게도 지난 경자년(1900)에 본손(本孫)의 정성과 노력으로 도내의 사림이 성균관에서 서로 모여서 유장(儒章)이 겨우 완성되어 행정사를 다시 설립했습니다. 하지만 세 현인을 제향하는 의식만 치러지고 서원을 다시 설립하지는 못했으니, 사림들이 탄식하고 자손들이 한탄하였습니다. 귀 군(郡)의 여러 군자께서 학교를 일으켜 풍속을 돈독하게 다지는 데 뜻을 두었으니, 이러한 훌륭한 거사가 있었습니다. 이전 성인의 관복을 입고서 이전 성인의 도를 강마하고 이전 성인의 예를 행하여 도성의 인사들이 보고 느껴서 분발하게 하였습니다.말장(末章)에서 다 말하였으니, 더는 첨언할 것이 없습니다. 여러 공의 이러한 거사가 어찌 숨은 것을 밝히고 은미한 것을 드러내는 매우 유쾌한 소식이 아니겠습니까. 원근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게 기운이 백배나 솟을 것입니다. 이 어지러운 시대를 맞아 기존의 시설은 오히려 버티기가 어려울 것인데 추후에 강당과 동재·서재를 건립하여 강학하고 장수(藏修)하며 재숙(齊宿)하게 한다면 서원의 규모가 얼마나 심히 장엄하고 장렬해지겠습니까.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비바람 몰아쳐 어둑한데 닭 울음소리 그치지 않도다."라고 하였습니다. 혹 선비를 숭상하고 도를 높여서 학교를 일으키는 단서가 거의 여기에서 힘입어서 나타날 것이니, 이 날 이러한 거사는 단지 강진 한 고을을 위한 축하가 될 뿐만 아니라 세도를 위한 축하가 될 것입니다.원하건대, 정채(精彩)를 더욱 진작시켜 세 선생의 아름다운 혼백을 사당에 영원토록 모시고, 또 선생의 높은 풍모와 깊은 학식에 힘쓰고 그 가르침을 강마하여 유풍과 여운을 영원토록 변치 않게 한다면 하늘에 계신 선생의 영령이 어찌 너풀너풀 머리를 풀어 헤치고 이 땅에 내려오시지 않겠습니까.1)저희는 어진 이를 존중하는 관점에서 의당 함께 계획하고 함께 힘을 합쳐 미연에 꼼꼼이 대비하는 말도(末道)를 외람되이 맡았지만, 길은 몹시 멀고 자질은 부족하고 어리석어 그저 어진 이를을 존숭하는 마음만 있고 어진 이를을 존숭하는 도는 펴지 못하고 있으니, 묵묵히 이해하고 용서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이상은 강진향교 유림 여러 좌하께 공경히 답통한 것입니다.단군 기원 4341년 무자(2008) 12월 모일에 재단법인 전라남도 향교재단 이사회 이사장 임원택(林元澤), 상무이사(常務理事) 김정진(金丁鎭), 이사 이병기(李秉璣)·허동열(許同烈)·이규형(李圭珩)·기완서(奇梡舒)·박종상(朴宗相)·김욱현(金旭鉉)·박덕재(朴德載)·선창규(宣昶奎)·송종묵(宋鍾默)·정수길(丁壽吉)·최철환(崔喆煥)·박문수(朴文洙), 감사 김정수(金正洙)·정영준(丁永埈), 사무국장 박영욱(朴榮昱), 각 향교 전교 나주 임호순(林昊淳)·남평(南平) 홍석종(洪錫宗)·순천 장영봉(張泳峯)·낙안(樂安) 황재현(黃在鉉)·여영(麗永) 정병화(鄭炳和)·돌산(突山) 문두환(文斗煥)·해남 김금수(金錦洙)·무안 