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石樵李侯覽松川集有感四韻 山深積雪臥窮年東閣吟梅喜信傳玄晏文章多後感黃江物色想前賢官閒簿領常留客地隔雲泥更結緣編戶孱孫眞忝竊登瀛一路已惘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圃先生請諡儒䟽【代進士柳致榮製】 伏以褒奬之道旣有正卿之贈則當有節惠之典是白乎所再昨年壬寅臣等以己卯名臣參判臣梁彭孫加贈請諡事上言是白乎則啓下吏曺吏曺覆啓目內以爲故參判梁彭孫道學淵源得於文正公趙光祖經筵講學則與奇遵朴世熹崔山斗同其功冒死廷諍斥邪扶正則與鄭鷹冏其疏黨錮削奪則與崔淑生李耔金安國同其禍終始一節卽古之元祐完人也其師孝憲公宋欽以吾東傳道之人期之同年趙光祖有言曰吾見梁同年如芝蘭之薰人文翼公鄭光弼大加稱賞曰玉堂調劑之責今見梁學士吾無憂矣又以經學薦之因登瀛館與奇遵朴世熹崔山斗日夜侍講世所稱經筵四學士是也己卯之諸賢旣皆伸雪褒顯而梁彭孫之獨漏恩例恐爲昭代之欠典此非臣等阿好之言實采擧國之公議梁彭孫贈以正卿之秩罔許節惠之典亦爲白有臥乎所正卿峻秩也遽爾加贈事涉實難愼是白乎矣己卯諸賢旣皆蒙褒揚之典而梁彭孫之邃學名節獨且見漏宜有士林之公議正卿加贈實合事宜是白乎矣係干恩典臣曺不敢擅便亡裁是白乎旀至於節惠一款非臣曺所管令禮曺稟處何如依回啓施行事敎是白乎所昨年五月加贈梁彭孫吏曺判書是白乎則節惠一款自禮曺事當啓稟是乎乃其時該曺多事未遑是白乎則該曺似不敢擅稟爲士林之抑鬱故臣等不避僭越玆敢仰籲於法駕之前爲白去乎伏乞天地父母特下禮曺使贈吏曹判書臣梁彭孫特蒙易名之典事伏蒙天恩爲白良結望良白去乎詮次善啓向敎是事望良白內臥乎事是亦在謹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羲集卷之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二十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反說 卞城陽謂孫公有三反余每思之則性本柔懦而好人之有氣節已不廉潔而惡人之多貪慾自以爲安於義命而未能忘功名之念是余之過也然知其過而不改則不獨古人之三反而余則有四反也噫體中相反猶可櫽括而必求其反之與世相反則吾無如之何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禘祫辨 或問曰人道莫重於報本此祭之所由起而喪止於三年追遠繼孝惟祭爲近之然先儒以禘爲大祭請問禘之說余答之曰問則善矣禘之義深矣何可索言經傳猶有攷據焉天子之禮祭止七廟三昭三穆與太祖之廟也諸侯五廟二昭二穆與太祖之廟也大夫與士三廟一廟而已然則七廟以上祭不擧焉先王以爲未盡也推極誠意而至於本始之所由生禘之所以制也其禮則祭太祖所自出而以太祖配之享於太廟曰然則始於何時曰有虞氏禘黃帝而郊嚳是禮也始於此耶曰凡祭者必有主太祖之所自出初不在於七廟之位則抑臨時設主耶抑七廟之外別有廟耶曰經無明文然韓文公禘祫議曰獻祖之主藏於夾室則豈非有主乎朱子以爲當居初室設主而藏於太廟之初室應是正禮也獻祖卽唐之所禘故以是推之也曰每年四時宗廟皆有祭焉禘獨在於何時曰五年一禘而王制註疏以象五朞之閏云若四時每祭則與七廟無異也禮出於情而以代之遠近爲疏數之節當疏而數反爲不敬也曰禘之義推極乎所自出焉若以周人之禘嚳而祖文王推之則其間鞠陶公劉列祖之位遠於文王近於帝嚳而下不在七廟之享上又不禘何也豈報本推極之道乎曰不然祭之法去廟而祧去祧而壇去壇而墠去墠而禱不禱則曰鬼雖百世皆祭禮之行不得者也是以禘止於一而推極之義存焉曰然則五年大禘以太祖配之而祭於太廟則三昭三穆亦不與於是耶曰否禘亦謂之禘祫假如七廟之制太祖則不遷餘皆一易世一遷而所遷之主毀廟之主班祔於所當之廟【若所遷昭則祔昭穆則祔穆廟】親盡後遷主於太廟之夾室而至于大禘則祫享【五年之禘】此之謂禘祫也曰然則禘之序位當如何曰太祖之祖則居東向之位太祖以下則昭向於南穆向於北南北相向而南爲陽明北爲幽深昭穆之稱昉於此祭也曰禘之爲名何義而禘亦謂之間祀亦謂之追享亦謂之肆獻裸又曰大祭何也曰禘者本殷人夏祭之名也夏祭之時物未成故依時次第而祭之禘之爲言次也不知何時專爲大禘之名而虞夏固亦禘焉則所由來久矣且自始祖太祖至于毀廟無不次列則或以是而謂之禘耶非四時之常祭故謂之間祀以其遠及於祖之所出故謂之追享以其猶事生之享禮故曰肆獻裸統謂之大祭以其禮之最大者也噫豺獺亦知報本則人情之至切莫如奉先然近則篤於孝遠則忽於忘自父祖以上至于高曾則服盡故親盡親盡故情盡情盡故忘之固其勢也朱子曰祭其始祖已自濶遠難盡感格之道今又推其始祖之所自出而祀之苟非察理之精微誠意之極至不能與於此無容更議而夫子嘗曰明乎郊祀之禮禘嘗之義治國其如視諸掌乎聖人之禮精神心術之所寓仁理義節之窮到者禘也豈不盛哉曰然則是禮也止於天子而已乎報本之禮靡不庸極則諸侯卿大夫獨不有禘乎曰尊卑者分也隆殺者禮也分之所在禮隨而節之三家之舞佾徹雍此不免聖人之誅也然諸侯亦得祫祭而大夫有干祫此非禮殺而義同者耶客乃唯唯而言曰禮學之便於苟簡久矣子盍亦記而置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游天台山序 