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3년 허종(許棕)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使 許棕 [光州牧使之印](7.0×7.0)周挾改印(17.0x4.5)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에 허종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 1873년(고종 10)에 허종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허빈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갑오생(1834)이다. 호주의 이름과 생년·본관을 적은 뒤 사조(四祖)와 가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同治拾貳年 月 日 光州牧考癸酉成籍戶口帳內 北面三所旨海山村 住第二統第二戶幼學 許 棕 年肆拾甲午 本陽川父 學生 寬祖 學生 沃曾祖 學生 璞外祖 學生 金宗鎰 本光山妻 宋氏 歲肆拾甲午 籍恩津父 學生 必基祖 學生 啓迪曾祖 學生 德厚[光州牧使之印][周挾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48년 이시동(李時同) 상환통지서(償還通知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木浦地方土地行政廳 李時同 □…□ (3x3) □…□ (청색,원형, 3.5)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 6월 20일에 목포지방토지행정청(木浦地方土地行政廳)이 해남군 삼산면 창리(海南郡 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에게 발급한 상환통지서(償還通知書) 件番 1021에 해당한 대맥 0.21섬을 납부하라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8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海南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 1월 6일에 삼산면 창리(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97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8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에 2월 8일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28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0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0년에 3월 11일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959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鄕中儒生李鉉翊等 謹再拜上書于城主閤下 伏以孝烈者 天理之經而人道之常 則褒薦而旌閭之公議之所不可遏而晠典之所不可逸也 巨岾面河聖采妻與弟嫂 一室兩孝烈 可謂循其理而得其常者也 敢不褒薦以冀旌閭乎 夫河聖采 以嶺南漂蹤 流落本州 已六七世 而卽以閥閱士族之名世 襲儒雅家 存懿範入 稱奇異 其母黃氏 以早喪家夫 守節寡居 只有聖采·達采兩孫提 而養育敎訓 必有義方 及其成長 聖采娶南氏女·達采娶金氏女 于歸夫家 門微勢貧 養姑之節 菽水難繼 兄弟賃織傭杵 以備瀡滫之供 勸其夫業農 行商以具適口之味 定省溫凊 各循其節 婉婾容色無所不至 鄕隣莫不艶美而欽歎 去丁巳年 其姑遘疾 醫藥無效 將至殞絶 南氏斫其指灌口割股和劑 終得回甦 隣里莫不嘉尙其誠孝 欲報而褒之 終始諱而拒之 至于今十餘年之久矣 去年六月 達采以癘疾 幾至命盡 左右望斷 醫者辭退 其妻金氏 極加致誠 敬祝天代命運 連斫左右指而注之 又割兩股而服之 僅續其夫之殘縷 因以眼盲病廢 其所竭力殫誠 天神可格 有此卓異之孝烈 而遺逸不褒 則公議之不伸 晠典之所尺 倘復如何 一股之割 一指之斫 古士夫烈丈夫之鮮難能 而以傭賃凡然婦女 斫盡左右指 割去兩股 則此可天出之誠 亘天之烈 而其匪傳家操守 平日篤行 則能斷而不迷乎 伏願閤下 博採公議 摭實轉報 俾得旌褒 以樹風聲之地 無任祈懇城主 處分己巳三月初二日 儒生 幼學 李鉉翊 高時喆 奇商浚 李世根 柳命三 高廷羽 鄭瑋燦 崔師淳 李相根 朴熈 金在鉉 朴聖龜 高時俊 朴性恢 鄭東儒 朴世植 奇象經 朴馨基 李鉉復 奇思達 高廷礪 柳在洪 李志幹 李處仁 金聖錫 奇商白 朴榮植 金宗欽 李箕鐄 尹汲 申星權 閔震煥 高時誾 朴恒瑞 鄭履謙 金榮達 等行使[着押][光州牧使之印](題辭)式年抄報時 更當採探其實行向事 初六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오년 광주목(光州牧) 수행록(隨行錄)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光州牧 使<着押>, 掌議 白<着名>, 奇<着名>, 齋中 朴<着名>, 朴<着名>, 朴<着名>, 李<着名>, 朴<着名>, 高<着名>, 朴<着名>, 朴<着名>, 朴<着名>, 柳<着名>, 朴<着名> 光州牧印(7.5×7.5), 光州牧使之印 광주 광주향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년부터 光州牧에서 작성한 隨行錄. 