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0년 오정환(吳鼎煥) 증광생원시(增廣生員試) 초시(初試)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吳鼎煥 □…□ 고흥 나주오씨 오정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0년(정조 14) 오정환이 증광생원시 초시에 응시할 때 작성한 시권 1790년(정조 14) 오정환이 증광생원시(增廣生員試) 초시(初試)에 응시할 때 작성한 시권이다. 오정환은 여기서 차하(次下)의 성적으로 합격하여 복시에 응시할 기회를 얻었는데, 동 가문에 복시 시권이 전해져 함께 참고할 만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 글은 통지하기 위해서 보내는 것입니다. 도의를 드날리고 미덕을 현창하는 것이 어찌 사림의 공의가 아니겠습니까. 귀 읍의 고 사인(士人) 허관(許寬)은 세덕(世德)을 논한다면, 문경공(文敬公) 휘 공(珙)의 14대손·대제학 휘 부(富)의 12대손·진사공 휘 창(淐)의 증손입니다. 공은 명가의 후손으로 그 효행을 논한다면 집안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연로한데 숙수(菽水)1)를 계속 대기가 어렵게 되자 산에서 땔나무를 하고 물에서 물고기를 잡아 맛있는 음식을 제공함으로써 뜻을 봉양하는 것을 급선무로 삼았습니다. 저녁에는 이부자리를 펴 드리고 새벽에는 안부 인사를 올림으로써 예법을 부지런히 힘썼습니다. 부친이 연로하고 편찮으셔서 목숨이 거의 끊어질 지경에 이르자 자신의 허벅지살을 자르고 손가락을 잘라서 부친께 먹여 며칠간 다시 살 수 있게 하였지만, 천명을 어떻게 하겠습니까. 갑자기 숨을 거두자 슬퍼하고 몸을 상한 정상과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는 애통함은 듣는 이들이 감동하고 보는 이들이 탄복하게 하였습니다. 죽은 이를 장송하는 절차는 고례(古禮)를 준수하였고, 시묘살이한 삼 년 남짓 동안 가래나무를 붙잡고 통곡하여 나무가 말라 죽었습니다. 매번 밤이 되면 어떤 범이 찾아와서 그 곁에 머무르는 일이 있었는데, 마치 범이 그를 호위하는 형국처럼 보였습니다. 이는 참으로 효성이 감응한 소치입니다.더구나 그 아내 광산 김씨(光山金氏)는 남편의 효행을 준수하여 품팔이하여 부모님께 이바지하였습니다. 맛있는 음식을 제공할 때는 마음에 들지 않음이 없었고, 죽은 이를 장송하는 절차에서는 슬퍼하고 몸을 상한 정상과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는 애통함이 끝이 없었습니다. 남편이 시묘살이할 때 아무리 모진 추위와 심한 더위에도 날마다 반드시 한 번 찾아가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게을리한 적이 없었습니다. 참으로 이른바 그 남편에 그 부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림의 공의에 달려 있으니, 어찌 입을 다물고 있을 수 있겠습니까. 우러러 말씀드립니다. 삼가 모든 유생이 서둘러 천양하기를 몹시 바랍니다.이 글은 광주향교에 공경히 통지하는 것입니다.1873년 5월 모일에 전주 희현당 도회소에서 보내는 발문유학 전주 이지춘(李祉春)·오영우(吳永佑), 광주 유학 류혁보(柳赫保)·정언종(鄭彦鐘)·남원 유학 방환충(房煥忠)·오태화(吳泰和)·진사 이정로(李廷老)·최우정(崔禹禎), 무안 유학 김인수(金仁壽)·안진택(安鎭宅), 정읍 유학 류인희(柳仁希)·화순 유학 최병두(崔秉斗), 능주 유학 양침(梁針)·김상천(金相天), 장성 유학 김병휴(金柄休), 창평 유학 오용규(吳龍圭), 고창 유학 김오성(金五成), 나주 유학 박응규(朴應圭), 임피 유학 최▣훈(崔▣訓), 임실 유학 이▣▣(李▣▣), 만경 유학 최학삼(崔學三)· 진사 신▣장(辛▣章), 함평 유학 김성삼(金聖三)·이▣혁(李▣赫), 동복 