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東面乙亥四月 日雇馬廳補雇錢節目[興陽縣監之印]2)乙亥四月日 民庫別下及陞戶資粮箭竹等捄弊節目右爲節目成給事 本邑三面環海 土甚瘠薄 自古被旱 寂民生至艱 是以三政俱弊 一境咸困 卽湖南之貧鄕也 纔經己庚之慘歉 又此甲乙之大無弊者益弊困者僉困 不侫之蒞玆邑 承於己庚之後 仍當甲乙之歲 三年設賑 旣不能救命之坐刘 徒窃千鐘之厚祿 中心愧恧 繼3)以憂懼 第念三政之弊 百里困 非一朝一夕之故 則非不才者 所可擬議 而此邑民庫 結役出半 規補雇殖錢之例 非不美矣 夫何策應之浩繁 輒致不足之徵結 陞戶資粮 旣無生財之預備 則臨時斂民 未免富戶之咨嗟 而哀彼砲保軍之扶助 尤是不忍處也 至若三島免稅之地 汶篁萬叢刈取有節 禁養成規 數百浮厥 貢何患不足 而天之生物有限 人之取之無節而 況 營邑勢不相侔乎 地方禁養之力不能制 營人刈食無節 竟致三島之童濯 防價而徵結 從而結役無限節 然則弊且困者 將何以着乎 救濟乎 是以昨年結錢六百兩之停留 民夫者幷付 錢在之各里 先防箭竹之弊 又出千金 今秋爲始 放債取息以減結役之別斂 陞戶之年分 移用於資粮 以祛富戶之勒徵 砲保之橫斂 厥數合千六百也 大抵立規 必先慮後 法久弊生債法爲寂 試以本邑補雇錢觀之 結債4)則公私俱利 有司之句管 不無害及於鄰族 盖結債 旣屬众力生弊 無多民錢 數人分掌 病由尾大 今若結債 則債錢有數不可添 分有司句管 鑑在前轍 於是詢于吏鄕 謀于面里 不用有司句管之規 爰作里稧之法 右錢一千六百兩 分給於各面各里 以爲存本食利是遣 十三面等處段置 姑待年豊 幷其孶長 收聚作錢 以添元錢爲旀今此別備 非敢曰三政之捄弊 而結徵軍斂 庶爲一分之減 豈不幸耶 旣爲里稧 則利於里之道 不可不念 斂散規 幷以開錄于後依此施行 宜當者座首 丁[着名]行官[着押][興陽縣監之印]後 箭竹秩一 長去停留結錢六百兩 自八月爲始 各里有司收聚於該里戶首處 仍爲分債 而每兩每朔利錢 定以三分例 一年利條 當5)爲一百八十兩 以此握當箭竹防價爲齊一 每年講信 以臘月初五日恒定爲去乎講信翌日 該里有司 同利錢 勿爲管由面任 直爲奉納雇廳爲乎矣 若或愆期則雇色告官 發牌嚴治 督捧爲齊一 今此六百兩錢 自乙亥八月以臘月至 其間四朔利條 乃爲七十二兩 必趁今講信後收捧 只以七十二兩 握當防價 不足條一百八兩 依前以民庫別下樣上下 明年爲始 如式遵行爲齊補雇錢秩一 一千兩錢 自乙亥八月爲始 殖以每朔三分邊爲齊一 每年講信 秋則八月十一日 春則二月十一日 恒定爲去乎 講信翌日 各里有司 同利錢 直納雇廳爲乎矣 如或愆期 則雇色告官發牌嚴治 督捧爲齊一 今此利錢 秋春講信後 每次一百五十兩式 隨節收捧 以爲補用於別下錢 而如有6)別下之分排民間者 則以三百兩 某等內補雇錢利條除之 在幾許排錄之意措辭傳令爲旀 陞戶砲手上京時 以一年利條三百兩 由數劃給於資粮而同利條未及收捧是去等 以他公錢推移劃給 趁期置〖馳〗報爲齊一 十三面農牛 待年豊 幷孶犢斥賣 以保添 補 雇錢是去乃 從他捄弊是去乃臨時裁處爲齊兩稧通同規模一 各里有司 擇其有風力可信頭頭人差定 作爲里稧 而有司如或不善分給則該有司卽爲責納 毋或推諉爲齊一 都監色座首雇色句管而節目 一留庫廳 一留各面 以爲永久遵行爲齊一 第聞灵岩淸源稧 以一千兩 兩年殖利 優買田土 一邑經役 毋巨細 幷爲責當民蒙實惠云 此豈犻專美於灵7)岩乎 今此利錢 官定十三例 倂自里中 更十四五例 □其一二 從便生殖 以補里中經役 則亦可謂兩得 不悖量宜爲之爲齊一 本錢八十三兩二戔三分內三十兩六戔三分 元補雇錢 ┐二十一兩四分 別下 │幷移施三十一兩五戔六分 補雇錢利條 ┘[興陽縣監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大江面興陽縣還費錢節目[二馬牌]2)光緖十年十二月日 興陽縣還費錢節目右爲節目成給事 本邑還費錢名目 不一互相加減 而按簿査櫛 不無濫觴之弊乙仍于 所謂應下公貨 每石三兩 邑雜費 每石五兩二戔式酌定 則以3)一萬兩 可以排用 而同錢一萬兩 磨鍊於本邑 實民結五百四十夫七結七十九負九束 則每夫所納錢爲十八兩四戔九分是如乎 明年爲始 依此排結 以爲定式之意 著成節目 一件道上 一件邑上 十二件分上各面爲去乎 永久遵行 宜當者査徵錢貳百貳拾兩 出給面任執綱 自面中存本取利 以爲捄弊次4)暗行御史[着押][二馬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4년 흥양현(興陽縣) 동면(東面) 환비전절목(還費錢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暗行御史 興陽縣 暗行御史[押] 二馬牌 8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4년 12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 동면에 발급한 환비전절목 1884년(고종 21) 12월에 암행어사가 흥양현(興陽縣) 동면(東面)에 발급한 환비전절목(還費錢節目)이다. 