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97년 정조(正祖) 윤음(綸音) 고문서-교령류-윤음 正祖 丁好南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7년 1월 정조가 내린 윤음의 탁본첩 1797년(정조 21) 1월 정조(正祖)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回甲)을 맞이하여 풍속 교화를 위해 반포(頒布)한 윤음(綸音)의 탁본첩이다. 이 책의 말미에 '辛未(1931)十二月日五世孫蘭秀着墨'라고 기재된 것을 통해 정호남(丁好男)이 윤음의 내용을 직접쓰고 목판에 새긴 자료를 3대손 난수(蘭秀)가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守門將丁好南惟我英宗大王帝尭後帝尭也帝尭卽位於甲辰英宗大王御極於甲辰五紀之盛化蘓魚醯一級 八老至之寶籌同符帝尭甲辰之年卽千一作聖之會也當甲辰重回東宮冊禮適在英宗大王御極之月臣民忭實倍常秊尭明舜哲四字尊號猶未能模晝日月光華加上甲辰七月日上尊號甲辰五月初六日[奉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4년 정호남(丁好南) 은사문(恩賜文) 2 고문서-교령류-은사문 正祖 丁好南 1개(적색, 정방형, 7.7×7.7)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4년 5월 6일에 정조가 정호남에게 밴댕이를 하사하며 발급해준 은사문 1784년(정조 8) 5월 6일에 정조(正祖)가 정호남(丁好南)에게 밴댕이[蘇魚] 1급(級)을 하사하며 발급해준 문서이다. 하단의 글은 영조의 존호(尊號) 가상(加上)을 기념하여 쓴 글로 은사장을 하사한 사유가 기재되어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守門將丁好南蘓魚醯二級賜給甲辰三月初六日[奉使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4년 정호남(丁好南) 은사문(恩賜文) 1 고문서-교령류-은사문 正祖 丁好南 1개(적색, 정방형, 7.7×7.7)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4년 3월 초6일에 정조가 정호남에게 밴댕이젓을 하사하며 발급해준 은사문 1784년 3월 초6일에 정조(正祖)가 정호남(丁好南)에게 밴댕이젓[蘇魚鹽] 2급(二級)을 하사하면서 발급해 준 문서이다. 본 문서에서는 정조가 어떤 연유로 밴댕이젓을 하사하였는지는 기재되어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釋奠祭獻官差定者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下幼學丁氣和準此丁巳八月 日差定帖行縣監[着押][茂長縣監之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