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燈下作賦 剪燭沈思老更愚那將玄墨染霜鬚離騷雖讀非名士雕刻爲能愧壯夫落葉風翻鳴竹戶淸茶烟起篆銅爐篇成不向傍人說姑作閒中一笑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月十三日夢後 處世難知寵辱門居然髩髮早霜繁千回客館金無貯百戰詞場劍有痕褊性小和慚柳季幽情厭俗問桃源夜來山水逢佳境一夢應符一念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睡起 午睡纔醒日已晡胷中萬事正虛無功名不可求綠木生業何如坐守株覓句寫將休紙竝便身携與隱囊俱鏡中顏髮寧嫌老山澤儒仙本自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對眠呼韻 形羸頭秃日相將一席團圓兩枕方老伴耕樵難作力病疏盃勺不能狂草衰古徑應留莽荷晩寒塘已退香何恨風霜時淅瀝剝中猶幸寓微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韓詩 齪齪當今世功名正沒因玩文徒喪志蓄墨恐磨人白石同歌寗黃金久乏秦蓬瀛何處是從此去尋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寶林寺水東菴 下版猶嫌俗東菴價更增停舁憇木抄隨錫入雲稜道藏超三略禪心耿一燈尋常連日話頓悟我何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月吟 春光誰欲去月色每恐虧絆月兼春駐花陰倒玉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夏日 困睡無人喚回頭日欲沈淸風何處至窓外有篁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道林村前 水深魚遞密霜晩鴈聲疎收畝元多稔歡顏市里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行 可惜春將暮登山酒剩沽童心猶未改終日數花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崔起粲見訪 藍田高士訪幽居開落庭梅二月初案有唐音尊有酒逢迎休道病中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待閔友 炎凉隨俗轉相親雲水無情自任眞嘿數平居談笑地不知知己幾何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全州遇牙山申在仁 相逢白首便相離客館三更聽雨時及到光山春未老城花門柳正依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寬懷【四首】 路踏羊腸何曰平歌成牛角少人聽春光不逐王孫去喜見閒庭草又靑從他世俗自炎凉揚子家中臥一床探幽解續夷堅志寓物還抛骨董囊瘦馬常懐就道年孤僧還負出家緣從今却掃人間事快傍雲山枕石泉今朝揲扐筮行藏巽四居陰悔可亡三品丁寧多所獲將軍大獵氣揚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巖記 吁人之號也或受戒於碩德長老時加修省或寓慕於門先遺訓不忘羹墻則顧以不佞性疏學蔑旣不齒於士君子之列猶不能受戒於先覺又加暴棄以不肖墜家聲忝所生則敢何寓思於祖先也然而不敢趨塵旅宿德之門者固其踐履臲卼人不遠我而我自愧遠無由徴戒若至於追先之誠非徒賢智者之能知能行雖愚不肖抑或有一線之不匱有可慕可準之緖業豈徒自暴而泯黙乎吾先十一代有松島公而早講有君臣有父子之大義移孝忠國異績載於丙子錄而非直專美於忠孝卽其法言偉德足可備來世之戒而取島松亭亭特立不屈霜雪之貞節以爲扁楣後而至王考有德巖公則以鳯山之南德碩巖稱號而文學操守與世仰止莫敢較京可以矜式於當時而垂範於後來則況其慕先之道敬止感仰豈尋常若他箇松他箇巖乎以私瞻仰則松其閱千古而鬱鬱乎有不變不凋之氣節悅然有吾祖貫日之貞忠根天之誠孝洋洋如寄在於歲寒特秀千年晩翠之枝巖其亘天地而巖巖乎有不可凌不可攀之峻勢完然有吾祖堅確之學定立之行與人瞻具者迥出若在於節彼直聳千丈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d5c2996.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pixel, 세로 46pixel巖之頂則爲吾先之後裔者遠而感想松島祖之一生貞篤不移之氣像則捨此松而更求於何而形容得來近而慕欽德巖爺之平日固守知止之動靜則非此巖而模準於何箇邊乎以故不肖?欲寓思於羹墻不避墜緖忝先之爲僭敢取島松碩巖二字之義着題於扃右以爲出入感慕之戒而且恐自此荒墜遺業益加累德於不肖也何哉昔以鳯南遜齋稱之而顧念可以有之人有之不可有之人不必有則此非受屬於長德而抑自取妄意不顧不有之爲愈遽爾稱之故迺以松巖扁之者卽非有之可而有也竊有寓戒於慕先之地欲爲一生準仰之資焉丙午維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賞菊【二首】 盡日停盃水石間黃花恐妨醉時看風光不爲游人住纔過重陽近歲寒身兼山野坐中間白石黃花面面看一點鳴鴻何處至北方前夜早霜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鶴陰齋詩【並小引二首】 余前自稱曰梓園者以海居思鄕之致而鄕▣歸矣顧念平昔無所成名只以誠信不足以行▣▣物故因筮行藏得中孚而改號曰鶴陰盖▣其孚信之義且時住黃鶴山陰故耳爲四韻詩志之吾道千年慕紫陽林泉窈窕起茅堂聯珠四面風來壑瑞石三冬雪後岡滿壁圖書無外事一生仁智送流光行藏且筮中孚義不用詩文較短長山水含輝位面陽茅茨垂地僅名堂剩將書史三千架閒領煙霞第一岡永夜疏桐鳴古操滿簾叢桂廕幽光中孚起信由天理靜聽臯陰鶴唳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卜新居 江湖棲息似東屯飛鳥回翔訪故園涉世每窺彭祖井居閒羞占謝公墩門臨曠野心期遠座擁羣山地位尊不妨後人譏我拙靑氈只合付兒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羲齋詩【並序】 朱夫子以太史公之史爲人之有身而無首盖以帝王本紀不載伏羲八卦故也太史公之才識如彼泛博而尙昧本原之學況其下者乎余少也從擧子業涉獵文字馳騁乎靡麗之末白首無成斷送光陰四十有餘年矣習氣漸磨寂感隨發則雖書籍充棟無復愜意者故遂取周易一部阮索經年道理儘無窮眞斯學之宗祖也於是灑掃▣▣治壁貼圖書左河右洛立課講學不務尋摘務精細理會過以一日一爻爲程積三百八十四日乃盡三百八十四爻如是千萬遍以至就木之日則雖不克有契於羲文之微奧其亦庶免爲無首之人爾詩曰小屋新成讀易初千金不購汗牛書馳心早被功名誤臨鏡須看髩髮䟱若向先天窺一畫豈妨殘日了三餘梅窓幽閴焚香坐漆簡韋編顧自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愼友賦立春 梅花着未菜盤登欲賦春詩耿夜燈荏再天時回造化蕭疎鬢髮對親朋臘前飛雪寒仍凍至後微陽數更乘一片桃符難免俗邌明吾亦聽雞興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