甲辰, 乙巳, 丙午, 壬子, 甲寅, 乙卯年 光州牧에 소속된 光州鄕校 儒生 명단을 수록함 죽은 사람인 경우에는 성명 위에 屳을 기재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東面庚申閏四月日靑大竹本錢節目[興陽縣監之印]2)嘉慶五年閏四月日 靑大竹本錢節目本縣所封 進上靑大竹 三年一次奉 進時 其所糜費 數甚夥然 而一自竹保革罷之後 全責雇廳 許多關報 別下應懲 難以繼用 該廳之難支 亦甚可憫 官給三年 居此稔知 此弊昨年六月日 三百緡之出給民庫 庶或爲萬一之稱 而今年又爲靑大竹奉 進之年 今3)雖遞歸 豈無留念之意乎 靑大竹本錢壹百貳拾兩 十二面中拾兩式給付 別定儒品有司 一依補雇錢例當其奉 進時 存本取用次 遂成節目 付之補雇節目冊中爲去乎 前頭取用時 以此意措辭歛散 毋或違越消融之弊 宜當者座首 丁[着名]一別監 宋二別監 金戶長 申處權吏房 姜聖武[着名]承發 朴文爀[着名]官[着押][興陽縣監之印]4)後一 錢文一百二十兩 自官出給雇馬廳 十兩 使之分給十二面爲齊一 官旣臨發 各面儒品有司處 未及一一面給 先招面任出給 使之轉給有司 依補雇錢十四例取利 而今年則奉 進不遠 殖利無多 不可取用 待後次利錢稍優時 取用是齊一 每年春則二月初十一 秋則八月初十一 依新備補雇錢定期講信例 利本錢數爻 卽日報官 自雇馬廳都錄成貼 以爲憑考之地爲齊[興陽縣監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9년 장대윤(張大允)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大允 康津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9년(정조3) 장대윤(張大允)이 자기 호(戶)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강진현(康津縣)에 제출한 호구단자 1779년(정조3) 장대윤(張大允)이 자기 호(戶)의 현황을 기록하여 강진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장대윤의 본관은 인동(仁同)이며,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으로, 나이는 36세이다. 호주인 장대윤의 사조(四祖)와 처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사조 및 같이 살고 있는 아들이 함께 기록되어 있다. 장대윤의 사조는 부(父)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은 77세로 생존해 있으며,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처 김해김씨는 36세이고 김해김씨의 사조는 아버지는 김위재(金渭載), 조부는 김천석(金天碩), 증조부는 김애명(金愛明), 외조부는 본관이 경주인 정무현(鄭武賢)이다. 아들 장계득(張啓得)은 16세이다. 호구단자는 호주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하면 대조 및 확인 작업을 거친 후 다시 돌려주는 과정에서 지방관의 서압(署押)이나 관인(官印), 주협무개인(周挾無改因), 또는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 등이 찍히기도 하는데, 이 호구단자는 그러한 흔적은 없이 실제 가구원인 호주와 모시고 있는 아버지를 뜻하는 봉부(奉父), 처, 아들 위에 주묵(朱墨)이 찍혀 있어 강진현의 대조 및 확인을 거친 흔적을 볼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71년 흥양현(興陽縣) 성첩절목(城堞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興陽縣監 東面 官<押>座首 申忠模 <着名>, 兵房軍官 徐春大 <着名>, 戶長 朴承殷 <着名>, 吏房 申承模 <着名> 興陽縣監之印12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1년 7월에 흥양현에서 동면에 발급한 성첩절목 1871년(고종 8) 7월에 흥양현에서 동면(東面)에 발급한 성첩절목(城堞節目)이다. 성첩은 성벽을 가리키므로, 이 자료는 흥양읍성을 보수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금전에 대한 조항들을 기록한 절목이라고 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95년~1912년 대강면(大江面) 집강안(執綱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5년 6월부터 1912년 9월까지 大江面에서 작성된 執綱案. 연도별로 都察과 執綱의 명단을 열거하여 수록한 내용 *申敬模의 序文이 함께 수록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8년~1960년 대강면(大江面) 보인계(輔仁楔) 집강안(執綱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9월부터 1960년 9월까지 大江面에서 작성된 輔仁楔 執綱案. 연도별로 契長, 有司, 執綱의 명단을 열거하여 수록한 내용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