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三棣亭記(5) 天峯之山逶迤南馳하여崒爲飛鳳하니其下向南而開洞府曰圓峰村者는卽南平文氏菟裘之地也라有兄弟三人而不佞이與其伯叔善하여熟知其家世矣라蓋其事親怡愉如孺子然하여朝夕有暇에侍側不離하며承其志意하고樂其耳目하며安其寢處하고且其於瀡滫之奉과藥餌之節에靡不用極이러니病㞃에三人이俱斮指灌口하여延得長壽하고又復卜得吉地而厝焉하다拮据十數年에得穀若干斛하여賁先塋而具石儀하고建墳菴以備齋宿하며竟成先世未遑之事하니古稱孝子者何以過此리요雖其析箸異宮而有無共之하며常怡怡如也하니楊播姜肱之風이라然時値不古하여隨俗散居故로三人相與議之하여就村中窈窕處하여得一區土以築一亭하니迺以丁卯春始役而訖工于戊辰春이라其爲制也四楹三間이요前堂後室而中隔窓欞하여掛之如簾然則通爲一廳事라名之曰三棣라하니蓋取諸小雅常棣詩燕兄弟之意也라若夫常棣開華則韡韡然外見矣이요鶺鴒在原則皇皇焉急難矣이니此是洽然形容兄弟恩情之殷勤也라想其兄弟讀書于此하고酌酒于此하며且或彈琴于此而其子孫亦得以春秋肄業于斯하고又復燕集于斯則今之三棣가豈不爲後日無數之棣乎아如不佞者兄弟雖多나而不能團欒和翕하니益媿夫三棣亭中之兄弟人也라檀君紀元四千三百二十一年戊辰五月大暑日長興魏啓道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朴洛景 福內亭高碧澗天弟兄遊處棣三連自營稼穡居山谷不取榮名隱石泉箕裘詩禮承先裡養志儒規繼後邊仙區別有風光美樂趣雲林永保傳【溟州郡玉溪面北東里】沮儂朴洛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兪炳圭 亭高福內洞中天天作仙區八景連勝地奇形雲外岫名山鍾氣石間泉弟兄友誼相逢裡宗族溫情共養邊華閥從今餘蔭厚稱聲藉藉遠方傳【溟州郡南面明洞里二三八】秋江杞溪兪炳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潘哲均 棣亭兀兀別開天瑞日祥雲萬里連巖上老松松上鶴林間怪石石間泉帽峰返照三山外飛嶽晴霞一水邊秋菊春蘭千載景彬彬文物永悠傳【洪川郡北方面九巒里】潘哲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鳳成 三棣亭前出孝天友堂積善一鄕連祥雲繞室公家慶雨霽淸風留石泉宇宙三光祈福祿乾坤日月照周邊貴門德業千秋赫鳳子麟孫萬世傳【洪川郡瑞石面笙谷】珠谷江陵金鳳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蔡冀鎭 三棣高亭別界天塤箎湛樂共筵連窓間夜月浮楹宇案上詩書活水泉孝友精神和氣裡承先事業瑞光邊彬彬多士相爭賀從此扁楣永世傳【聞慶郡永順面達池里】 栗隱仁川蔡冀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蔡瑃植 新亭屹立稟資天三棣連床一氣連富貴功名如草露漁樵得意遯林泉長松萬壑雲深處四節風光景不邊省內諸賢多賀地先靈陟降永悠傳【聞慶郡山陽面縣里】 仁川蔡瑃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姜信中 構亭三棣告功天律士詩文復闡連好學光風雲照榻厭官霽月彩加泉董書得意勤誠裡寵野安居講究邊百歲精靈山重惠賢孫信筆大通傳【安東市安東龍上國民學校】 蒼山晉州姜信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53년 김윤창(金玧昌)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 金玧昌 行縣監[着押] 1顆(6.5×6.5), 周挾字改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53년(영조 29)에 강진현에서 김윤창에게 발급한 준호구 1753년(영조29) 9월에 강진현에서 초곡면(草谷面) 갈동리(葛洞里)에 사는 김윤창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호주 김윤창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직역은 유학이며, 신묘생(1711)이다. 당시의 나이는 41세로 기록되었지만 생년으로 보면 김윤창의 나이는 43세이다. 가족으로는 37세의 처 해남윤씨가 있다. 김윤창의 외가는 양천 허씨이고 처의 외가는 보성 선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윤창의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조부는 행 진해현감(行鎭海縣監) 증조부는 증(贈) 호조참판(戶曹參議), 외조부는 학생이다. 