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6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11월 12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961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3년 정대수(丁大水)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哲宗 丁大水 施命之寶(10.0×10.0)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3년에 정대수를 가선대부·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훈련원 도정으로 추증한 문서 1863년(철종 14)에 정대수를 가선대부·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훈련원 도정으로 추증한 문서이다. 정대수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여숙(余淑), 호는 용서(龍西)이며 아버지는 참봉 정수인(丁守仁)이다. 1588년(선조 2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이순신 밑에서 순초장(巡哨將)으로서 전공을 세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通訓大夫行唐津縣監兼洪州▣▣▣▣(節)制都尉丁大水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訓鍊院都正者同治二▣…忠節卓異 贈職事承傳[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60년 정하순(丁河順)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丁氏慕先先契長 丁河順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0년에 丁氏慕先先契長이 丁河順에게 발급한 領收證. 丁河順이 납부한 入契金과 贊助金을 領收함 *고문서 ID 5 稧案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허후(許{王+厚}) 백패(白牌) 고문서-교령류-백패 英祖 許? □…□(9.0×9.0)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허후(許{王+厚})가 생원시에 입격했다는 내용의 백패(白牌) 유학 허후(許{王+厚})가 생원시 3등 5인으로 입격했다는 내용의 백패이다. 문서 발급일은 옹정 13년(1735) 10월 21일이라고 적혀 있다. 이 문서의 연호 위에는 나무로 깎아 만든듯한 시명지보(施命之寶)가 날인되어 있는데, 인장의 모양이 당대 통용된 시명지보와 차이가 있다. 여기 덧붙여 조선시대 백패에는 조선 초기부터 인조대까지 과거지인(科擧之印)을, 인조 이후부터 과거지보(科擧之寶)를 날인하는 것이 규정이었다. 이렇듯 이 문서는 당대 제도에 부합하지 않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인년 원동면(元東面) 식리금수지부(殖利金受支簿)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인년 3월 元東面에서 작성된 殖利金受支簿. 儒道彰明會 회금으로 운영하는 殖利金 현황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한홍봉(韓泓鳳),한병수(韓秉秀) 등기신청서(登記申請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韓泓鳳 光州地方法院 靈光出張所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한홍봉(韓泓鳳), 한병수(韓秉秀)의 등기신청서(登記申請書) 한홍봉(韓泓鳳), 한병수(韓秉秀)가 영광출장소에 등기를 신청하는 내용 신청인(申請人): 한홍봉(韓泓鳳), 한병수(韓秉秀) 부동산(不動産) 소재지(所在地):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靈光郡 法聖面 新庄里) 733番地 임야(林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42년 임야(林野)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韓泓鳳 井垣周卨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 8월 15일에 발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매주(賣主) 한홍봉(韓泓鳳)이 매주(買主) 정원주설(井垣周卨), 한원도겸(韓原道兼), 한원성일(韓原成日), 한원자선(韓原子善), 한원성염(韓原性炎)에게 임야(林野)를 매도(賣渡)하는 내용 매주(買主)의 주소지와 성명을 따로 작성해 놓음 대금(代金): 75원 부동산(不動産) 소재지(所在地):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靈光郡 法聖面 新庄里) 712, 714번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乾隆八年癸亥正月十五日 