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통지하기 위해서 보내는 것입니다. 도의를 드날리고 미덕을 현창하는 것이 어찌 사림의 공의가 아니겠습니까. 귀 읍의 고 사인(士人) 허관(許寬)은 세덕(世德)을 논한다면, 문경공(文敬公) 휘 공(珙)의 14대손·대제학 휘 부(富)의 12대손·진사공 휘 창(淐)의 증손입니다. 공은 명가의 후손으로 그 효행을 논한다면 집안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연로한데 숙수(菽水)1)를 계속 대기가 어렵게 되자 산에서 땔나무를 하고 물에서 물고기를 잡아 맛있는 음식을 제공함으로써 뜻을 봉양하는 것을 급선무로 삼았습니다. 저녁에는 이부자리를 펴 드리고 새벽에는 안부 인사를 올림으로써 예법을 부지런히 힘썼습니다. 부친이 연로하고 편찮으셔서 목숨이 거의 끊어질 지경에 이르자 자신의 허벅지살을 자르고 손가락을 잘라서 부친께 먹여 며칠간 다시 살 수 있게 하였지만, 천명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갑자기 숨을 거두자 슬퍼하고 몸을 상한 정상과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는 애통함은 듣는 이들이 감동하고 보는 이들이 탄복하게 하였습니다. 죽은 이를 장송하는 절차는 고례(古禮)를 준수하였고, 시묘살이한 삼 년 남짓 동안 가래나무를 붙잡고 통곡하여 나무가 말라 죽었습니다. 매번 밤이 되면 어떤 범이 찾아와서 그 곁에 머무르는 일이 있었는데, 마치 범이 그를 호위하는 형국처럼 보였습니다. 이는 참으로 효성이 감응한 소치입니다.더구나 그 아내 광산 김씨(光山金氏)는 남편의 효행을 준수하여 품팔이하여 부모님께 이바지하였습니다. 맛있는 음식을 제공할 때는 마음에 들지 않음이 없었고, 죽은 이를 장송하는 절차에서는 슬퍼하고 몸을 상한 정상과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는 애통함이 끝이 없었습니다. 남편이 시묘살이할 때 아무리 모진 추위와 심한 더위에도 날마다 반드시 한 번 찾아가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게을리한 적이 없었습니다. 참으로 이른바 그 남편에 그 부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림의 공의에 달려 있으니, 어찌 입을 다물고 있을 수 있겠습니까. 우러러 말씀드립니다. 삼가 모든 유생이 서둘러 천양하기를 몹시 바랍니다.이 글은 광주향교에 공경히 통지하는 것입니다.1873년 5월 모일에 전주 희현당 도회소에서 보내는 발문유학 전주 이지춘(李祉春)·오영우(吳永佑), 광주 유학 류혁보(柳赫保)·정언종(鄭彦鐘)·남원 유학 방환충(房煥忠)·오태화(吳泰和)·진사 이정로(李廷老)·최우정(崔禹禎), 무안 유학 김인수(金仁壽)·안진택(安鎭宅), 정읍 유학 류인희(柳仁希)·화순 유학 최병두(崔秉斗), 능주 유학 양침(梁針)·김상천(金相天), 장성 유학 김병휴(金柄休), 창평 유학 오용규(吳龍圭), 고창 유학 김오성(金五成), 나주 유학 박응규(朴應圭), 임피 유학 최▣훈(崔▣訓), 임실 유학 이▣▣(李▣▣), 만경 유학 최학삼(崔學三)· 진사 신▣장(辛▣章), 함평 유학 김성삼(金聖三)·이▣혁(李▣赫), 동복 유학 하▣원(河▣遠), 진산 유학 오상형(吳相亨), 낙안 유학 정제묵(鄭濟嘿)·부안 유학 김규혁(金圭赫)·진사 이겸술(李謙述), 남평 유학 서치경(徐致敬), 옥구(沃溝) 유학 이용달(李龍達), 함열(咸悅) 유학 최현주(崔賢柱), 용안(龍安) 유학 류치권(柳致權), 고부 유학 심인지(沈獜之), 흥덕(興德) 유학 이용문(李容文)·심경호(沈景浩), 보성 유학 안치병(安致秉), 금산 유학 고순석(高舜錫), 옥과(玉果) 유학 허석(許錫), 장흥 유학 김시석(金時錫)·안홍기(安洪基), 태인 유학 류형태(柳亨泰) 등 숙수(菽水) 콩죽과 물로, 효자가 가난한 살림에도 어버이를 극진히 모시는 것을 뜻한다. 공자의 제자 자로(子路)가 집안이 가난해서 효도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탄식하자, 공자가 "콩죽을 끓여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기쁘게 해 드리는 일을 극진히 행한다면, 그것이 바로 효이다.[啜菽飮水盡其歡, 斯之謂孝.]"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禮記』 「檀弓下」) 通文右文爲通諭事揚{羊/(言+言)}闡美 豈非士林之公議也 貴邑故士人許 寬論其世德則文敬公諱 珙之十四代孫大提學諱 富之十二代孫進士公諱 淐之曾孫也 以名家后裔論其孝行 則家貪親老 菽水難繼 山而樵焉 水而漁焉 甘旨之供 以養志爲先務 晨昏定省之節以禮法爲勤務 其父親以老病 命在幾絶 割股斷指 飼之而迴甦數日 ▣(天)命奈何 奄及屬纊 哀毁之狀 擗踊之痛 聞者感見者服 送終之節克遵古▣(禮) 㞐廬三年 攀楸痛哭 樹爲之▣(枯) 每有夜虎來到身傍 有若護衛之狀 此宲▣(孝)感所致也 况復其妻光山金▣▣▣▣▣▣▣▣▣(氏克遵其夫之孝行 傭)以供父母也 甘旨之供無不適▣(志) 至於送終之境 哀毁之狀 擗▣▣▣▣▣▣▣▣▣(踊之痛 罔有紀極 其夫)㞐廬之時雖祈寒盛暑日必一往 終▣(始)不怠 眞所▣(謂)有是夫有是妻也 其在士林▣(之)公議 ▣(未)可以含嘿在之仰諭 惟願僉章甫亟爲闡揚之地幸甚右敬▣(通)于光州鄕校癸酉五月 日全州希顯堂都會所發文 幼學 全州 李祉春 吳永佑 光州 幼學 柳赫保 鄭彦鐘 南原 幼學 房煥忠 吳泰和 進士 李廷老 崔禹禎 務安 幼學 金仁壽 安鎭宅 井邑 幼學 柳仁希和順 幼學 崔秉斗 綾州 幼學 梁針 金相天 長城 幼學 金柄休 昌平 幼學 吳龍圭 高敞 幼學 金五成 羅州 幼學 朴應圭臨陂 幼學 崔▣訓 任宲 幼學 李▣▣ 萬頃 幼學 崔學三 進士 辛▣章 咸平 幼學 金聖三 李▣赫 同福 幼學 河▣遠珍山 幼學 吳相亨 樂安 幼學 鄭濟嘿 扶安 儒學 金圭赫 進士 李謙述 南平 幼學 徐致敬 沃溝 幼學 李龍達 咸悅 幼學 崔賢柱 龍安 幼學 柳致權古阜 幼學 沈獜之 興德 幼學 李容文 沈景浩 寶城 幼學 安致秉 錦山 幼學 高舜錫 玉果 幼學 許錫 長興 幼學 金時錫 安洪基 泰仁 幼學 柳亨泰 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