처의 사조는 부ㆍ조ㆍ증조ㆍ외조 모두 학생이다. 소유노비는 비(婢) 2구와 노(奴) 1구, 사망한 비 1구가 있다. 강진현 초곡면 갈동리는 지금의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갈동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十八年九月 日 康津縣考己酉成籍戶口帳內 草谷面葛洞里第 統第 戶 幼學金玧昌 年四十一辛卯本梁山 父 通德郞有聲 祖 通政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汝錫 曾祖 贈戶曺參議義兼 外祖 學生許塾 本楊川 妻尹氏 年三十七乙未 籍海南 父 學生弘濟 祖 學生之恒 曾祖 學生好詧 外祖 學生宣震英 本寶城 賤口秩 婢成月故 同婢一生婢元先 年三十八 婢延每 年二十六 奴末金 年三十七 癸酉戶口相準 印行縣監[署押][康津縣監之印][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통문에 공경히 회답합니다.이 글은 공경히 아뢰기 위한 것입니다. 아, 서원의 존폐는 운수가 그렇게 만든 것이며, 서원의 부흥은 또한 세도의 존폐와 관계되니 도의에 달려 있습니다. 군자서원은 순조 경진년(1820)에 창설되었는데, 불행히도 고종 무진년(1869)에 철폐된 일은 온 나라와 온 도가 모두 함께 겪은 일이었습니다. 이에 선비들은 귀의할 곳을 잃어 학문이 강론되지 않고 예가 행해지지 않아 무성한 풀로 뒤덮여 황폐해졌으니, 길을 가던 사람들이 한탄하고 애석해한 지 오래되었습니다.지난 경자년(1900)에 겨우 행정사를 복원해서 단지 제향만 해왔습니다. 그러다가 다행히 최근에 서원의 시설이 완전히 복원되었습니다. 드러나고 묻힘은 때가 있는데 현판은 다시 새로워졌습니다. 장차 그 학문을 배우고 그 행적을 실천하고자 한다면 우리 도가 실행되어 사문이 박괘(剝卦)가 없어지고 복괘(復卦)가 틈을 타듯 성대한 일을 크게 일으킬 것이니, 누가 명칭을 회복하여 사모하는 심정을 불가하다고 말하겠습니까. 여러 존자께서는 군자서원으로 현판을 걸어서 풍성(風聲)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해주기를 몹시 바랍니다.이상은 강진향교 유림 여러분께 공경히 회답한 것입니다.단군 서기 4341년(2008) 무자 12월 모일에 남원향교 전교 이상우·유도회장 김태곤(金太坤)·위성조합장(衛聖組合長) 이병용(李秉瑢)·양사재장(養士齋長) 이발도(李鉢壽)·충열사자(忠烈祠長) 태용섭(太用燮)·사무국장(事務局長) 김양현(金良炫)·의전장의(儀典掌議) 이기성(李起星)·교화장의(敎化掌議) 김두행(金斗幸)·재경장의(財經掌議) 조남훈(趙南勳)·섭외장의(涉外掌議) 김시열(金時烈)·연락장의(連絡掌議) 양택민(梁澤旻)·장의 이동열(李同烈)·장의 조두식(曹斗植)·장의 양용식(梁龍植)·장의 노동팔(盧東八)·다사(多士) 안진모(安珍模)·다사 오재승(吳在承)·다사 방사원(房仕源)·다사 최순진(崔淳珍)·다사 김영태(金永泰)·다사 한봉수(韓奉洙)·다사 조용석(趙庸奭) 敬回通右文爲敬復事 嗚呼 書院之興廢氣數使然也 復興亦關於世道之替隆也 而道義所在也 君子書院則創於 純庙庚辰 而不幸 高庙戊辰毁撤 圜國擧省統同之所遭也 士失依㱕 學不講而禮不行 荒草掬茂 行路嗟惜者年久 去庚子僅復杏亭祠 纔享以來 幸玆昨今書院施設完全復元 顯晦有時 扁更復新 將欲學其學 行其行之 實行吾道 斯文之剝復乘除 大興盛事 而孰曰不可復名 而慕誠哉 望須 僉尊爲之揭扁君子書院[南原鄕校儒會之印] 以樹風聲之地千萬幸甚右敬答于康津鄕校儒林 僉尊座下權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蜡月 日南原鄕校 典校 李相雨[南原鄕校典校印]典 校 李相雨[南原鄕校典校印] 儒道會長 金太坤 衛聖組合 李秉瑢 養士齋長 李鉢壽 忠烈 祠長 太用燮 事務局長 金良炫 儀典掌議 李起星 敎化掌議 金斗幸財經掌議 趙南勳 涉外掌議 金時烈 連絡掌議 梁澤旻 掌議 李同烈 掌議 曹斗植 掌議 梁龍植 掌議 盧東八多士 安珍模 多士 吳在承 多士 房仕源 多士 崔淳珍 多士 金永泰 多士 韓奉洙 多士 趙庸奭[皮封](前面) 康津鄕校儒林 僉尊下(背面) 南原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權五秀 