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69년 허빈(許彬)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考巖書院 許彬 考巖書院 2顆(7.0×5.0) 광주 양천허씨 허수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9년 8월에 고암서원에서 허빈에게 발급한 망기 1869년(고종 6) 8월에 고암서원(考巖書院)에서 강수재(講修齋)의 도내 색장(道內色掌)으로 허빈(許彬)을 천거하며 발급한 망기(望記)이다. 허빈 외에도 이태신(李兊信)과 류인엽(柳印燁)이 후보자의 명단에 있었으나 허빈이 천거되었다. 이 문서에는 허빈의 이름 아래'爲'라는 글자를 적고 고암서원의 인장을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역사기록(歷史記錄) 4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歷史記錄. *상태: 결락이 심해 내용 파악이 어려움 *원문: 一樹梅▣▣▣花疎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송운회(宋運會)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宋運會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 遺墨. 5언 절구시 *원문: 白日依山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송운회(宋運會)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宋運會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宋運會 遺墨. 5언 절구시 *원문: 自愛新梅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은차부하구(隱此復何求)'라고 쓴 遺墨.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 잡영시(雜詠詩) '은구재시(隱求齋詩)' 구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서(書) 고문서-기타-서화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은차부하구(隱此復何求)'라고 쓴 遺墨. 주자(朱子)의 무이정사(武夷精舍) 잡영시(雜詠詩) '은구재시(隱求齋詩)' 구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송(松) 시(詩)를 쓴 서예 글씨 고문서-시문류-시 □…□(3.9×3.9), □…□(원형, 지름 2.4) 보성 평산신씨 신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송(松)를 주제로 적은 7언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辛巳五月 日東面各里殖利錢節目[興陽縣監之印]2)右爲節目成給事 官於莅玆屬耳 邑弊民瘼 雖未及周察 而見今新舊大同賃費之襟斂也 前後社米 該價之洞布也 厥數殆近數萬 哀此窮民之東塗西抹 艱年措辦之狀 始在目伻 而3)其所接濟之方 反復思惟 竟沒良策 則誠切悶畓矣 今以査徵 則第歇捄弊 便同滄海一粟無異 洪炉点雪 而遂理均排 存本殖利 則庶可爲補不足之資乙仍于 査徵錢一百五十兩 磨鍊於本邑十二面二百三十洞 則每洞錢爲五兩 故各之以殖利 使之存本取利 以補洞弊之意 著成節目十三件 一件邑上 十二件出給各面爲去乎 依此永久遵行 宜當者4)辛巳五月 日座首 宋[着名]一別監 金[着名]二別監 趙[着名]戶長 李鎭祿[着名]吏房 朴容德[着名]承發 丁斗昊[着名]官[着押][興陽縣監之印]後獐洞五兩 觀德五兩長橋五兩 梧樹五兩瓮岩五兩 月岳五兩細谷五兩 內垈五兩上內五兩 竹林五兩下松五兩 中松五兩上松五兩 瓮店五兩宅村五兩 新村五兩5)修洞五兩 梅谷五兩合錢玖拾兩[興陽縣監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3년 흥양현(興陽縣) 대강면(大江面) 