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5년 정인화(丁仁和)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75 丁仁和 靈光郡守 行官<着押>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2_01_A00028_001 1875년 3월에 정인화가 영광군수에게 올린 소지 1875년(고종 12) 3월에 정인화가 영광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정인화가 전년도에 이어 조부(祖父) 전행장단부사공(前行長湍府使公)의 묘직(墓直)의 역(役)을 면제해 달라고 거듭 요청하는 내용이다. 이에 관에서는 초4일 면임(面任)과 창적색(倉籍色)에게 '전례를 살펴 면제해 주라'고 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滯雨古今島 細雨江干滯暮春。胡然來此寂寞濱。天公不赥遨遊罪。絶島翻爲謫罰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戱呈河南兩兄 淵兄怪底心多疑。道友何曾腹有詩。九十春光無斧鑿。鳥啼花笑任天機。鰲山故舊總騎箕。獨享康寧也自奇。晩節重逢聯壁慶。君家福祿若天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 彈丸黑子半華夷。天意茫然未易知。漆室憂端齊北斗。河淸消息報何時。裘索狂歌榮季樂。春秋善戰卜商肥。若言理義如蒭豢。又恐當年太露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成 壤室深深閉竹門。脽尻帖席過冬溫。老人善養伊誰德。賴有山廚小一元。山下茅廬向北門。墨坊從古是寒村。今冬不聞波沱響。摠是玄冥布德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修仁山城【此山無水故末句及之】 金陵大創修仁城。遠近呼邪動地聲。陰雨南州何不可。飛泉未出奈軍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日對菊 弱幹依依通夜霜。寒花艶艶曬朝陽。須臾淡泊眞容出。恰似佳人洗舊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吟 當年鑽古百家書。自信文章念在玆。四子心法開來學。閒談只作覓騎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苦旱 一雨無痕四五旬。四郊翹首仰蒼旻。安將銀漢數千斛。揮灑東方渴涸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生辰吟 白日虛過弧矢志。蒼天罔極蓼莪心。頹齡點檢平生事。悔吝如山罪罰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月晦日 人生足別本無巡。此日情懷此路遵。投轄維駒猶可得。鳥啼花落奈斯春。誰將白日駐逡巡。今世無人此法遵。若對良朋消鄙吝。四時無日不三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朝 兩鬂蕭條八十年。桑弧志業落先天。聖人所疾歸何處。沒世無稱眞可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佛甲化民丁仁和右謹言情由事 民之祖父前行長湍府使公墓直減役 已久是加尼 數年以來 未得蒙頉是如乎 玆敢前狀帖連仰訴爲去乎洞燭敎是後 依已例頉給 千萬望良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甲戌三月 日官[着押][靈光郡守之印](題辭)當探處向事 卄八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4년 정인화(丁仁和)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74 丁仁和 靈光郡守 行官<着押>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2_01_A00028_001 1874년 3월에 정인화가 영광군수에게 올린 소지 1874년(고종 11) 3월에 정인화가 영광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정인화가 조부(祖父) 전행장단부사공(前行長湍府使公)의 묘직(墓直)의 역(役)을 면제해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이다. 