棣亭華閥勢衝天天借靈區玉稿連淑氣湖南龜作礎淸心槿域燕飛泉靑山善政峰巒下流水嘉謨鳳鶴邊從此士林崇禮節多方敎子永年傳【安東市安東龍上國民學校】 天省安東權五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2008~2011년 군자서원(君子書院) 제관록(祭官錄) 사본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君子書院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2008~2011년에 작성한 君子書院祭官錄의 복사본. *무자(2008)년 기록은 연필로 작성. *형태사항: 성책(복사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三棣亭韻小序 鯫生이與文斯文友堂으로同庚生也라聲華則夙飽而面接則晚矣라曩於稠人中에俯示以三棣亭押字하고仍求次韻하니未能不敢當而推以亭名에不待辨說而可知其湛樂家風也라茹心之中에復承其令胤承烈君之書牒이屈及于窮廬하니感荷之深에不可不奉命塞責이라故로僅字會以呈하니若不抵掌而棄之則其於諸賢名詩軸末에或可爲他山之石耶아孟子曰君子有三樂而王天下不與存焉이라하시니蓋其一樂은在我之可求而得之요而其二樂則有命焉이라難可欲而致之니故로苟能得之면南面王樂도難與其樂이라竊惟今者文氏三棣亭之樂은可謂全得其三矣니於不樂哉아蓋嘗釋之컨대三棣君子는皆賢孝而聞於鄕邦하니是則仰不愧俯不怍으로自求得之요詩에曰兄弟旣翕에和樂且湛이라宜爾室家며樂爾妻孥則父母는其順矣乎신저하니兄弟團聚하얀共誦蓼莪之什而日夕瞻望墓門祭室石儀等物則父母가常在於思成之寤寐間하야無間於俱存이요況其蘭子蕙孫이承烈而享其樂하야同樂父母俱存之樂乎아嗚呼라此何世也오核家族之說이何自而來하여馴致我東邦之例常習俗耶隔形骸而胡越하야兄或虐其弟하고同門戶而墻壁하야幼多賊其長하고以之而父子無其親이요夫婦蔑其義하니曾禽獸之不如者라形則人也니豈無秉彝之性也哉아若能以斯亭之風으로宣之于教法하고被之于聲律하야鼓一世而振作之則此文氏之三棣가將韡韡大發於家家樂圜矣리라曾傳所謂宜兄宜弟而后에可以教國人云者顧不當耶아若是則得天下英才而教育之者自在其中矣라我故로曰難得之三樂을如是得之하고三樂之外에又有一樂云이라歆羡之感에浪說無端하니伏希恕諒하노라繼以詩曰三棣亭中恒旭天融融春色四時連芳叢爭茂滋蘭畹活派揚清接醴泉閒趣看雲天馬上霽光邀月鳳臺邊吁今俗化夷而獸切願風流擧世傳長興魏啓珩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三棣亭讚辭 三棣亭者는友堂松窩松雲三昆弟先生棲息之所也오三憂堂文先生益漸之後裔로兄友弟恭하며孝悌篤實하니聰明過人하고文義自解하니爲親至孝하고爲兄同財하니敎誨子侄하야別建精舍하여晝夜相論에安貧樂道하니隣里咸稱其德에成均館表彰狀을授受하시니豈不美哉아今三昆仲季文先生은簪纓巨族之華閥로福內世基에永作靑氈之亭하니偉哉라天寶地靈이各有三宜하니一曰壽星이니好生之德은永含不老之期하고二曰青山이니仁靈之氣는能作君子之態하고三曰流水니智強之勢는可成英雄之狀하니可謂宜當三棣亭也哉저伏願貴門에世世有此慶이며人人有此仁이니安不昌大矣며曷不欽仰哉리요伏惟【小生】裵弼周도亦是四兄弟中에居二로伏蟄江原山間하야以嚴父之教訓으로俱學漢文에晝耕夜讀이於焉五十有星霜이나聲聞過情은君子耻之라【小生】이雖文拙이나今聞三棣亭通告文이忽墜案頭則喜不自勝으로敢綴蕪辭하야數行賀章으로遠頌大慶焉하노라繼而詩曰三棣亭高別有天名區八景接芳連吟風詠月居詩谷釣水櫵山飲酒泉昆弟淵源開後裡南平華閥繼前邊憂堂裔族如斯盛偉蹟煌煌永保傳興海裵弼周讚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辛亨默 人間禍福分由天益漸先生德業連針繕誰非稱智略克寒倍切忘溫泉承彰受賞繼開澤奉祖論情恭友邊擧世咸知功莫大賢仍模範口碑傳【洪川郡瑞石面笙谷二里一班】淸嵐寧越辛亨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2008년 이호석(李湖錫)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蜡月日 全州鄕校 典校 李湖錫 等 44人 康津鄕校 儒林 僉座下 檀君紀元四千三百四十一年戊子蜡月日 李湖錫 康津鄕校 儒林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8_001 2008년에 전주향교(全州鄕校) 전교(典校) 이호석(李湖錫) 등 44명이 강진향교(康津鄕校) 유림(儒林)들에게 보낸 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