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통지서(通知書)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海南公立中學校期成會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4월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에게 발급한 통지서(通知書) 400원을 7월까지 납입하라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지출 내역서(支出內譯書) 1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지출내역서(支出內譯書) 장소와 사용처의 지출 액수를 적어놓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지출 내역서(支出內譯書) 2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지출내역서(支出內譯書) 54,000환에 대한 항목별 지출 내역을 기재한 내용 수금(收金), 거금(去金), 잔금(殘金) 등을 기재해 놓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주부공제답(主簿公祭畓) 경작료(耕作料)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丁龍植 丁占洙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丁龍植이 丁占洙에게 主簿公祭畓 耕作料를 받고 작성한 領收證. 主簿公祭畓 耕作料 252,000원 중에 224,000원을 영수하고 미수금 28,000원은 苗板 返濟할 때에 거래함 *고문서 ID 20 主簿財産經理臺帳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3년 최익민(崔益玟) 등 상서(上書)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崔益玟 禮曹 禮曹<着押> 禮曹之印 5顆(8.0×8.0)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고종 10) 4월에 최익민(崔益玟) 등이 예조에 올린 상서(上書) 1873년(고종 10) 4월에 최익민(崔益玟) 등이 예조에 올린 상서(上書)이다. 주요 내용은 같은 고을에 사는 고(故) 사인(士人) 허관(許寬)과 부인 광산김씨의 지극한 효성을 헤아려 주셔서 정려를 내려달라는 것이다. 상서에 대해 예조에서는 효행이 이처럼 탁이(卓異)하니 흠탄함을 더욱 이기지 못하겠으나, 포양(褒揚)의 은전을 내려달라고 국왕에게 계문(啓聞)하는 일은 사체가 중대하므로 공의가 더욱 모이길 기다리라는 처결을 내렸다. 예조의 처결은 4월 24일에 내려졌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儒生 幼學崔益玖·梁時模·曺益承·柳泰恒等 謹齋沐上書于大宗伯閤下 伏以夫孝者 百行之源 三綱之首也 苟有其人 則其在士林之道 豈不薦達乎 本道光州士人許 寬 論其世德 則文敬公諱 珙之十四代孫 大提學諱 富之十二代孫 進士公 淐之曾孫也 以簪纓古家 資稟至孝 家貧親老 菽水難繼 山而樵焉 水而漁焉 甘旨之供 以養志爲先務 晟昏定省之節 以禮法爲勤務 孰不欽仰 孰不歎服乎 其父親 以老病 命在幾絶 割股斷指 飼之而迴甦數日 天命奈何 奄及屬纊後 哀毁之狀 擗踊之痛 見者感 聞者感 送終之節 亮遵古禮 㞐廬三年 擧楸痛哭 至樹爲之枯 每有夜虎來到身傍 有若護衛 而少無畏忌 如是至於三年 此出天感物之孝也 嗟哉 許 寬 豈非美且大哉 況復其妻光山金氏 克遵其夫之孝行 傭以供父母也 甘旨之供 無不適志 至於送終之境 哀毁之狀 擗踊之痛 罔有紀極 其夫居廬之時 雖祈寒盛暑 日必一往 終始不怠 此實自古罕有之行家也 其在士林之公議 未可以含嘿在之 猥敢仰籲 伏願閤下 特爲聞達天陛 俾蒙旌褒之地 千萬伏望大宗伯 閤下 藻鑑癸酉四月 日 全羅道儒生 全州幼學李祉春 吳永佑 光州幼學柳赫保 鄭彦鐘 南原幼學房煥忠 吳泰和 金永三 進士李廷老 進士崔禹禎 進士尹秉玉 務安幼學金仁壽 安鎭宅 井邑幼學柳仁希 郭致文 萬頃幼學崔學三 進士辛裕章 咸平幼學金聖三 李保赫 同福幼學河之源 林德基 梁時模 羅州幼學朴應圭 高敝幼學金五成 朴聖浩 昌平幼學吳龍圭 長城幼學金柄休 柳亨源 金壽千 金相大 和順幼學崔秉斗 曺承賢 綾州幼學梁鎬 李文楫 玉果幼學許錫 羅機成 長興幼學金時錫 安洪基 泰仁幼學朴權鎭 柳亨泰 任實幼學李宗根 臨陂幼學崔宗訓 珍山幼學鄭濟黙 扶安幼學金圭爀 進士李謙述 南平幼學徐致敬 興德幼學李容文 沈景浩 寶城幼學安致秉 