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單子南面新亭里第一統第三戶 幼學鰥夫金春鳳 年七十一甲寅 本梁山父 學生 玧昌祖 學生 有聲曾祖 贈通政大夫行鎭海縣監金海鎭管兵馬節制都尉 汝錫外祖 學生 尹弘濟 本海南率子 佑周 年三十七戊子賤口秩 婢雪云德 年四十七戊寅等 辛酉戶口相準 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사년 광주향교(光州鄕校)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己巳八月二十日 光州鄕校 發文 幼學 柳命三 等 21人 康津鄕校 己巳八月二十日 柳命三 康津鄕校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2_001 기사년에 광주향교(光州鄕校) 류명삼(柳命三) 등 21명이 강진향교(康津鄕校)에 보낸 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통문이 글은 통지하여 깨우치기 위한 것입니다. 삼가 생각건대, 충효(忠孝)에 대한 포상과 현양은 국가의 떳떳한 은전이고, 향현(鄕賢)의 제사는 사림의 공공연한 논의입니다. 가만히 듣건대, 귀 고을의 유항재(有恒齋) 김공(金公)1)의 깊은 학문과 높은 학식은 진실로 한 고을의 종주가 됩니다. '군자'는 리(里)에서 칭송하는 명칭이고 '행의(行義)'는 동(洞)에서 전하는 호칭으로, 이는 백 대에 걸쳐 전해오는 분명한 공안(公案)입니다. 만약 실제적인 진실함이 없다면 알려진 명칭과 호칭이 어찌 리와 동에 드러났겠습니까.또한 장증손(長曾孫) 절효공(節孝公)2)의 나라를 위한 순절(殉節)과 차증손(次曾孫) 행정공(杏亭公)3)의 선학(先學)의 미덕을 이어받은 것이 모두 이처럼 한집안 내에서 밝게 드러났으니, 삼현(三賢)이 아울러 배출된 것은 모두 탁월하고 특이한 행적이 수립된 것입니다. 그러니 후학으로서 존경하고 사모하는 도리로써 어찌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 경건히 모시는 예가 없을 수 있겠습니까. 더구나 사론(士論)이 이미 일어나고 묘우(廟宇) 또한 낙성되었으니, 제향하는 한 사안을 어찌 지지부진 끌며 천천히 진행할 수 있겠습니까.삼가 바라건대, 귀향의 군자들이 유림들의 공의를 따라 어진 이를 숭상하는 대의를 중시하여 즉시 합의(合議)를 통해 서둘러 대사를 이루기를 몹시 바랍니다. 이 글을 강진향교에 공경히 통지합니다.기사년(1989) 8월 20일에 광주향교 발문(發文) 유학 류명삼·박필대(朴必大)·류동발(柳東潑)·이양섭(李陽燮)·박성기(朴聖基)·윤광설(尹光說)·고정락(高廷樂)·이유근(李由根)·박성귀(朴聖龜)·최모순(崔模淳)·류동운(柳東運)·고정우(高廷羽)·기상뢰(奇商?)·박형기(朴馨基)·류동기(柳東箕)·정운택(鄭運宅)·류태방(柳泰邦)·김방현(金邦鉉)·고시성(高時成)·박태식(朴泰植)·류상렬(柳相烈) 등 유항재(有恒齋) 김공(金公) 김량(金亮, ?~1569)을 말한다. 본관은 양산(梁山), 자는 명중(明仲), 호는 유항재(有恒齋)이다. 학문에만 정진하고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절효공(節孝公) 김효광(金好光, 1600~1624)을 말한다. 본관은 양산(梁山), 자는 백숙(伯叔), 호는 절효(節孝)이다. 이괄의 난에 참전하여 순국하여 진무원종일등공신(振武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었다. 행정공(杏亭公) 김신광(金伸光, 1608~1666)을 말한다. 본관은 양산(梁山), 자는 원숙(願叔), 호는 행정(杏亭)이다. 이괄의 난 때 형 호광(好光)과 공을 세우고 병자호란에 왕을 남한산성으로 호종하여 영국원종일등공신(寧國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었다. 