배석오(裵錫五)·지도(智島) 이현웅(李鉉雄)·담양 최낙현(崔洛鉉)·창평(昌平) 조인진(曺仁鎭)·화순 류기모(柳基謨)·능주 홍기평(洪起平)·동복(同福) 정채호(丁彩鎬)· 영광 정대성(丁大聲)·곡성 허진(許津)·옥과(玉果) 한규환(韓圭煥)·광양 정현무(鄭鉉武)·구례 이강한(李康漢)·보성 손동일(孫東逸)·영암 김연채(金然采)·강진 윤기봉(尹奇奉)·함평 김규채(金圭埰)·고흥 손종주(朴從柱)·장흥 김재열(金在烈)·장성 기우천(奇宇天)·진도 박종화(朴鐘華)·완도 박정필(朴正必) 너풀너풀……않겠습니까 세 현인의 영령이 사당으로 내려와서 제수를 흠향함을 말한 것이다. 「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에 "공께서 잠시도 머물지 않으시어 우리는 눈물 줄줄 흘리오니, 너풀너풀 머리를 풀어 헤치고 이 땅으로 내려오소서.[公不少留我涕滂, 翩然被髮下大荒.]"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古文眞寶後集』 卷8) 敬答通右文爲回通事 曾聞君子書院 卽尊賢養士之儒風顯于世 移風易俗之敎化著於鄕 斯道之盛至矣 時運不幸 當毁撤之際 有恒齋金先生節孝金公杏亭金公三先生設壇妥侑 而祭之何幸 去{迋/山}庚子本孫之誠力道內士林泮館相交 儒章纔成 復設杏亭祠 只爲三賢籩豆之儀未遑書院復設 士林之興歎 子姓之齎恨 貴郡 僉君子有意於興學敦俗樹風 有此盛擧 以先聖冠服講先聖之道 行先聖之禮 伸城內人士有觀感於聳動而已 悉於末章 則不復更贅焉 諸公此擧豈非闡幽發微之大快報也耶 使遠近者不覺增氣百倍耳 當此搶攘 旣存施設猶難支撑 而追建講堂及東西兩齋 而講學藏修齊宿 書院規模何甚壯矣 何其烈也 詩云風雨如晦 鷄鳴不已 或有崇儒尊道興學之端 庶幾賴此而發 則此日此擧非直康津一鄕之賀 乃敢爲世道賀 惟願益振精彩 伸三先生芳魂懿魄 永有妥靈 又勉先生之其高風邃學 講其教 而使其遺風餘韻 永世勿替 則先生在天之靈豈不翩然被髮 而下於大荒也耶 鄙等其於尊賢之地宜乎協謀齊力 忝聽綢繆之末道 而途修夐 蹇拙庸愚 只有尊尙之心未伸 尊尙之道 倘可默會 而恕侑否右敬答通于康津鄕校 儒林 僉尊座下奪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戌子除月[財團法人 全羅南道鄕校財團之印]財團法人 全羅南道鄕校財團理事會 理事長 林元澤[全羅鄕校財團理事長]常務理事 金丁鎭理事 李秉璣 許同烈 李圭珩 奇梡舒 朴宗相 金旭鉉 朴德載 宣昶奎宋鍾默 丁壽吉 崔喆煥 朴文洙監事 金正洙 丁永埈事務局長 朴榮昱各鄕校 典校羅州 林昊淳 南平 洪錫宗 順天 張泳峯 樂安 黃在鉉 麗永 鄭炳和 突山 文斗 煥海南 金錦洙 務安 裵錫五 智島 李鉉雄 潭陽 崔洛鉉 昌平 曺仁鎭 和順 柳基 謨綾州 洪起平 同福 丁彩鎬 靈光 丁大聲 谷城 許 津 玉果 韓圭煥 光陽 鄭鉉武 求禮 李康漢 寶城 孫東逸 靈巖 金然采 康津 尹奇奉 咸平 金圭埰 高興 朴從 柱長興 金在烈 長城 奇宇天 珍島 朴鐘華 莞島 朴正必[皮封](前面) 康津鄕校儒林 僉尊下(背面) 財團法人全羅南道鄕校財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2008년 임호순(林昊淳)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日 