유학 하▣원(河▣遠), 진산 유학 오상형(吳相亨), 낙안 유학 정제묵(鄭濟嘿)·부안 유학 김규혁(金圭赫)·진사 이겸술(李謙述), 남평 유학 서치경(徐致敬), 옥구(沃溝) 유학 이용달(李龍達), 함열(咸悅) 유학 최현주(崔賢柱), 용안(龍安) 유학 류치권(柳致權), 고부 유학 심인지(沈獜之), 흥덕(興德) 유학 이용문(李容文)·심경호(沈景浩), 보성 유학 안치병(安致秉), 금산 유학 고순석(高舜錫), 옥과(玉果) 유학 허석(許錫), 장흥 유학 김시석(金時錫)·안홍기(安洪基), 태인 유학 류형태(柳亨泰) 등 숙수(菽水) 콩죽과 물로, 효자가 가난한 살림에도 어버이를 극진히 모시는 것을 뜻한다. 공자의 제자 자로(子路)가 집안이 가난해서 효도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탄식하자, 공자가 "콩죽을 끓여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기쁘게 해 드리는 일을 극진히 행한다면, 그것이 바로 효이다.[啜菽飮水盡其歡, 斯之謂孝.]"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禮記』 「檀弓下」) 通文右文爲通諭事揚{羊/(言+言)}闡美 豈非士林之公議也 貴邑故士人許 寬論其世德則文敬公諱 珙之十四代孫大提學諱 富之十二代孫進士公諱 淐之曾孫也 以名家后裔論其孝行 則家貪親老 菽水難繼 山而樵焉 水而漁焉 甘旨之供 以養志爲先務 晨昏定省之節以禮法爲勤務 其父親以老病 命在幾絶 割股斷指 飼之而迴甦數日 ▣(天)命奈何 奄及屬纊 哀毁之狀 擗踊之痛 聞者感見者服 送終之節克遵古▣(禮) 㞐廬三年 攀楸痛哭 樹爲之▣(枯) 每有夜虎來到身傍 有若護衛之狀 此宲▣(孝)感所致也 况復其妻光山金▣▣▣▣▣▣▣▣▣(氏克遵其夫之孝行 傭)以供父母也 甘旨之供無不適▣(志) 至於送終之境 哀毁之狀 擗▣▣▣▣▣▣▣▣▣(踊之痛 罔有紀極 其夫)㞐廬之時雖祈寒盛暑日必一往 終▣(始)不怠 眞所▣(謂)有是夫有是妻也 其在士林▣(之)公議 ▣(未)可以含嘿在之仰諭 惟願僉章甫亟爲闡揚之地幸甚右敬▣(通)于光州鄕校癸酉五月 日全州希顯堂都會所發文 幼學 全州 李祉春 吳永佑 光州 幼學 柳赫保 鄭彦鐘 南原 幼學 房煥忠 吳泰和 進士 李廷老 崔禹禎 務安 幼學 金仁壽 安鎭宅 井邑 幼學 柳仁希和順 幼學 崔秉斗 綾州 幼學 梁針 金相天 長城 幼學 金柄休 昌平 幼學 吳龍圭 高敞 幼學 金五成 羅州 幼學 朴應圭臨陂 幼學 崔▣訓 任宲 幼學 李▣▣ 萬頃 幼學 崔學三 進士 辛▣章 咸平 幼學 金聖三 李▣赫 同福 幼學 河▣遠珍山 幼學 吳相亨 樂安 幼學 鄭濟嘿 扶安 儒學 金圭赫 進士 李謙述 南平 幼學 徐致敬 沃溝 幼學 李龍達 咸悅 幼學 崔賢柱 龍安 幼學 柳致權古阜 幼學 沈獜之 興德 幼學 李容文 沈景浩 寶城 幼學 安致秉 錦山 幼學 高舜錫 玉果 幼學 許錫 長興 幼學 金時錫 安洪基 泰仁 幼學 柳亨泰 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洪友【斗杓】高友【濟萬】夜話【壬寅春】 初天九月素如暉夜話從容逸興飛共君占此淸閒趣廋竹疏松屋四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梧軒【平洞面】 鳳峽蒼梧老百年愛而培養小軒連雨聲疏密月枝底月影高低露葉前安樂單瓢如陋巷靜閒別業是網川厚陰淸福知無盡孫讀子耕翁看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薇菊契詩話【癸酉三月】 萬生春國日遲遲遊會名區竹數枝山屹水流分地勢花明柳綠自天時詩能言志皆工部友少知音愧子期榮辱不關癡且戇逢君却是似無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晩翠亭【金勝坤】 晩翠亭高歲月遲捿斯終老一心持論詩講禮迎士友課子勉孫惜日時園竹淸音風打葉庭蘭遺馥露抽枝肯堂肖胤幾多感留客輕陰常不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東洲回甲【勝坤】 塵世幾多過六旬謫來仙骨化君身祝岡賀箋朋來遠餘慶家聲德有隣調琴賢妻相助韻趨庭孝子本爲仁鐵花香裡傾紫液共醉諸賓亦仙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恕谷翠軒【任彦宰】 