通文右文爲通諭事 伏以忠孝之褒揚有國之常典也 鄕賢之祭社士林之公議也 窃聞貴邑有恒齋金公之邃學高識實爲一鄕之宗主 而君子里之稱名 行義洞之傳號明是百世之公案 若非實地之眞的 則名號之表著豈及於里與洞哉 且其長曾孫節孝公之爲 國殉節次曾孫杏亭公之趾美先學俱如是炳炳於一室之內 而三賢竝出皆得卓異之樹立 則其在後學尊慕之道烏可無祭於社揭其虔之禮乎 况士論旣發 庙宇亦成 則躋享一節 何可遲留而緩行也哉 伏願 貴鄕僉君子循儒林之公議 重崇賢之大義 趁卽合議 亟成大事 千萬幸甚 右敬通于康津鄕校己巳年八月二十日光州鄕校發文幼學柳命三朴必大柳東潑李陽燮朴聖基尹光說高廷樂李由根朴聖龜崔模淳柳東運高廷羽奇商?朴馨基柳東箕鄭運宅柳泰邦金邦鉉高時成朴泰植柳相烈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94년 김경수(金敬洙)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孔子誕降二千五百四十五年甲戌月日 成均館長 金敬洙 康津鄕校典校及鄕儒 僉員貴下 孔子誕降二千五百四十五年甲戌月日 金敬洙 康津鄕校 강진 군자서원 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B001_01_A00032_001 1994년에 성균관장 김경수(金敬洙)가 강진향교(康津鄕校)의 전교(典校)와 향유(鄕儒)들에게 보낸 답통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행정사(杏亭祠) 도사의(道祀儀)로 승격성균관(成均館) 완문(完文)행정사 도사의성균관 완문답통(答通)이 글은 통문에 회답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 귀향의 유장(儒狀)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강진의 현치(縣治) 북쪽 작천면(鵲川面) 군자리(君子里) 행정동(杏亭洞)에 행정사(杏亭祠)가 있는데, 이는 곧 강진의 망족(望族) 양산 김씨(梁山金氏) 삼현(三賢)에게 제사 지내는 곳입니다. 김씨의 선조 가운데 유항재(有恒齋) 선생 량(亮)이 있었는데, 중종(中宗) 때의 어진 신하였습니다. 어릴 적부터 학문에 뜻을 두어서 당대 석유(碩儒) 이 청련공(李靑蓮公)1)·백 옥봉공(白玉峰公)2)·최 고죽공(崔孤竹公)3) 등의 제현들과 함께 도의로 교유하며 자주 상종하여 성리학(性理學)을 토론하였고, 손에서 『심경(心經)』·『근사록(近思錄)』을 놓지 않았으며 세상의 이욕과 욕망에는 담담하였습니다. 일찍이 사마시에 입격하고 음직으로 직장(直長)으로 출사하였으나 또한 달가워하지 않았습니다. 만년에는 학업이 확충되고 행의가 드러났으며, 곤궁함을 굳게 지키고 가난을 편안히 여겨 조금도 방탕하고 사치한 마음이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유항재라는 호를 지은 것입니다. 이에 향인(鄕人) 중에 감화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으며, 그가 기거하던 곳을 '군자리'라고 명명하였는데, 지금도 그 이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게다가 선생의 증손 절효공(節孝公) 호광(好光)과 행정공(杏亭公) 신광(伸光)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하늘에서 내린 효자입니다. 모친의 병환에 메추리 두 마리를 잡아서 올렸더니 위증(危症)이 한 달도 되지 않아 정상으로 회복되었습니다. 이에 향인들은 그 효성이 감응한 것이라고 칭송하였습니다. 절효공은 갑자년 이괄(李适)의 난에 저탄(猪灘)의 전투에서 순직하였고, 행정공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임금을 호송한 공적을 올렸는데, 단서 철권(丹書鐵券)에 모두 일등으로 올랐습니다. 위대하고도 아름답도다! 한 가문에서 삼대에 걸쳐 삼현으로 세대를 이어 함께 빛났으니, 이 어찌 세상에 드문 일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이 사당을 설립한 유래가 오래되었다 하겠습니다. 