羅州鄕校 典校 林昊淳 等 34人 康津鄕校 儒林 僉座下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日 林昊淳 康津鄕校 儒林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8_001 2008년에 나주향교(羅州鄕校) 전교(典校) 임호순(林昊淳) 등 34명이 강진향교(康津鄕校) 유림(儒林)들에게 보낸 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공경히 통문에 회답합니다.이 글은 회답하여 알리는 것입니다. 사물이 있고 나서 이름이 있으니, 아무리 미천한 물건이라도 모두 이름이 존재합니다. 그러니 어찌 학문을 강마하고 도를 밝히는 장수(藏修)하는 곳도 없이 단지 사당만으로 일컬어지겠습니까.삼가 귀하의 통문을 살펴보았습니다. 귀하의 군 작천면 소재에 있는 군자서원과 행정사는 유항재(有恒齋) 김 선생·절효(節孝) 김공·행정(杏亭) 김공의 세 현인을 향사하였고, 학문을 배우고 행실을 실천한 선생의 학문을 강학하고 도를 밝힌 서원입니다. 고종 무진년(1869)에 불행히도 대동(大同)의 철폐령이 실행되어 사림이 한탄스러워한 지 오래되었습니다. 지난 경자년(1900)에 구차하게 돈을 마련하여 겨우 행정사를 복원하고 제사를 지낸 이후에 행정사라고 칭했습니다. 이에 다행히도 서원의 규모가 완전해지고 이전 모습을 복원하여 다시 편액을 걸고 그 사유를 통지하였습니다.아, 성대합니다. 인륜을 무너뜨리고 기강을 어지럽혀진 날에도 어두운 거리의 촛불과 비바람이 몰아치는 깊은 밤의 닭1)이 되지 않겠습니까. 이와 같은 성대한 거사는 진실로 후손의 영광이자 사문의 성대한 일입니다. 선비의 반열에 있는 자 중에 누가 감히 이견이 있겠습니까.저희는 외람되이 이웃 고을에 살면서 사문의 성대한 일을 만났으니, 사모하는 심정이 태산(泰山)·북두(北斗)2)와 같습니다. 바라건대, 여러 군자는 예전의 예법을 준수하여 혼령을 모시고 제향을 올려서 선비들의 기강을 붙들어 세우고 명교(名敎)에 모범이 된다면 사문에 있어 큰 다행일 것입니다.이상은 강진향교 유림 여러분께 공경히 통문에 대한 회답한 것입니다.단군 기원 4341년(2008)에 무자 11월 모일에 나주향교 전교 임경순(林炅淳)·유도회장(儒道會長) 나종수(羅鍾洙)·사무국장 임재택(林在澤)·감사 이세형(李世炯)·감사 김경래(金京來)·장의(掌議) 최기문(崔基文)·장의 이재민(李材珉)·장의 오인선(吳仁善)·장의 김성두(金成斗)·장의 이춘형(李春炯)·장의 김종우(金鍾祐)·장의 정병남(鄭昺南)·장의 이응만(李應萬)·장의 최석봉(崔錫奉)·장의 홍종덕(洪鍾德)·장의 박갑종(朴甲宗)·장의 박천수(朴天秀)·장의 임운택(林雲澤)·장의 김원진(金元鎭)·장의 오수신(吳秀臣)·장의 염규만(廉圭滿)·장의 김종성(金鍾成)·장의 문인식(文仁植)·다사(多士) 한두현(韓斗鉉)·다사 최태균(崔泰均)·다사 홍희주(洪憙朱)·다사 박홍순(朴弘淳)·다사 박원택(朴元澤)·다사 정병순(鄭昺淳)·다사 김순택(金淳澤)·다사 장용산(張龍山)·다사 이현범(李鉉範)·다사 정소진(鄭昭鎭)·다사 정제갑(鄭濟甲) 비바람의……닭 난세에 처해도 꿋꿋이 자신의 지조를 변치 않는 군자를 말한다. 