주요 내용은 환비(還費)의 명목으로 수취하는 금전이 지나치다면서 이러한 폐단을 혁파한다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7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海南面會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7년 6월 26일에 삼산면 창리(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302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通訓大夫星州判官兼星州鎭▣▣僉節制使秃用守城將丁春贈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訓鍊院都正▣(者)同治二年六月 日忠節卓異 贈職事承傳[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6월 8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4□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9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李時同 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에 7월 18일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6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3년 정춘(丁春)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哲宗 丁春 施命之寶(10.0×10.0)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3년 6월에 정춘을 가선대부·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훈련원 도정으로 추증한 문서 1863년(철종14) 6월에 철종(哲宗)이 정춘(丁春)을 가선대부·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훈련원 도정으로 추증하면서 내려준 문서이다. 정춘의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사화(士華), 호는 송암(松巖), 시호는 충의(忠義)이다. 전남 여수에서 출생하였다. 1588년(선조 21)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종형 정철(丁哲, ?~1595), 종질 정대수(丁大水)와 함께 이순신 장군 막하에서 유격장으로 활약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1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占을 보고 나온 결과를 기록한 문복록(問卜錄) 신해(辛亥), 경자(庚子) 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4년 고흥우편국(高興郵便局) 안내장(案內狀) 7 고문서-첩관통보류-근현대문서 高興郵便局所集配人 朴采柱 印 1顆(원형, 적색)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075_001 1934년에 高興郵便局所 集配人이 朴采柱에게 우편물이 왔음을 알리는 안내장. 우편물은 '取調不明'의 사유로 가지고 간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1년 전남수(田南秀) 부고장(訃告狀)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田南秀 朴炯得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에 護喪 田南秀가 朴炯得에게 보낸 부고장. 朴蘭秀의 부친 鶴皐公이 병으로 1939년 1월 8일에 별세하였음을 전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역사기록(歷史記錄) 3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祝文 초본 등이 기록된 歷史記錄. 앞면에는 축문 등이 적혀 있고, 뒷면에는 연필로 인명 등이 적힘. *원문: 維年月日干支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