지난 가경(嘉慶) 기사년(1809)에 처음으로 창립되고 고종(高宗) 무진년(1868)에 이르러 훼철되었다가 지난 임인년(1962)에 다시 설립되어 향사의(鄕祀儀)로 지금까지 제사를 모시고 있습니다."생각건대, 선생의 도덕과 문장이 두 공의 충효·절의와 함께 이토록 탁월하고 남다르니 고상한 유풍이 세상에 전해진 것이 남주(南州)에 더욱 가득하다. 마땅히 도사의(道祀儀)로 제사 지내는 것이 옳은데, 지금도 향사의로 그친 것은 참으로 애석해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지금 귀향의 유론(儒論)이 일치하고 이 사당의 향사를 도사의로 승격하고 제사를 지낼 계획을 세웠다고 하니 얼마나 다행인가. 이러한 소식을 들으니 감탄해 마지않는다. 대체로 어진 이를 추모하고 후인을 일깨우는 것은 사림의 책무이다. 내가 태학의 직임을 맡고 있으니, 이처럼 성대한 일에 어찌 찬동하지 않겠는가. 오직 바라건대, 여러 유림들이 서둘러 이 일을 마쳐서 천추의 땅에 풍화를 수립한다면 매우 다행이겠다.공자 탄강일 2545년 갑술년(1994) 모월 모일에 성균관장 김경수강진향교(康津鄕校) 전교(典校) 및 향유(鄕儒) 여러 회원에게 이 청련공(李靑蓮公) 이후백(李後白, 1520~1578)을 말한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진(季眞), 호는 청련(靑蓮),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1555년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이조 판서에 올랐으며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함안(咸安)의 문회서원(文會書院)에 제향되었고, 저서로는 『청련집(靑蓮集)』이 있다. 백 옥봉공(白玉峰公) 백광훈(白玉峰, 1537~1582)을 말한다. 본관은 해미(海美), 자는 창경(彰卿), 호는 옥봉이다. 저서로는 『옥봉집(玉峯集)』이 있다. 최 고죽공(崔孤竹公) 최경창(崔慶昌, 1539~1583)을 말한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가운(嘉運), 호는 고죽(孤竹)이다. 1568년에 문과에 급제한 뒤, 북평사(北評事), 정언, 영광 군수(靈光郡守), 대동도 찰방(大同道察訪),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고죽유고(孤竹遺稿)』가 있다. 杏亭祠道祀儀昇格成均館 完文杏亭祠道祀儀成均館完文答通右文爲答通事 今按貴鄕儒狀 則康津治北鵲川面君子里杏亭洞有曰杏亭祠 卽康津望族梁山金氏三賢尸祝之所也金氏之先有曰有恒齋先生諱亮 中廟賢臣自幼有志學問與當世碩儒李靑蓮公白玉峰公崔孤竹公等諸賢爲道義交源源相從 討論性理之學 手不釋心經近思錄 於世利紛華淡泊如也 早登司馬 以蔭仕出爲直長 亦不屑焉 晩年學業擴充行義彪著 固窮安貧 少無放{忄+辟}〖辟〗奢侈之心 故有號有恒齋 鄕人莫不感化 而因其所居 曰君子里云 至今猶以其名稱之矣 况復有先生曾孫節孝公諱好光杏亭公諱伸光俱以出天之孝母患得雙鶉而進之 危症不月而復常 鄕人稱其孝感焉 乃節孝公則甲子适亂殉身於猪灘之戰 杏亭公則丙子胡亂效績於南漢之扈 丹書鐵券俱參一等 偉歟休哉 一門三代三賢聯世幷耀 是豈非爲世所稀者哉蓋此祠設立由來則久矣 越在嘉慶己巳始創 而至于高宗戊辰見毁 往在壬寅復設 以鄕祀儀奉祭 而至于今者也 竊念先生之道德文章與兩公之忠孝節義如彼卓異 其高尙遺風 播傳于世 彌滿于 南州 當以道祀儀祭之爲可 尙今以鄕祀儀止之者實可惜事也 何幸今者貴鄕儒論詢同 而此祠亨祀 以道祀儀躋序奉祀爲計云 聞之感歎無已 蓋慕賢牗後 士林之責務也 余責在首善之地 如斯盛擧 豈不贊同哉 惟冀僉儒林亟竣此事 以樹風化於千秋之地幸甚耳孔子誕降二千五百四十五年甲戌 月 日[成均館印]成均館長 金敬洙 [成均館長之印]康津鄕校 典校及鄕儒僉員 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사년 