이에 관에서는 28일에 '마땅히 찾아서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佛甲化民丁彝鉉右謹言情由事 民之曾祖前行長湍府使單墓直減役 已久是加尼 今年査還時 無端減削是如 今則復立 皆已許施云 不可以先後進退之 伏乞城主 特爲依例許施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甲寅七月 日官[着押][靈光郡守之印](題辭)頉下向事十四日倉籍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4년 정이현(丁彝鉉)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1854 丁彛鉉 靈光郡守 行官<着押>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2_01_A00028_001 1854년 정이현이 영광군수에게 올린 소지 1854년(철종 5) 7월에 불갑(佛甲)에 사는 화민(化民) 정이현(丁彛鉉)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소지이다. 본 문서는 1854년 사환(査還)할 때 덜어냈던 증조부(曾祖父) 전 행 장단부사공(前行長湍府使公) 단묘직(單墓直)의 감역(減役)을 요청한 내용이다. 이에 대해 14일에 창적색(倉籍色)에게 면제해주라고 지시하였다. 우측 하단에는 '佛甲瓦村朴春班'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2)御製養老務農頒行小學五倫行亶鄕飮儀式鄕約條例綸音王若曰予聞之夫子觀於鄕而知王道之易易觀政在朝觀俗在野政之所及者浅俗之所得者深故善乎觀人之國者必先其野而後其朝肆子膺天之嘏恭逢慈宫週甲期與八方臣庶共其樂尊年錫類之典無所不用其極而觀於朝政無可紀觀於野俗不維新惟子一人否德不敢比先王觀也每中夜以思忘寢屢興憫近俗之難矯慨初心之多負予之所自期豈欲如斯而止乎哉人心安則逸逸則玩玩則縱而浪遂至沉酣豢養於積累昇平之樂而幼違蒙養之正長乏師受之益指拘撿爲迂詭視靡誕爲活計自少至老若不知天叙天秩之有典有則三杯揖讓固向矣風流之篤厚亦難乎一變而至夫愛親者不敢惡於人敬親者不敢慢於人以其廣敬而回本也故3)虞夏商周之相承富德親爵之有殊而齒則不遺者蓋年之爲貴次於事親也凡今之人不畏遺年也故其弊也爲五品之不遜經曰先王有至德要道以順天下故忠可移於君順可移於長治可移於官傅曰人人親其親長其長而天下平廣敬因本之責予方反朮之不暇而物候窮則天根露習氣盡而眞情見意者時雍日新之機迨其今乎小學一書卽學校始教之次第節目也以予寡昧尚賴先大王導迪之恩記在童習之年粗収日講之力世之子弟雖不及遍通六經或庶幾勉勉持循於做人樣子而邇來學日盆渝教日益弛此書随而束閣予爲是瞿爰命内閣之臣就訓義而攷證之且三綱二倫行實等篇爲輔治勵世之具與小學書不可偏廢釐爲一編命之曰五倫行實予又思之一日禮行風動四方惟鄉飲酒近之是禮也休老而勞農導歡而序齒明貴賤而辨隆卑正身安國之要率是以興也粵我4)世宗盛際創行養老宴三網行實之頒下亦在其時民到于今舉功親賢樂利之思而不能讓予小子其敢不修述焉然鄉約之於化民成俗亦易爲力朱夫子蓋當月朝讀約三代之制如復可具予故曰因今之民變古之俗被之以仁義示之以本實鄉約之效不差於鄉飲酒此規亦不可不講而明之機務之暇彚成鄕飮儀式鄉約條例欲其委曲周摯文質俱備偕我同胞之民油然起感肅然知序茍使是舉不歸於徒法徒言則何頑之敢梗何愚之不明乎咨爾有衆毋侮古訓毋迂予言俛焉孳孳惟茲飲玆約是講是遵其君子若生三古而秉周禮其小人若捧秉矢而游矍圃一切知菽粟可去而親親長長之不可斯須去以爲人乎何暇他求即此而民志壹世敎靖予與爾有衆共享无疆之祚以對越天地之耿光以不承祖宗之謨烈尚克時忱其永有賴觀乎朝野彬彬5)改觀則受豐福而享勳力其在斯乎其在斯乎故曰老老而民興孝又曰老吾老以及人之老値三元之嘉會祝萬壽於慈宫仰瞻 韶顏喜騰難老推而廣之休寧拳羣老羣老之休且寧顧不係於豐年之多桼多稌乎故勞農爲休老之本四日得辛則熟十日得辛則稔熟旣驗於昨歲稔可占於今年天以鍚我康功我亦勤兹田功徯志之應無可質諸嵗歲年年如昨如今以至萬斯年無斁農夫之慶人子之慶也人子之慶朝廷之慶也仍 傳曰此綸音下諭于方伯居留之臣俾各遵行仍令國子長示于諸生京兆尹頒之坊曲待印書諸本獻御亦爲宣賜京外上之二十一年正月初一日通政大夫行長湍都護府使長湍鎮兵馬僉節制使兼討捕使臣丁好南謹書辛未十二月日五世孫蘭秀 着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元朝 歲歲年年經歲歲。年年歲歲又年年。往古來今通一日。欲將此理問靑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立春 地近東維迎早春。年過七耋愧陳人。平生未體一仁字。願學東君德日新。玄冥北去梅先橋。靑帝東巡柳早朝。四海如逢干戚舞。陰崖草木花頑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