『시경』 「풍우(風雨)」에 "비바람 몰아쳐 어둑한데 닭 울음소리 그치지 않도다. 이미 군자를 만났으니, 어찌 기쁘지 않으리오.[風雨如晦 雞鳴不已 旣見君子 云胡不喜]"라고 한데서 나온다. 태산(泰山)과 북두(北斗) 우러러볼 정도로 존귀하고 훌륭한 사람을 말한다. 敬回通右文爲回諭事 夫有物而有名 雖微物 而皆有名 豈無講學明道藏修之所 只以祠稱乎哉 謹按 貴通則 貴郡鵲川面所在君子書院杏亭祠則 有恒齋金先生節孝金公杏亭金公三賢享祀 而先生之學其學行其行之講面所在群書院亭祠則有講明書院 而 高庙戊辰不幸入於大同之毁撤 士林之齎恨攸久矣 余去{迋/山}庚子苟且經濟 僅復杏亭祠俎豆 以來稱以杏亭祠云 玆今幸於書院規模完復設 舊貌改觀 更揭扁 事由告通矣 猗歟盛哉 此喪倫敗紀之日其非昏衢之燭風雨夜長之鷄乎 如斯盛擧 則實是爲後孫之榮光 斯文之盛事也 凡在章甫之列者孰敢有異哉 鄙等忝在隣鄕 承此斯文之盛事 則慕仰如泰山北斗也 惟願 僉君子克遵舊禮 妥靈享祀培植士紀 垂範名敎 斯文幸甚右敬答通于康津鄕校 儒林 僉座下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 日[羅州鄕校]羅州鄕校 典校 林炅淳 [羅州郡羅州文廟直員]儒道會長 羅鍾洙 事務局長 林在澤 監事 李世炯 監事 金京來 掌議 崔基文 掌議 李材珉 掌議 吳仁善 掌議 金成斗 掌議 李春炯 掌議 金鍾祐掌議 鄭昺南 掌議 李應萬 掌議 崔錫奉 掌議 洪鍾德 掌議 朴甲宗 掌議 朴天秀 掌議 林雲澤 掌議 金元鎭 掌議 吳秀臣 掌議 廉圭滿掌議 金鍾成 掌議 文仁植 多士 韓斗鉉 多士 崔泰均 多士 洪憙朱 多士 朴弘淳 多士 朴元澤 多士 鄭昺淳 多士 金淳澤 多士 張龍山多士 李鉉範 多士 鄭昭鎭 多士 鄭濟甲[皮封](前面) 康津鄕校 僉尊下(背面) 羅州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공경히 통문에 회답합니다.이 글은 공경히 답변하고 회유(回諭)하기 위한 것입니다. 삼가 생각건대, 후학들은 선현의 도에 대해 가르침을 받았는데, 근자에는 온 세상이 세대가 멀어지고 사람이 죽고 없으며 경전이 잔멸되고 가르침이 해이해졌습니다. 나날이 오랑캐의 풍습으로 변하고 사람의 도가 쇠퇴한 이때 삼가 귀향의 말장(末狀)을 살펴보았습니다. 군자서원과 행정사는 순조 경진년(1820)에 처음 건립되어 유항재(有恒齋) 김량(金亮) 선생과 그 증손 절효공 호광(金好光), 그 아우 행정공(杏亭公) 신광(伸光) 세 선생을 제향하는 곳입니다. 고종 무진년(1869)에 비운을 맞아 끝내 훼철되는 변고를 당해서 사림들이 의지할 곳을 잃고 후손들이 한탄한 지 오래되었습니다. 백여 년 동안 사모하는 곳을 잃고 살다가 지난 경자년(1900)에 옛터를 복설하였습니다. 이때는 겨우 행정사만 복원하고 서원의 이름은 찾지 못했는데, 이후에 다행히 요즈음 규모를 넓혀서 서원의 모습을 갖추고 예전 이름으로 회복하여 변경하여 칭한다면 누군들 감동하여 어깨를 들썩이고 펄쩍 뛰지 않겠습니까. 