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古詩【九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古琴行贈完山同遊諸名勝【全篇興比】 古桐經幾尋出自綾陽岑神泉漑其根鸞鳳棲其陰梓園老子雅好奇操斧十年搜山林不容良才爲棄物縆以七絃調五音解慍學成南薰曲繼之文王宣父吟商歌激烈滿天地云有古人傳其心夔曠已遠誰知我歷絶四方橫抱琴橫抱琴琴不鳴俗人所嗜徒哇淫白雪調高和者鮮瓦釜如雷聲相侵不忍碎破宣陽里不可更渡淸溪潯風露凄淸四十秋欲奏腔曲淚滿襟幸遇羣賢爲一鼓完山高沛水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觀易有感 白首居然醉夢甘臨交不覺面生慚生平所業無能一稀古之年只隔三減簡聖人猶願學箍筩隱者有何諳紛紛功令皆妨道須得經師素附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魯論有感 消長世運易中求諸卦重陳泰象不三季忽焉分戰國七人作者是賢流不觚已甚憂時歎環轍躬勞未自休將聖猶難天下濟龍門獻策問爲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有感 先王六籍至今垂斯道丁寧豈我欺家國興衰關義利人情淑慝見公私千年架漏經秦漢一世恒言慕孔姬知不行之行不篤悠悠天下竟何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濂洛詩 有宋羣賢道義高不求葩藻亦詩豪四時物化歸拈筆千聖心期入運毫洛社風流猶彷彿武夷山水想周遭詞家但說唐音盛摸寫陳言亦謾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梁學元自京來 今夕論文若在京倦遊千里未忘情星霜惱我雙添白風月逢君一倍淸良夜端能謀酒債衰年愼勿賦秋聲鹿門欲訪云何在雲帆一開海水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月十八日李正華來訪 中天晅日曬霜林誰謂初冬序屬陰頹枕自憐多病故敲門偏荷舊交深豐盈犀角堪開眼騰踏騏程已忘心丌上文書緣底事蕭疏髩髮未宜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梁學元見訪 經年病榻滯光陰交契無聊舊斷金兩地蒼茫雲隔海三更剝啄月生林風塵幾度靑驢倦文字難饒白髮尋逢別不論雞黍具餘生當保歲寒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喜鄭元甫【宗甲】來訪共賦 詩禮儒門愧子禽公然霜髩到如今駑蹄蹐跼難加策古木輪囷不直尋南國隨陽回白鴈西京問路乏黃金窮廬老病誰相眷谷口人來故舊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姪濟卿倡吟 高柳籠煙草色齊碧山書屋打頭低琴中且喜逢流水雪後何須訪剡溪春晩鸎兒初解囀雨晴鳩婦更還棲相將白首終焉用一卷離騷到底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魚菜說 余客居海上地近魚蟹之產見富人日具數三味盖津津如也貧不能自給盤中索然乃種韭數十本帶雨而鉏隨取供之其瀹者爲湯葅者爲膾雜然前進奄成十八味顧不愈富家之數三味乎因命之曰魚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梁夢弼序 昔韓文公送何甄曰何於韓同姓近也甄以儒稱同道也以進士擧同業也吾爲博士甄爲生同居也於其行可無言乎何與韓尙以其同姓而況子之於我乎同姓更無可言而又況同道同業同居乎然子之爲何甄與否吾固不知而何苦爲繫麻鞋攝行滕不遠百里負笈相從於我也雖曰同道而道未見也雖曰同業而業未工也雖曰同居而非博士掌敎之官則在我有好人師之嫌在子有不擇師之失吾知其志勤而非求益也然子之執業日誦韓文而質其所疑則無乃以吾之習於是耶六經固自如也何必韓之可學也然文之近於道則韓也原道原性等作雖不能究切性理之原而八代以下有衞道倡學之功矣禘祫復讎等議節節中窾不但文工而已也且學業家求速化之術而取其膏馥則子之學固無怪矣子其熟復詳味有得於斯則應有受用之益而韓公亦因文而入道由此而進乎經何如同道同業同居而莫如我同姓也且有意於韓文公之學焉故於其歸不可無一言而因其業以勉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鄭玉之序 鄭君吾傾盖之交也其始遇於草湖也衣冠甚偉及聽其談論滔滔不渴皆傅於理蘊於中者槩可知也然濡滯於斯若有所營問之則曰吾欲就屋於市賣藥於斯曰以子之才何必乃爾曰噫余有志之人也少也博涉文史謂功名可立致而効力於世矣日月荏苒屠龍之學轉疏矣中歲有薦紳先生授我以肘後之方曰子之志我知之矣與其不早自立於時得行其志盍亦因此而爲醫世之資也余然之以專致於兪扁數年後見識稍長若可以活人者矣然出而措之必求大邑名城人物之湊然後利澤之及廣矣是以觀松陽之市卽海陸之衝而舟車之會也江南卑濕丈夫又多夭者余聞而歎曰子眞古君子隱於市者耶吾亦靈海間一病夫從此以往必不待秦楚之行而可得已疢之上丹矣且古有晏子者近市而謀生將膏車秣馬從君之後而逍遙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九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賈太傅贊 慮文帝而爲之痛哭傷懷王而竟以致死或謂之量小可也而此非至誠惻怛之君子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董廣川贊 正其義不謀其利明其道不計其功功利人而私道義天而公也一言而爲天下法更不用議爲而天人三策亦非其緖餘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河間獻王贊 抑抑獻王修道好學上對三雍旁搜六籍若使武帝之當年處之周召之任則先王禮樂之盛庶幾復見於今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汲長孺贊 世不常有者雄才大略之君君不常遇者直道正言之士遇之而不能知之則已焉知之而不能用之則惑矣是以雄才大略只止爲武帝直道正言竟絀於淮陽則君臣契合果不可常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扇對格【新門吟贈崔震煜】 去年與我江頭別亂雪驚沙聞馬嘶今日逢君城下飮落花垂柳聽鶯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