廉德浩 錦山幼學高舜錫 金洪基 沃溝幼學李龍達 咸悅幼學崔顯柱 龍安幼學柳致權 古阜幼學沈獜之 朴寅陽 等禮曹[着押][禮曹之印](題辭)孝行若是卓異 益不勝欽歎褒揚之典啓聞 事體重大愈俟公議向事卄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9년 이현익(李鉉翊)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鉉翊 光州牧使 行使<着押> 光州牧使之印 3顆(7.5×7.5) 광주 진양하씨 사직공파 표산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9년 3월 2일 고시달 등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 1809년(순조 9) 3월 2일 광주향교 유생 고시달 등이 광주목에 올린 상서이다. 광주 거점면(巨岾面)에 사는 하성채(河聖采)와 하달채(河達采) 형제, 그리고 그들의 부인의 특별한 효행을 기리며 정려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광주목사는 6일 내린 처결에 식년(式年)마다 정려자의 이름을 뽑아 보고할 때 다시 그 사실을 채탐(採探)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東面上庚午九月 日社倉捄弊節目[興陽縣監之印]2)同治九年九月日 社倉捄弊節目右爲節目成給事 各面社倉 謂以所費分排面民者厥數太多 其弊不少是如 至於及聞 故各倉所費之面排者 使之報來 則其所爲費 豊㑫有異 多寡不同 揔以言之 則可謂濫觴而無節也 此或是社首之稧酒生面 亦不過庫子之烹鼎染指則事在刱行 費至此多 弊到末流 害將焉歸 合有節省矯捄之道 而營邑食費 言之其行也 只是一僮一馬 而或爲一時療飢 或爲一宿供饋 多至三四兩云者 是豈成說 營邑供饋也 庫祭所入也 有不可廢者 而外他冗費3)當在 勿論之科是矣 供饋與庫祭 不得不施則當有上下之道 而各面所在 繡衣道捄弊錢 名曰捄弊 歸屬無外 果爲有名無實也此錢名之曰社倉捄弊錢 殖利取用 似合便宜 故下帖鄕中 旁詢儒鄕 則會議曰可 聯稟願施乙仍于 營邑供饋與開倉 庫祭所入 從略酌定而今秋依前面排是遣 捄弊錢段置 秋等利合作本錢 自明年爲始 取利上下 而自邑內至南面七面 以二十兩爲本 自南陽至大西三面 以十六兩九戔四分爲本 大江東面兩面合所之 故合以二十兩爲本 而邑內古邑浦頭占岩四面 今秋等利條 特爲收合而給於各面 作本之不足處後 上下之節 件件臚列 成出節目 一件官上 一件各其面上爲去乎 永久遵行 宜當者座首 宋[着名]一別監 丁[着名]二別監 林[着名]戶長 朴承煥[着名]吏房 申承模[着名]承發 李鎭奭[着名]官[着押][興陽縣監之印]4)後一 監色食債一戔 下人食債八分酌定 酒草與草鞋等物 一切勿施是矣 下人輩 若或有討索之弊者則社首隨則馳報 以爲別般嚴處是齊一 庫舍盖草段 輪排各洞是遣 倉基結卜段 不得不自面中措處是齊一 捄弊錢則公貨也 有司以饒實者擇定 而若或有無亾難捧者 則報官捧出是齊一 有司姓名錢數 開錄於後 有司改遞 則以新有司付標是齊宋義吉錢四兩七戔三分鄭在衡錢四兩二戔五分合錢八兩九戔八分[興陽縣監之印]辛未十月日 社倉捄弊錢件記鄭在衡錢四兩六戔 辛未秋等利錢一兩三戔八分 當高明春錢三兩三戔 辛未秋等利錢九錢九分 當金仁賛錢 一兩 辛未秋等利錢三戔 當5)辛未十月日 社倉捄弊錢件記鄭在亨 庚午秋等本錢五兩六戔一分利錢八戔四分辛未春等本錢 合錢六兩四戔五分利錢九戔七分秋等本錢 合錢七兩四戔二分利錢一兩一戔三分高明春 庚午秋等本錢三兩三戔利錢五戔辛未春等本錢利 合錢三兩八戔利錢五戔七分秋等本錢 合錢四兩三戔七分利錢六戔五分6)辛未二月日 査徵錢置付鄭在衡 所捧八兩七戔高明春 所捧十三兩八戔俠主人 所捧六兩七戔五分已上 合錢二十九兩二戔五分內錢十九兩九戔九分 上納想除錢三兩三戔 高明春用錢三戔五分 俠主人捧去內 二戔八分 坪中剩餘 除不云條七分 與庚午九月日 仍本條八兩九戔一分 合八兩九戔八分鄭在衡當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道內儒生 幼學李志亨等 謹齋沐再拜上書于繡衣閤下 伏以褒旌行誼 朝家之晠典也 闡揚幽隱 閤下之美事也 今夫蓽門之下·圭竇之中 或 有異凡之姿·卓爾之行 而同腐草木 則豈非可惜乎 光州居河聖采·河達采兄弟 眞是閥閱土族 而亦其儒雅士人也 自在齠齕 奉養偏母 克盡誠敬 及其娶婦入門之後 事姑之道 以小學爲規 執範奉養之節 定省之方 靡不用極 而娣姒之間 相愛之誼 無異於親兄弟 晝以賃織 夜以傭杵 繼其朝夕菽水 若非誠孝之出天 豈能如是乎 去丁巳年 其姑遘疾 將至殞絶 而聖采之妻南氏 斷指灌口 僅得回甦 旋復割股 爛搗和羹乃瘳疾 隣里聞而奇之 欲爲褒薦 則諱以拒之 去戊辰年 達采以癘疾 幾至難救 其妻金氏 連斫左右指而注之 又割左右股而食之 幾絶之命 乃復得生 如此誠孝毅烈 爲人子之所難能 烈丈夫所難判 而南金兩婦 能於難能 判於難判 其秉彛純剛之氣古罕聞 今始見矣 