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鎭將【梨津】 淸明無事按邊籌千里烟波頫上遊官樹月明弓已掛劍樽春綠酒新蒭風微五兩依芳渚霞捲三山八畵樓橫海將軍眠白晝常雲北闕夢悠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崔俊叔之金剛 聞說金剛冠我東羣峯卓列海雲中窮邊立極由天意太始凝精認化工嵐捲千巖皆白玉秋來萬木是丹楓名山未陟身將老送子靑門悄倚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平鐵川 德容山似丈人尊猗竹勁松下有村禮數從容徐稺榻交遊幸托鄭萇門相憐白髮非春色自愧靑衿濫聖恩【缺】馬自然歸意速臨歧恨不盡餘樽晩羲集卷之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羲集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路上有感 三千六百有餘程風雪冰霜困此行隨俗未能譏裸浴背時還似傲功名高車失路悲前轍喬木留花待後英假使靑雲終得意巢由那不笑浮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五言排律【一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有所思 西廂新月隔羅幃不放團圓滿眼輝紅粉未須情獨淡蒼顏爭奈格相違春來芳草人何去夢逐行雲路轉微別後重逢今可卜當門螘子漏新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寺志感 一味酸鹹各自宜君平棄世世皆疑山如好友要常見詩似佳人怨蹔離喬木拂雲元自大老龍含雨欲何施煙塵不入樓臺靜巖逕徘徊去故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臥念【在京】 環堵翛然掩篳蓬平居睡美到高舂興來棋酒無多敵老去詩交未退鋒每日盤回尋曲澗有時箕踞對長松那知世故令人惱還聽西京旅夜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家信作惡數日【時聞靈巖長女訃音】 遠鴈傳書炤客燈孤懷轉輾到天明欲將齊物論悲喜休向層峯問死生臘酒誰家濃宿釀至雷前夜已春聲良朋慰我牢騷意雙擲梟盧一戱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果齋成先生不遇 門路停驂日欲曛滿床經籍只含薰識荆擧世誰無願責沈他時合有文酒肆垂楊人擾擾官街落蘂蝶紛紛袖中一部通書在何處論疑廣見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病中吟 醫藥寧求外安心養性眞雲開方見月寒盡乃生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放黿 爾智能藏六胡爲八網羅前江遠放去隨意伴蛟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人間樂事幾【五首】 父母受養日兒孫學語時關心無外事隨分作生涯羲圖觀象後魯史獲麟餘汗牛今古籍贏得一鑑茹不作欺心事無爲害物人鄕邦稱善士足了百年身山水人同樂琴樽我亦娛此願如欲償良朋不可無東西種桃李南北種牧丹春來花發後白首好臥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下好人三【三首】 臨財不專利臨事不設機推此心以往君子亦庶幾聞善心誠喜多能口不夸冲然在世間爲德近柔嘉家無耕百畝身臥一藜床蒼生海內憂猶自不能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同福峽村 山深樹密老藤纏隱約茅檐小水邊使人入洞還愁寂雖是桃源不羨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水原北樓 風塵棲屑幾經年白首登樓倍黯然前路春光應未晩滿城花柳雨中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榮山津 雙峯山下細流淙注到榮江勢漸雄到海前程知幾許倚船今日問漁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濟州梁宗吉 茫茫仙路隔雲愁瀛海長天未汎舟今夜逢君追遠感三羅祠屋喜重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弦窩高先生 維歲次乙亥正月辛亥朔二十日庚午卽卽遠之日前日七日甲子【門下世下生】羅鍾宇謹以一辦香告訣于先生象生之靈嗚呼痛哉天可必乎天可信乎賦之以純正溫雅之質而仁且壽焉此可必信于天乎理難諶斯運胡忍斯授之以剛明篤厚之質而奇且舛焉此可忍諶于理運乎嗚呼痛矣天佑斯文先生出類早世[穩+木]括專一無貳尊信斯道惟仁惟義着跟堅確孰敢移動異默戰兢母違造次淵源正脈有溯不墜牖迷發蒙斯文赤幟師世範俗山斗仰止此必于天嗚呼痛至理乎運乎道不勝禍天固余欺嗚呼哀哉再斷琴絃三焚蘭枝寬譬洪量理遣自支非精于義孰能于玆聖責傷明夙所佩斯此胡于理嗚呼克私命乎時乎何付之德奪其時利弓旌無禮入山齎志世不我與洞曰掩耳直內方外左經右史昏衢秉燭南服之紀敎了春風志潔秋水學舍難容有朋遠至時何舛乎嗚呼痛矣九六國難痛徹風泉瞻彼泣弓巖巖益堅冠忠服義不愧于天此非循私稽古法賢嗚呼哀哉稟之以純仁之厚而理命奇舛此可必于天乎卑之以壽考之貞而時運幷奪此可信于天乎至於先生仁壽必信而命運舛薄故復呼天而云云天乎痛哉天乎哀矣純粹正明行爲君子而天則必奪其時學問仁義志存斯文而天則必舛其運吾固知蒼蒼之無必莫莫之無信今焉己矣嗚呼曷極嗟余小生年自齠齔雖未承奉朝朝夕夕灑掃警咳於皐比之下而義則師傅情則父老一月一旬一年十旬趨拜几牀聽得咡詔至于今五十年斯去小春拜謁幈下日己寒暮喜其來而戒以傷心損氣及告歸愕然殊甚於前日下堂送之申之以分數難逭之事此知以平素謹愼之頂針而豈料今日永訣之要旨哉顧以小生之謏淺暴棄何親受眷愛厚念之隆深於斯至於講先發迷開牖曰以吾先師之孫事半功倍曲賜頫存期欲以變質鈍移氣濁常招于傍隨事指擿諄諄摑掌其於朱藍之染於漆絲良工之彫於朽木何哉不效敎迪之萬一而天喪斯文小生無祿遽哭安放天耶理耶時乎今焉己矣倀倀何適鳳岑失色樂江聲寂講質莫究疑晦山積撫躬自悼心若剗剔海內甚廣其人其誰公議惜之益切痛私窀穸將迫永閟聲儀正脈旣絶誰扶綱憲萬事己矣方切羹墻嗚呼先生純正之英貫通之識遽爾去此今復何爲止乎行乎昧乎明乎抑蕩然爲大空與化無窮乎將挺而爲松栢以表歲寒孚抑爲景星爲卿雲以寓其神乎將爲圭爲璧以捿其魄乎抑復爲賢人以續其志乎將奮爲明神以遂其義乎不然是昭昭者其得己乎抑有志乎其無知乎且或有志其可使小生知之乎幽明杳隔心焚憶塞嗚呼己矣痛莫自慰黃壤返眞之夜庶奉吾先子矣侍陪相悅無異若平昔講學質疑爲告不肖小子僅與伯季自相依恃苟保殘喘少慰泉臺不昧之靈敢將中積景慕之丹片陳此外誚荒蕪之短辭不昧者靈庶鑑此悃嗚呼哀哉尙饗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