남강사(南康祠) 홀기(笏記) 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南康祠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金陵에 있는 南康祠에서 春秋丁享할 때 순서를 기록한 笏記와 祝文. *祝文式, 陳設圖, 告目式 수록 *형태사항: 성책(線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오년 남강사(南康祠) 홀기(笏記) 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南康祠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金陵에 있는 南康祠에서 春秋丁享할 때 순서를 기록한 笏記와 祝文. *祝文式, 陳設圖 수록 *형태사항: 성책(線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鄭鎬昇 賴此光生福內天亭前八景互相連披雲特秀高低岫割地鳴來上下泉悅志溫情涵養裡溢門和氣讚揚邊家聲赫赫從今厚餘蔭津津永世傳【横城郡橫城邑北川里】 梅山草溪鄭鎬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李壬九 名高福內洞中天三棣亭前八景連翠色無窮墻外竹淸音不絶石間泉江山賴此生光裏兄弟當今養志邊華閥家聲惟益厚稱聲藉藉世相傳【横城郡横城邑墨溪里】 溪汀牛峰李壬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梁德成 福內山川別有天亭前八景洞中連峰間彩色濃山靄谷裡淸音湧石泉昆季溫情涵養際家門榮譽讚揚邊聞之感嘆因相賀藉藉稱聲去益傳【橫城郡横城邑邑上里】 春谷南原梁德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郭仁鎔 福內勝區別有天亭前八景四時連明形鏡色峰頭月爽志琴聲石角泉碧瓦濃光淡靄裡朱椽畵彩白雲邊貴門昆季能修事藉藉稱聲永世傳【横城郡甲川面秋洞里】 時雨玄風郭仁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張泰鎰 三棣亭高古洞天仁山智水景勝連三昆篤愛還如玉五祖行居復似泉詩禮門前眞有樂孝誠家內喜無邊先修德業孫承繼裕後嘉謨永世傳【大邱市中區南山洞六九八의二二】 碧溪仁同張泰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南相愚 道內寶城福內天棣亭八景望中連有緣有契如林壑无惱旡煩似石泉自得自生丹藥裡閒來閒去白雲邊浩然氣養誰能拒只守眞心世世傳【議政府市佳陵一洞一九六】 三堂宜寧南相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洪大春 春光始到寶城天三棣亭高畵棟連赫赫文名賢祖業蒼蒼玉樹道心泉數聲漁笛程川裡一片祥雲帽岳邊崇禮家門今世鑑綱倫百世永相傳【京畿龍仁郡器興邑古梅里二二二】 牧園南陽洪大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張斗星 三棣精亭槿域天自生和氣四時連千年福地留靈境五夜奎星耀湧泉林下衣冠文範裡堂中絃誦道光邊臨軒追憶先君子遐邇諸賢共賀傳【公州市中學洞一一九】芝卷仁同張斗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柳明烈 三棣亭名耀遠天友敦昆季晝宵連帽峰疊疊雲中閣程水潺潺月下泉暇日開樽香不盡隨時設宴興無邊發文詩集誠尤篤可識尊門瑞氣傳【公州市鳳凰洞三五八―一】松潭文化柳明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王治壽 棣樹亭前堯舜天昇平時節瑞光連風光歷歷三淸界晝夜流流萬壽泉芳草自生春色裡白雲來往碧山邊壯哉同氣斯兄弟日日登臨好意傳【忠北淸原郡江內面俟仁里一區】放雲開城王治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王煥昌 正當二月戊辰天三棣亭前三棣連百歲弟兄同話說千年藥水作靈泉相親飛鳥斜陽外飛去寒鴉落照邊不老乾坤多歲月芳名赫赫永時傳【淸原郡江內面俟仁里一區】野翁開城王煥昌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