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再遊松石亭次石樵李侯韻【三首】 石塢松臺自古淸泓崢蕭瑟又秋生靑山入座霞爲幛皂盖當軒雨乍晴客子無端悲暮景候虫何事近人鳴玆遊更卜迎霜後萬壑丹楓眼更明抄秋幽賞憶同曾又是松雲石榻憑朱墨生塵應有暇紅亭有約不辭登周旋半晌寧穿屐辛苦多年厭讀燈細雨靑林酒盡處瓊聯一徧錫余朋一境樓臺歴徧曾勁松老石此堪憑蒼灣屈曲圍山出小逕通幽穿竹登竟日哦詩淹客座誰家理績耿寒燈萍場聚散猶餘戀白首同爲耐久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重修鳴灘書院次韻 昆弟忠賢少等倫儒林崇奉此心眞公山逬立鄕仍貫錦水長流禮潔禋事在杜門從古仰名傳寶鑑至今新百年興廢攸多感況復聯篇起遠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道菴【在靈巖】 徑仄身危陟彼岡上房風月倍淸凉雲梯控路三層隔滄海兼天萬里長穿石潺流疑佛力懸崖老樹亦春光眼前尺霧難爲障獨立高樓頫遠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鶴林寺【在全州】 鶴林秋日短藜橫萬樹迎霜葉葉輕山意從容留遠客天光霏拂弄新晴人逢癸巳年前面身覺如來劫後生淨掃落龕留一偈免敎衲子笑無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坐【二首】 挑燈閒坐夜將深陳迹依依夢裏尋暮雨幾登車嶺路夕陽頻渡漢江潯伯夷且附靑雲士馬援寧知白首心尙憶東山談命客爲余開卦得黃金囱外紛紛雪灑林隣人咫尺不相尋俄翻白集先拈韻還對朱書復整襟窮巷夜深無吠犬短簷風韻有棲禽靑燈裊裊茶煙細俗累俱空見本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丘瓊山金陵韻 千年興廢感蒿萊徧霸王都一面開吳越山蟠龍虎地齊梁城接鳳凰臺楸梧古壠斜陽遠羅綺深宮夜月來不獨江南佳麗盡文章陳迹摠堪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草堂夜 詩情酒思兩無餘年壯諸君不我如橫草功名虛玉塞宿桑緣業在山廬南維掃瘴雲歸後西陸生弦月上初半夜支離天外想更將白髮跨龍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木覓山 客裏看山喜賞心龍樓咫尺聖明臨千章老木連高下百道晴泉自古今嵐翠遙將城闕覆花光渾與綺羅侵繁華寥寂俱難狀石路遲回半目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巖記 有單豹者養其內而虎食其外有張毅者養其外而病攻其內由此觀之雖古之善養者未免有一偏重一偏輕之病內重則外不期輕而自輕外重則內不期輕而自輕久不見其內外俱得其養者矣日羅斯文聲泰甫以松巖來曰吾祖前有松島公後有德巖公顧此寒淺非敢曰克趾先美而以此兩者扁號以爲修省警責之道足矣余聞之不覺欽艶而繼之以戒懼何也竊念吾聲泰平昔敬桑梓之道充然有得于中英發于外掩匿不得至于表扁于外此固秉彝之良心世濟其美與古之內養而不得外外養而不得內者不翅天淵則欽艶於先者此也苟或貧病相尋外邪闖肆晩節之難保不若初節之易保則還未免有忝於松巖二字其戒懼於後者是也聲泰愕然改容曰若然則反不如無扁之爲免余反而謝曰何必爾也昔仲虺贊揚成湯不稱其無過而稱其改過吉甫歌誦周宣不美其無闕而美其補闕則其立言之道不得不如是矣子所云修省警責者未始不有昭陵之見將比省責於前者爲善後之計則其於繼述之道何難之有噫善也自句讀之日服事德巖公首尾三十餘年之久而皐此之撤今爲二十稔則烏頭之力己盡無餘而惟幸賢者相從於衰暮寂寞之濱庶或有補忘漏收桑楡之功不惟其前後受賜爲多而其於聲泰追先德之道不容但已者也玆於松巖字偏有感于中者存焉遂收其語而歸之丙午閏四月下休長興高光善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觀豐閣【在春塘臺內】 每決春塘水灌此八路田君王艱稼穡天豈惜豐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洗劒亭 紅塵何處是移步岸苔靑爲愛林泉勝題名洗劒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芚寺 樹影圍丹壑溪聲接翠微閒來石上坐幽鳥掠尺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仁智菴【有意構之眞可謂詩成屋未就也】 古來仁智心寄玆山泉賞櫂歌那復聞九曲杳餘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京 南門驅馬欲黃昏却怕金吾禁夜軍白首奔忙緣底事故山秋日負松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廣淸橋 天邊回首路迢迢霜早楓林萬葉凋自笑風塵多事客年年八月廣淸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原店 馳到長程我馬玄暫留桑下若夤緣深思百歲人間事等是郵亭一夜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漢江 平沙細雨濕無聲咿嘎孤舟向夕鳴一抹靑峯雲外出行人道是廣州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靜溪原韻幷小記【戊子三月】 日盧友小溪翁問余于松巖之病窩曰子嘗知否鄙宗靜溪主人乎此翁生居于瑞山之北日谷之溪畔早工於爲己之學遯跡而安靜養心性而沈潛無一毫動搖於塵累之紛染而取溪之靜扁于其捿息之室而有其胤榮燮君且是資性克孝訓襲家庭不改親在之行以奉先紹述誠徴詩與記於士友不尟矣子其一言不靳乎余起應曰余不啻人非其人素不?於此個著述則此何敢諸更以演之曰溪者水之源也水本動而謂溪專靜則兹曷故焉吾知之矣以其主人翁之沈潛安靜之體用獨愛而寓意於淸靜歟昔在柳宗元之愚溪周子之濂溪以寓居焉而至若吾東退陶翁之退溪沙翁之沙溪亦其然矣然則溪以其所居日谷之溪寓意而志存於涵泳之工心潛於淸靜之養準則於先哲之踐履而然者歟吁其成矣夫賡以詩【以下載詩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月吟【二首】 天地回頭政黯然倘來人事幾餘年歌將激烈嫌喉細酒欲昏酣奈量褊臨水羨魚游潑潑憑雲看鳥去翩翩峭寒未久春應爛身在花間與柳邊沈痾未去向新年擁被閒房謹節宣萬事人間都是感五更燈下不成眠深村儺鼓聲猶壯明月銀河色正鮮七十治聾聊戲耳且將白髮就尊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磐石 蒼巖自在有堂前平仄刓成巧是天兩局周旋碁可鋪十人圍坐榻相連形由遲鈍偏能壽性且剛方故不圓白首時來高枕臥靑山流水夢悠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