부세이정절목(賦稅釐整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暗行御史 興陽縣 暗行御史[押] 二馬牌 22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3년 정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 대강면에 발급한 부세이정절목 1883년(고종 20) 정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興陽縣) 대강면(大江面)에 발급한 부세이정절목(賦稅釐整節目)이다. 주요 내용은 고을 백성들의 과도한 부세를 혁파한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大江興陽▣▣▣(縣賦稅)厘正節目2)光緖九年正月 日 興陽縣賦稅厘正節目爲永久遵行事 嗚呼 民惟邦本 食惟民天 民一日不食則飢 邦一日無民則危 民與食關係之重大 天下莫京凡百有位 孰不顧畏保護 而世?俗末 吏奸滋長 舞弄聚斂 年增歲加 遂至於民天日窮 邦本不固 此豈凡百有位之所欲爲哉 或爲猾胥之所蔽 或爲舊例之襲謬 駸駸然至此極矣 究其源委3)寧不寒心 惟此湖南一省 本以膏腴之地 一經丙丁之歉 田土陳廢 穀食艱乏 重之結蔽 層生聚斂無節惟正賦稅之外 徭役寔繁 徵索多岐 在樂歲已無以安身 況歉年其何以糊口 窮蔀景狀 滿月遑汲 惟我聖上特聄民情 去冗汰濫 罷無名之結斂 停虛簿之糶糴 分遣直指 察隱革弊 顧此淺劣 不足以對揚明命 宣布德化 早夜憧憧 不遑寧處 謹將邇來新添與謬例 而可革者革之 可厘者厘之 一結兩稅之外 皆從代錢 而恒定其價 並與所減數爻 開錄于左 另成節目以送 遵玆施行 則庶幾民生 可無遑汲離散之弊 惟願凡百有位 仰體聖上恤民之深憂 統諒微臣爲國之苦心 劃一遵守永久勿替 宜當者4)暗行御史[着押][二馬牌]後一 賦稅 砲粮需米外 毋得以米排結是齊一 一結所徵錢米 計板列錄于後 官民間依此徵納更無携貳之弊是齊一 進上添價與京營邸吏役邑雜役米之兩稅中磨鍊者 一幷査拔 以付錢邊 計其石數 而每石九兩式 酌定排斂是矣 歉年則穀價翔高 民食惟艱原定九兩外 雖分錢 切勿加排 豊年則穀價低下未滿九兩矣 若以九兩 一例捧上 則有違時價 大關民情 必 從本邑時價六七兩間 參互排斂 以爲萬一分安民之方是齊一 結捴則必從當年收租捴 而逐年賦稅出秩 雜役磨鍊時 先擧時起結 每結出米幾許出錢幾許是如 告示各面 俾民洞知是齊一 漕倉各邑之馬夫色掌 米數雖些略 此是新剏自今以後 永永勿施是齊一 自上納邑之新添價 以錢以米 一幷還? 各自該邑 依 朝令 必以賃船裝載 趁限上納是齊一 各邑節目 一統修成冊 藏置于巡營 以憑後考是齊一 稱以不恒上下料外結斂之弊 自巡營別般嚴6)束 期圖防奸 俾省民力是齊一 邑置節目 爲先厘正以送 而各面良中 各成一件 反貼出給是齊[二馬牌]每一結所出田稅元納米┐三手元納米┘ 陸斗陸升雜費米壹斗伍升貳合玖夕邑役米伍合伍夕 錢行去新添錢貳戔貳分 永減砲粮元納米壹斗7)雜費米陸升伍合柒夕貳里 壹升伍合柒夕貳里減 實伍升新添戔參分參里 永減稅太元納太貳斗貳升玖合陸夕壹里雜費太伍升參合貳夕貳里邑役太壹合玖夕添給米貳升貳合玖夕陸里 戊午爲始新添錢柒分柒里永減大同元納米拾貳斗雜費米壹斗參升肆合捌里浮費米壹斗肆升柒合貳夕貳里 壹升柒合貳夕貳里 減 實壹斗參升邑役米肆升 錢行去新添錢捌戔 永減結作元納米玖升雜費米貳升肆合壹夕 永減8)雜役米貳斗陸升柒合參夕玖里 錢行去雜卜添給米五升參拾陸夕捌里 己未爲始 參合陸夕捌里 減 實五升結錢貳戔壹分結排戔參戔合米貳拾玖斗陸升參合肆夕捌里內陸升柒夕貳里 減參斗壹升貳合捌夕玖里 錢行去實米貳拾五斗捌升玖合捌夕柒里太貳斗捌升肆合柒夕參里錢壹兩陸戔肆分內壹兩壹戔參分 減實五戔壹分又壹兩捌戔柒分柒里肆毫 邑雜役米價來 每斗陸戔式定價合錢貳兩參戔捌分柒里肆毫[二馬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73년 한은석 접수증(接受證)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원형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3년 5월 29일 한은석의 산주 등록 신고 접수증(接受證) 영광군 법성면 신장리 98지번 소재 산지를 신고하는 내용 영광군 군서면 송림리 595-4번지에 사는 한은석이 접수함 소유자: 한영석, 관리자: 한은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