지금 여러 존자가 계획한 성대한 일은 참으로 사문이 결속하고 회복되는 기회이니, 세 선생의 도가 아마도 세상에 다시 밝혀질 것입니다.저희는 외람되이 서울 성균관의 자리에 있지만, 가르치고 배우며 어진 이를 사모하는 정성은 본성을 타고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똑같을 것입니다. 학문을 강론하고 도를 밝혀서 사문이 흥성하는 도에 보탬이 된다면 몹시 다행일 것입니다. 이에 성균관의 여론을 두루 수렴하여 찬양합니다.이상은 강진향교 유림 여러분께 통문에 공경히 회답한 것입니다.단군 기원 4341년(2008) 무자 12월 모일에 성균관장 최근덕·수석부관장 어약(魚躍)·부관장 김태우(金泰瑀)·부관장 이영호(李英鎬)·부관장 성지월(成芝月)·부관장 정윤수(鄭玧洙)·부관장 성원모(成元模)·부관장 류시보(柳時甫)·부관장 정순도(鄭淳度)·부관장 김병천(金柄天)·부관장 박남호(朴楠浩)·부관장 박종은(朴鍾殷)·부관장 공병철(孔炳哲)·부관장 장영태(蔣永台)·부관장 양재영(梁在榮)·부관장 임석구(林錫九)·성균관유도회총본부회장 강대봉(姜大奉)·부산본부회장 양규명(梁奎明)·대구본부회장 우정택(禹貞澤)·인천본부회장 이진성(李珍成)·광주본부회장 박태근(朴泰根)·대전본부회장 성백일(成百一)·울산본부회장 서태수(徐太洙)·경기본부회장 조남철(趙南喆)· 강원도본부회장 윤범모(尹範模)·충북도본부회장 연병권(延秉權)·충남도본부회장 윤준기(尹竣基)·전북도본부회장 윤재옥(尹在玉)·경북도본부회장 박명준(朴命俊)·경남도본부회장 배도석(裵鍍奭)·제주도본부회장 고창봉(高昌奉) 敬回通右文爲敬答回諭事 夫伏以後學爲教先賢之道 而挽近擧世世遠人亡 經殘敎弛 此日化蠻戎 人道衰微之際 謹按 貴鄕末狀 君子書院杏亭祠則始創於 純祖庚辰 而享有恒齋金先生諱亮且其曾孫節孝公諱好光其弟杏亭公諱伸光三先生之所 而高宗戊辰時値否運 竟遭毁撤之變 士林失依 後仍茹恨久矣百有餘年失寓慕之處 而去{迋/山}庚子復設舊址 時纔復杏亭祠 失院名以來 幸玆昨今廣敞規模 具貌書院 舊院復名改稱之望 孰不興感聳肩躍起哉 今日之 僉尊盛擧實斯文束復之機 三先生之道庶幾復明於世矣 鄙等忝在首善之地 教學慕賢之誠秉彝攸同也 講學明道 以補於斯文興盛之道 則千幸之事 玆以博收館輿讚揚焉右敬答通干康津鄕校 儒林 僉座下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十二月 日[成均館印]成均館舘長 崔根德[成均館長之印]首席副舘長 魚躍 副舘長 朴鍾殷副舘長 金泰瑀 副舘長 孔炳哲副舘長 李英鎬 副舘長 蔣永台副舘長 成芝月 副舘長 梁在榮副舘長 鄭玧洙 副舘長 林錫九副舘長 成元模副舘長 柳時甫副舘長 鄭淳度副舘長 金柄天副舘長 朴楠浩成均館儒道會總本部會長 姜大奉[成均館儒道會總本部會長印]釜山本部會長 梁奎明 江原道本部會長 尹範模大邱本部會長 禹貞澤 忠北道本部會長 近秉權仁川本部會長 李珍成 忠南道本部會長 尹竣基光州本部會長 朴泰根 全北道本部會長 尹在玉大田本部會長 成百一 慶北道本部會長 朴命俊蔚徐本部會長 徐太洙 慶南道本部會長 裵鍍奭京畿本部會長 趙南喆 濟州道本部會長 高昌奉[皮封](前面) 康津鄕校儒林 僉尊下(背面) 成均館[成均館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