就以居家之行言之娣姒之爲兄弟 以義合者也 各契異居 常情之所願 而聖采之妻與嫂 則別立家垈 使之各産 終不出居 謂以各居安業 不如同處養親 此雖微細之一事 而足可見孝源之推於百行者也 友愛之根於天賦者也 一孝一烈之各判於異姓者 鄕里之所矜式 刺使之所可褒薦 孝烈之並華於一門 而未蒙褒揚之典 則不勝公議之仰鬱 齊聲仰籲 伏願閤下 採實轉報 期於旌閭 以爲獎節樹風之地 無任祈懇之至繡衣閤下 處分癸酉二月二十七日道內儒生 幼學 李志亨 羅州幼學吳徽源 朴震鉉 羅弼勳 柳星七 李羲文 崔益泰 林相愼 光州幼學奇商浚 朴聖演 李鉉翼 柳在江 李相根 高時俊 金宗欽 尹級 鄭周默 申星權 李儒眞 閔震煥 宋▣▣ ▣▣幼學尹振殷 崔光近 任相信 長城幼學李陽潤 金壽煥 邊得灝 古阜幼學羅世仁 朴義粹 李碩柱 金洪 昌平幼學柳震喆 梁錫圭 金載良 靈光幼學宋義淳 李永玉 姜在濂 金世華 和順幼學 柳台錫 曺景瑞 崔時行 咸平幼學鄭達明 安在魯 李儒德 綾州幼學文喜明 梁日鉉 李大馨 扶安幼學金錫運 朴仁壽 康津幼學金世懋 朴纘孝 潭陽幼學李錫訥 南碩輔 井邑幼學柳晋源 任允常 申浣 等暗行御史[着押][馬牌](題辭)兄弟卓行聞極嘉尙 原本謄去 當量處向事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사년 광주목(光州牧) 수행록(隨行錄)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光州牧 使<着押>, 都有司 柳<착명>, 別有司 金<着名>, 金<着名>, 李<着名>, 柳<着名>, 柳<着名>, 朴<着名>, 高<着名>, 朴<着名>, 李<着名>, 掌議 崔<着名>, 色掌 朴<着名>, 金<着名> 光州牧使之印(7.5×7.5) 광주 광주향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538_001 정사년 5월 초8일에 광주목(光州牧)에서 작성한 수행록(隨行錄) 광주목(光州牧)에 소속된 광주 광주향교(光州鄕校) 유생(儒生) 명단을 수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오년 문중(門中) 계안(稧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고흥 압해정씨 군수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오년 10월부터 정미년 9월까지 門中에서 작성한 稧案. 所出錢秩, 講信을 거행할 때 伐木錢·所出錢·流來錢·實在租·利錢·柚子價·草柹價·乾柹價, 정해년·갑신년 秋收記 등을 기록함 *총 81장이 가철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허순(許㶷)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光州牧使 許㶷 光州牧使之印(7.0×7.0)周俠改印(18.0x5.5)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2년에 허순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 1882년(고종 19)에 허순이 광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호주 허순의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을묘생(1855)이다. 호주의 이름과 생년·본관을 적은 뒤 사조(四祖)와 가족의 정보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허익선(許益先)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肅宗 許益先 □…□(9.0×9.0)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허익선(許益先)이 무과에 급제했다는 내용의 홍패(紅牌) 유학 허익선(許益先)이 무과 병과 제9344인으로 급제했다는 내용의 홍패(紅牌)이다. 문서 발급일은 강희 15년(1676) 3월 21일이라고 적혀 있다. 이 문서의 연호 위에는 나무로 깎아 만든듯한 시명지보(施命之寶)가 날인되어 있는데, 인장의 모양이 당대 통용된 시명지보와 차이가 있다. 여기 덧붙여 조선 후기 홍패에는 과거지보(科擧之寶)를 날인하는 것이 규정이었다. 이렇듯 이 문서는 당대 제도에 부합하지 않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幼學許益先 武科丙科第九千三百四十四人及第出身者康熙十五年三月二十一日[施命之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