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강찬수(姜燦秀)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八年壬午式 幼學 姜燦秀 行郡守 光緖八年壬午式 姜燦秀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82년(고종 19)에 유학(幼學) 강찬수(姜燦秀, 32세)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82년에 幼學 姜燦秀가 靈光郡守에게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一統 第一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9년 이태우(李泰宇) 백패(白牌) 고문서-교령류-백패 정치/행정-과거-백패 …▣八年四月初八日 李泰宇 …▣八年四月初八日 肅宗 李泰宇 서울특별시 종로구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89년(숙종 15)에 이태우(李泰宇)가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받은 백패(白牌). 1689년(숙종 15) 4월에 이태우(李泰宇)가 생원시(生員試)에서 입격(入格)하고 받은 백패(白牌)이다. 이태우는 생원 3등 제64인으로 입격했다. 문서 전면에 '生員 三等 第六十四人'이라 적은 첨지가 붙여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十一年辛卯式 行郡守 幼學 李以坤 道光十一年辛卯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1×7.0), 靈光郡戶口(흑색, 12.3×3.8)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31년(순조 3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 3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2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7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9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九年己酉式 行郡守 幼學 鰥 李以坤 道光二十九年己酉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7.3×7.2), 靈光郡戶口(흑색, 12.4×3.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9년(헌종 1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49년(헌종 1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12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70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에서 개명한 이승필(李升弼)과 이현필(李鉉弼), 손자는 이지순(李贄淳), 이정순(李正淳)이다. 아들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작성된 외조는 이이곤의 빙부(聘父)이고, 손자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작성된 외조는 장자 이승필의 빙부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14년 강건종(姜健宗) 노비매매사급입안(奴婢賣買賜給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康熙五十三年正月日 靈光郡 康熙五十三年正月日 靈光郡守 姜健宗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印 15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14년(숙종 40) 1월에 영광군수(靈光郡守)가 유학(幼學) 강건종(姜健宗)에게 발급한 노비매매사급입안(奴婢賣買賜給立案). 1714년에 靈光郡守가 幼學 姜健宗에게 발급한 奴婢賣買賜給立案. 영광군이 婢主 白熙彩가 許與明文으로 나누었던 노비 중 2口를 姜健宗에게 매매한 거래 사실을 공증해 주며 강건종에게 발급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강찬수(姜燦秀)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十一年乙酉式 幼學 姜燦秀 行郡守 光緖十一年乙酉式 姜燦秀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85년(고종 22)에 유학(幼學) 강찬수(姜燦秀, 35세)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85년에 幼學 姜燦秀가 靈光郡守에게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佛甲面 雲堤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백패(白牌) 고문서-교령류-백패 정치/행정-과거-백패 光緖五年五月日 幼學 李馥弼 光緖五年五月日 高宗 李馥弼 서울특별시 종로구 科擧之寶(9.4×9.7)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02_001 1879년(고종 16)에 이복필(李馥弼)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받은 백패(白牌). 1879년(고종 16) 5월에 이복필(李馥弼)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하고 받은 백패(白牌)이다. 이복필은 진사 2등 제20인으로 입격했다. [과거지보(科擧之寶)]가 찍혔다. 문서 배면에 '幼學 李馥弼 進士 二等 第二十人'이라 적은 첨지가 붙여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十七年丁酉式 行郡守 幼學鰥李以坤 道光十七年丁酉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3), 靈光郡戶口(흑색, 12.2×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37년(헌종 3)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37년(헌종 3)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4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8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29년 강계동(姜啓東) 노비매매사급입안(奴婢賣買賜給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雍正七年四月 靈光郡 雍正七年四月 靈光郡守 姜啓東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印 12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29년(영조 5) 4월에 영광군수(靈光郡守)가 강계동(姜啓東)에게 발급한 노비매매사급입안(奴婢賣買賜給立案). 1729년에 靈光郡守가 姜啓東에게 발급한 奴婢賣買賜給立案. 영광군이 婢主 姜以健이 和會明文으로 나누었던 노비 중에 1口를 姜啓東에게 매매한 거래 사실을 공증해 주며 강계동에게 발급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3년 강호영(姜鎬永)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癸未二月二十八日 標主 求禮 幼學 姜鎬永 癸未二月二十八日 姜鎬永 전라남도 구례군 着名 1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3년(고종 20) 2월 28일에 구례(求禮) 유학(幼學) 강호영(姜鎬永)이 발급한 수표(手標). 1883년에 求禮 幼學 姜鎬永이 발급한 手標. 계미년에 구례에 사는 姜鎬永이 9대조 睡隱 姜沆의 褒贈를 위해 지출한 돈 중 일부는 문중에서 나머지는 자기가 부담하였음을 증명함. *追記: 敎旨 2장, 立案 1장, 三道儒狀 2장, 四長官通章 2장을 宗家에 납부한다고 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