子女等妻分衿明文右文爲分衿事 命途奇薄 早失家翁 直欲速死無知 而所恃而扶全者 只以汝等娚妹之長成故也 略干田民 家翁生時 旣未區處而身死 此▣有不可言 當此險歲 吾之生死 亦未可知也 玆以分給於汝等 須各 父母艱辛成立之意 永久耕食 保全家産 宜當事一 先定祭位條 時於洞伏在罪字畓陸斗落只 所耕二十九負貳束庫承重子次知事一 長子再潤 加作坪唐字畓柒斗落只 負數貳十捌卜二束庫果 陶字畓三斗落只 卜數十一卜四束庫果 項江洞發字畓六斗落只 所耕貳拾捌負一束庫果 時於洞罪字畓四斗落只 所耕拾伍卜三束庫果 罪字三斗落只 所耕拾一卜貳束庫果 唐字垈田八斗落只內 上过伍斗落只少卿 果 家舍柒間果 唐字田一斗落只內 東过伍升落只果 奴惡金一口等物乙 許給事一 次子士明 加作村坪陶字畓三斗落只 所耕拾三卜八束庫果 加作村坪陶字畓二斗落只 所耕庫乙 許給 而吾之別世後 長子再潤 病子士明身乙 收養次知事一 次子再明 加作村坪陶字畓六斗落只 所耕三十卜柒束庫果 陶字畓三斗落只 所耕柒負七束二夜味庫果 項江坪發字畓四斗落只 所耕拾六卜七束三夜味庫果 發字畓三斗落只 所耕玖卜玖束四夜味庫果 時於坪罪字畓陸斗落只 所耕三十柒負七束庫果 加作坪陶字畓三斗 所耕拾壹負三束庫果 唐字田八斗落只內 下过參斗落只庫 果 唐字田一斗落只內 西过伍升落只庫果 唐字田二斗落只 所耕伍卜柒束庫乙 許給事一 次子再旭 加作坪唐字畓四斗落只 所耕拾六負四束庫果 唐字畓二斗落只 所耕六卜二束庫果 前山直村坪代字捌斗落只 所耕參拾負一束庫果 代字畓二斗落只 所耕十二卜五束庫果 時於坪罪字田 所耕拾貳卜壹束庫乙 許給事一 長女 項江坪代字五斗落只 所耕貳拾陸負三束庫乙 許給事一 次女 時於坪周字畓 所耕貳拾參卜五束四斗落只庫乙 許給事財主母梁氏[右掌]證 家翁侄 河再淸[着名]筆 次子 再明[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牧使爲差定事 本面執綱 差定爲遣 合下仰照驗施行 須至帖者右下三所旨前執綱許燮 準此癸巳十月十六日差定行牧使[着押][帖][光州牧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1년 허섭(許燮)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使 許燮 牧使<着押> 光州牧使之印(7.5×7.5)周俠改印(18.0x5.5)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1년에 허섭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 1891년(고종 28)에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허섭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갑인생(1854)이다. 호주의 이름과 생년·본관을 적은 뒤 사조(四祖)와 가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拾柒年 月 日 光州牧考辛卯成籍戶口帳內 北面三所旨海山村 住第六統第五戶幼學 許 燮 年三十八甲寅 本陽川父 學生 彬祖 學生 寬曾祖 學生 沃外祖 學生 金學玹 本盆城妻 金氏 齡三十六丙辰 籍光山父 宣略將軍副司果 鍾祐祖 學生 慶洛曾祖 學生 日輝外祖 學生 鞠俊默 本潭陽率子 童蒙 仁杓 年十六丙子等 戊子戶口相準 印牧使[着押][光州牧使之印][周俠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43년 모(母) 양씨(梁氏)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母 梁氏 財主 母 梁氏<右掌>, 證 家翁侄 河再淸<着名>, 筆 次子 再明<着名>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3년 모(母) 양씨(梁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눠준다는 내용의 분재기 1743년(영조 19) 모(母) 양씨(梁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눠준다는 내용의 분재기(分財記)이다. 일찍이 남편을 잃고 자신도 함께 죽고자 하였으나 자녀들이 장성하기만을 바라면서 믿고 의지해 왔다고 한다. 남편이 살아있을 때 약간이나마 가지고 있는 전민(田民)을 처분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는데, 올해 흉년을 당하여 자신의 생사도 어떻게 될지 모르니 재산을 나누어 준다고 하였다. 분재대상자는 장남 하재윤(河再潤)·차남 하사명(河士明)·삼남 하재명(河再明)·사남 하재욱(河再旭)·장녀·차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1년 김대규(金大奎) 증명서(證明書)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金大奎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1년 5월에 김대규(金大奎)가 작성한 증명서(證明書)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靈光郡 法聖面 新庄里) 농지위원장(農地委員長) 김대규(金大奎)가 한문교 15대, 16대, 17대 묘의 위토(位土)임을 증명하는 내용 1951년 7월 10일자 영광군수 소인이 있음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