主翁立志素堂堂挹翠建軒路向陽短塢精神松老臥小隈元炁竹猗長碩人逢會秋佳節君子居安地有光郍裏誰知眞趣在湖山亦護得其方送老爲謀結小堂氛陰自遠克扶陽盃醪美味黃花泛詩禮古談白日長望裡雲林瀟灑景接間山水繪圖光主人心事於斯得敬直平生義以方松老筠疏翠滿堂從心捿息酉山陽積陰淑景時呈爽向晩淸風日與長高士居今鄕不俗有朋談古座生光共君願此餘年送恐負吾人無向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養浩堂韻【石谷面長嶝】 一生修養自天然廣宅安居好地田省己常稱顔四勿訓庭須道孟三遷心曾樂善多交友學必希賢每看篇捿息於斯存所性扁楣無恙永其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斗煥 省禮拜言日月公道不爲孝子家少偏先大人祥期於焉隔邇孝子霣廓之痛愈久愈深矣望須準則於不敢過不敢及之聖訓以盡孝之斯日無至傷孝如何顧念先府君平素則性度溫正氣宇康健意謂必享介眉之遐壽使此世雅之晚生頻承先天相劘之契好矣誰知再昨秋此日之拜遽作千古之訣當此再週耶痛哭哭伊時握手講先之德音至今在耳以爲一生矜佩之表而雖欲更究環顧有誰俯仰長歎而已仰詢履兹孝體連棣支將覃節竝不受損於哀疚之餘耶溯仰區區不任無益之貢慮鍾宇業擬際此躬進哭慰常平向慕之私而顧此無似之物旣暴於儕友荐且被佗二豎之所憎適以外憾委頓未得遂素於情於禮自顧罪縮萬萬倘此矜恕諒否洋燭二匣忘略情呈燃此以照此生耿耿之誠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弦窩 向進門下穩承半嚮之誨而歸迄用銘感伏不審歲窮攝養氣體力衛道益康區區伏溯不任之誠侍下生命途淺薄日事做去只增外誚之碌碌而際此歲除孤露百憾叵耐如新矣就伏悚紫荊詩序今朝奉拜致送于元圭甫伏料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元圭 歲換新舊吾儕阻悵非他常品仰問新元兄體衞若仁庇均休區區勞祝就尊先詩次不量自分之妄率敢兹追步此不過雷門布鼓豈可免傍看之噴飯也然而吾兄追慕之地不可以不文固辭故幷小序以呈覽卽斤正不穢於敬止之淸帖拱俟俟弟孤露餘憾歲新益新而日事之碌碌難以枚提於相眷之地耳弦窩先生紫荊序同封以呈覽存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世態【同上】 金富賤愚皆貴骨家貧聰慧是愚身簞瓢安樂歸何處園竹靑靑隱有人【元性號竹園故云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赤壁望美亭【壬戌七月旣望二首】 壬戌秋回赤壁天子瞻安在但山川詩篇古塔餘風月舟棹空汀捲水烟多士相酬年借暇有亭望美日高懸世情人事何須問到此吾生摠是仙福州特地別開天削立靑山俯細川佳節來賓環四海斜陽層壁紫生烟雄圖一世人安在詩債千秋月復懸造物無窮多管領主人淸福不言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和無染亭遊賞韻 詠歸春服賀新成覓勝探奇不任淸活畫屛開山水面爽琴風轉澗松聲百年往跡浮雲白一世仙遊此地明恨未躡塵同作賞奉詩晩曉感吾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掃墳故鄕【同】 松峴長峯鎖暮煙一天元氣此中連雄鎭錦南佳麗地勝湖榮北吉明阡陰澤留存山水彩精靈宛在栢杉痕四時省掃非無願落落京鄕情可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挽舍弟【同】 嗟君厭世化登仙天不諶斯鬼豈然埋玉吉阡殘掛月歸魂斜日暮沈烟雙親生在情尤惻二孝趨庭祿後綿溫雅儀容何處更仰歎俯泣不勝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追悼六臣【同此篇七言長詩篇當可記】 松筠貞操凌霜雪況豈畏諸鐵火熱紫震威分催謝過赤血?腔無遁說英陵靈魂今安在受命彼徒方衛闕睨觀殿上胸肝消無諱無嚴言烈烈國敗君亡不須論忘身爲救倫常絶殷三東六誰後先無二一心亦同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大祥后所感【同】 喪禮三年不備修奄當今日歎虛浮象生永撤情尤感霣廓如新淚不收衰絰更將何處用功恩未報有身羞此生孤露亦存命愴慕晨昏罔極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荷隱亭韻 此亭景致最宜秋萬朶荷花一水頭可愛淸香來小砌且看淨植向芳洲雪晴梅谷春應早月滿梧山夜轉幽肖子賢孫能繼述千年自有後功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