嘗讀昌黎集盛山十二詩序盖當時諸公謫宦窮苦吟詠愁思而卒得大行於世人之有窮達詩之有傳與否不必言之而山水登臨之際朋友盍簪之辰恣情觴咏跌宕懽呼亦浮生之一韻事也然風流雲散轉眄陳迹果不知向者之所游爲何地所集爲幾人而志士之感慨於是焉繫之矣今夫天台固州治之名山而考之輿地便覽爾陵夫里西有雲住山雲住寺而無所謂天台者此豈非一山二名而古今不同稱者耶余與諸君名勝攀援而登以償宿願盖其爲山石立千仞劉刻奇峭若造化之極力經營而所觀曠如瑞石月出若將引手而撫其頂西望雲海與天爲界喜且陶咏因成五言四韻詩各一首宮商迭奏天和各適然聚散離合不無古人之感而名山面目慮其昧昧於日後之想故披藤署名列註其詩安知此詩之行於時不如盛山而各歸其家支枕着過則足以資閒中之一噱盖同遊者八人余與之爲九焉詩曰捫蘿登絶頂殘暑已淸風石立三韓舊人來七夕同羣山元氣合滄海一盃空他日天台賦要看八咏中時丁未七夕序者梁進永之作也和之再陟台山頂開衿納晩風石撑天柱屹峯列衆孫同谷水歸滄海雲梯駕碧空乾坤造化理都在此心中云者族人相鼎也天台別已久今日又乘風雲水千回刼林巒各不同麻仙歸古洞織女度長空淸磬斜陽路孤庵亦此中云者其弟相恒也麻姑應掃榻邀我馭淸風遠海連襟濶羣山入望同擧盃如不俗扶杖各憑空更說天孫約銀河此夜中云者其姪思默也天台上上頂半日駕淸風白石千層嵸靑郊四望同詩情危處得塵慮坐來空今夕云何夕銀河淡影中云者陳錫馨也台仙要我至閒坐恰淸風石路高低異烟霞遠近同攀蘿危萬丈望海入長空無限新秋景攣歸朗味中云者安喆煥也步拾烟霞到麻仙喜送風高居天勢濶遠望山容同塔刧千年古雲心萬事空天台無限景詩酒夕陽中云者金洪寅也披雲峯頂坐滿袖恰生風陳迹麻姑遠高吟謝眺同立身千丈屹騁目四邊空領取林泉勝題之蕭寺中云者盧文馥也有客落拓風塵魁梧其形請爲曲終之奏曰遊賞麻仙處爽然太古風洞邃三淸近峯尖五老同蒼巖人共立靑草野無空多少名山景歸之我腹中醒後諦視則乃故人文永春平仲甫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寶林寺同游詩軸序 將爲遊目騁懷偉觀之樂而爲之揀取通邑名城或欠於山水之秀絶淸泉邃石未必有樓臺之壯麗而二者不可得兼則其所觀亦偏而不全矣今石樵李侯牧綾四載風淸弊絶簿領多暇樂與儒雅觴咏登臨然若鳳棲聯珠松石金鰲之境俱足爲七分之勝而謂之恰好或有遜焉乃相約爲寶林寺之遊洞門豃閜石逕高下疑若未始有寬平而及入禪房則崇堂傑構布列左右黝堊丹靑輝炳前後佛軀壯大鹽刼層秀歷覽略徧因以止宿明登上頂則有水東三星兩庵相距纔數弓焉所處旣高所見愈暢盖四山週市氣勢雄偉松枏蒼蔚烟霞起滅呀然而穴堆然而阜晩楓殘菊間間林崖粧點名山而庵寮之修潔超截於六塵之界頫視衆壑爭流合成一川百折委曲與山終始而放于山外問于居僧則開山者普照而山之可名者獅子佛頂兩峯也龍神之決崖梅仙之主施無非法力之所使云盖其山水而兼壯麗之觀樓臺而居秀絶之境者始見於此而玆游之勝固可謂全備而無憾矣是以目與心謀喜斯陶咏則或聽鉢而成韻或剪燭而傳寫句雜章草藤翻醉墨前後所得五律若干首七言五六篇而其效嚬者吾輩幾人山之僧四人也噫游觀非不樂而勝地不常勝地雖可得而盛筵未易設則李侯之文彩風流固可蔭暎於來後而諸名勝之樂與相從亦不解事耶是以聯軸花牋以爲他日之面目而白髮蒼顏俱有遲暮之感故略敍顚末書之卷端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反情和志箴【七情之中擧其怒慾】 情動于中不自知非惟怒難制惟慾甚危怒發於翻然之頃而勢莫能囬慾萌於忽微之中而因以潛滋故如火益烈如水益深而忤於物者反招悖逆之禍黷於利者罔有廉恥之心違道甚遠可知其人惟理之是非而袪其已私之發視義之從違而不爲外物之殉則自拔乎常人之情庶幾乎定性之域而發皆中節是爲中和之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銘【六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齋銘 正之爲字從一從止子以名齋從事於是一則不雜土不妄行路正而坦衡正而平不衰不枉乃公乃直身正行脩心正理得如佩弦韋永矢不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59~2001년 지출경리부(財産經理部)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9~2001년에 梁山金氏門會에서 수입과 지출 내역을 정리한 장부. *표제지: 檀紀四二九一年戊戌(1958)十月以降 *본문은 기해년(1959)부터 시작 *형태사항: 성책(假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인년 출의록(出義錄) 고문서-치부기록류-원납기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에 작성한 契金과 義金의 기록. *1943~1989년 행정사출의록(고문서ID65)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晩羲齋主人序 綾州之漁村有學圃梁先生之後孫曰進永者端士也少業功令屢不利於有司乃慨然有志於本原之學一日讀易而喜之曰是可以終吾身也遂名其室曰晩羲齋爲文與詩以自勉焉已而有事至漢師過余於潁眉之亭爲余道其意請一言以廣之顧余非知易者曷足以語此哉旣又思之余與君交數十年常怪其淸枯簡拙不似場屋中人今見其反己之勇求道之勤又不似流俗習氣焉則安得不爲之感歎而强副其索也夫易聖人之書也河出馬圖未嘗非天地自然之文兩儀四象卽亦相生而成者然而不有伏羲之畫八卦則理幾乎息矣法終乎廢矣斯其設敎之爲萬世章程也八卦而爲六十四爻本之奇偶而列之彖象上下焉有其位內外焉有其體然若無發揮而輔翼之者孰從以稽類達變因事鉤情也哉此所以文王周公之辭孔子之傳均之爲繼開之功而沕然一心參乎兩間加不得點畫差不得毫釐者也至於卜筮卽易中之一事而吉凶悔吝不容不求之於人後世拘儒專尙其說駸駸乎術數之歸朱子爲是之懼旣著五贊明其旨辨其惑又別爲復卦一贊以眎夫人性之仁包括動靜反以存之則體用具全擴以發之則變化不窮而究其極於必中必正之域至是而易之道益備矣今之學者苟能知所從入而无迷其塗務所當先而无失其義至誠不息表裏交脩則日用事爲不離乎易之門戶而聖人心法自可見得於形器之外君以爲何如君之言自謂一日一爻積而盡其數歲月周復死而後已云爾則其進槩不可量也而余老矣無以及見而扣質是可恨耳故爲此贈之俾歸訪南士之邃於易者相與確證而求益如學圃公之於靜庵故事焉癸卯季夏初吉李晦淵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梓園次韻【原韻見上】 族兄濟楫江南秋色橘林園回首綾陽舊業存伊昔庭松如待主祇今籬竹已生孫春歸海國皆詩料人過山居或酒尊多病馬卿何日健一笻携去訪柴門雙峯山下一區園先祖遺風此地存栗里桑麻徵士宅平泉花竹相公孫幾時湖上逢春草十載枌陰夢社尊重負殷勤聊致意不辭布鼓過雷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次 三從孫俊默文章不幸草湖園回首綾陽舊業存和露碧桃將結子經春脩竹也生孫案頭陳籍西山易座上淸醪北海尊幸得諸公陶冶益仍成當日學專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4년 김춘봉(金春奉)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金春鳳 長興都護府 강진 군자서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4년(순조 4)에 남면(南面) 신정리(新亭里)에 사는 김춘봉이 장흥부에 제출한 호구단자 1804년(순조 4)에 남면 신정리 제1통 3호에 사는 환부(鰥夫) 김춘봉이 장흥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김춘봉의 본관은 양산(梁山)이고, 갑인(1734)생이다. 당시의 나이는 71세이다. 가족으로는 아들 김우주(金佑周, 37세)가 있다. 김춘봉의 외가는 해남윤씨이다. 사조(四祖)의 직역을 보면 김춘봉의 아버지와 조부는 유학(幼學)이고, 증조부는 진해 현감을 역임한 김여석(金汝錫)이다. 소유노비는 비(婢) 1구가 있다. 남면 신정리는 지금의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상발리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