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紙)(제1장)1.拜啓. 其間侍餘尊体候萬康하시오며 渾眷이 均安하시온지 遠外仰溯區區且祝. 宗生 無事通勤, 而漸快하오니 大幸千萬耳. 就仰托事, 下光後 特히 建康에 留意하면서每日規則的生活을 繼續하도록 下念하시압.每食前二時間쯤의 工夫 卽朝飯前二時間쯤은 每日國語 讀書, 晝食(点心)前二時間쯤은 每日書取와 作文創作練習讀書. 夕飯前二時間쯤은 學校規程의 宿題에 全力하도록 하시압.夕飯後(一時間後) 十時까지는 作文受驗準備書의硏究暗誦, 國語의 意味硏究 等에 全心全力하도록 하시요.以上每日의 日課을 忠實히 實行하며는 建康도 增進할것이요. 工夫에 滋味도 增進할 것이옵니다.그리고 晝間休息時間에는 되도록 山野步行散策하야 新鮮空氣를 呼吸하도록 하시압.(제2장)2.上京時에 말심한 鑛山件에 對하야 休暇을 利用하야活動하여 보앗스면 하옵는대 如何히 進行하면 조흘지 鞭撻을 仰望합나이다.徽文側의 運動等 休暇을 利用하야 連絡하여 보겟습니다. 宋君에게도 數次付託하엿는대 漸漸安樣과 相謀하는 模樣이든군요. 此亦休中에 規定을 낼 生覺이옵니다.時勢에 맛는 運動을 計畫中이오니 安心하시압. 結果에 對하서는 後日에 上信하기로 하압고 餘不備하고 끝합나이다.昭和十四年十二月二十五日, 盧承鉉 拜上.盧軫永 氏 侍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0년 노승현(盧承鉉)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盧承鉉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880_001 1940년 2월 7일, 종생 노승현이 노진영에게 그의 자손인 지섭의 중학교 입학 문제로 보낸 서간이다. 1940년 2월 7일, 종생(宗生) 노승현(盧承鉉)이 노진영(盧軫永)에게 그의 자손인 지섭(地燮)의 중학교 입학 문제로 보낸 서간이다. 대의 안부를 간단히 물은 뒤 자신은 무사히 공부하고 지섭이도 무사히 학교를 잘 다니고 있다고 안부를 전했다. 주요 내용은 지섭이가 성남(城南), 경복(景福, 2校), 휘문(徽文), 신설할 중학교 등 네 곳의 학교에 입학수속하기로 담임선생과 약속하였고, 실제 시험을 보는 것은 형편 보아서 하는 것이 적당할 것 같다는 것, 안씨(安氏, 安秉鉉)를 만나 상의하는 일은 차질이 있어 후에 만나기로 했다는 것, 14일 경에 서울에 올라오신다고 하는데 그때 흠영(欽永) 씨의 광산 매매 건에 관한 위임장을 얻어서 올라오십사 하는 당부의 내용이다. 운동비에 대하여서는 아직 미정이라 정확히 결정된 뒤에 말씀드리겠다고 전했다. 공립(公立)의 경우 운동으로 들어가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 보인다는 것, 우선은 휘문(徽文) 중학교로 집중해서 진행해 보겠다는 등의 내용을 적었다. 규격 편지지 2장을 이용하여 국한문혼용으로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오년 곽진우(郭縉佑)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郭縉佑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오년에 곽진우(郭縉佑)가 누군가에게 안부를 묻고 약재를 쓰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전하는 내용의 간찰 무오년 7월 8일에 곽진우(郭縉佑)가 누군가에게 보낸 간찰이다. 병을 앓고 있는 중에 편지를 받고 보니 병이 낫는 듯이 반가웠다고 인사하고, 상대방의 생활은 편안하고 식구들도 잘 지내지만 자제의 병이 아직 낫지 않는다고 하니 위안과 염려가 교차한다고 하였다. 자신은 근래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으로 식음을 전폐하다시피 지내며 털고 일어날 기약이 없어 답답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무엇인지 자세히 말하지는 않았지만, 상대방이 말한 증상은 효험이 있는듯하니 지나친 염려는 하지 말라고 하였다. 자향산(紫香散)을 조제하는 가운데 청피(靑皮)가 없으니 대신 진피(陳皮)와 백개자(白芥子)를 각각 7푼씩 넣어서 써도 무방하지만 빠르게 효험을 보는 방도는 청피만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석약(石藥)은 근자에 다른 사람에게 주어서 남은 것이 많지 않지만 있는 대로 보내니 시험 삼아 복용해보는 것이 어떠하냐고 물었다. 곤담초(滚痰艸)는 정지하지 말고 석약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더 좋고, 자신이 있는 곳에 이렇게 해서 효험을 본 사람이 많다고 하였다. 석약에 대해서 어떤 사람들은 오래 복용하지 않는 약재라고 하는데 이것은 억측일 뿐이라고 하면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 가운데 병이 위중하면 약의 독도 해를 끼치지 못하므로 의심하지 말고 많이 써도 좋으니 이른바 다다익선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여러 약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전하면서 나머지 이야기는 병중이라 손이 떨려서 그만 마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아ᄅᆡ뵈온지가 발서 여러날이 되엿슴니다 그동안 問候도 살피기兼하야 다시한번 가서 뵈얼야고 하엿으나 애러가지 事情에 ᄯᅡ라서 마음되로 못하엿사오니 넓이 諒恕하심을 비나이다. 그런ᄃᆡ그동안 日氣가 和暢하온ᄃᆡ侍中體度氣후健康하시오며 大小諸宅도 均一히 安寧하신지오 아울너 늘祝禱하나이다. 저는 省率이 如前하오니 多幸으로 思하나이다. 그런ᄃᆡ 日前의 相議事件에 對하야는 未安한 말삼이오나 그동안에 잇어서 엇더케 思量하시는지오 아ᄅᆡ에마즘春丈ᄭᅦ서 안게신다 하옵기에 여러가지 具体的 仔詳한 말삼은드리지 못하엿음니다만은 事實上 今番의 形便이 퍽이나 難處함니다 方今耕農準備가 紛忙하는 이ᄯᆡ에 아모準備와 周旋이업서 赤手空拳그ᄃᆡ로 안저서 農作時期를 맛게되오니 이러한 ᄯᅡᆨ한形便이 어듸ᄯᅩ잇슬가요. 이러한 말삼을 들으실ᄯᆡ에 ᄯᅩ 엇더한生覺을 가지실는지도 몰으겟음니다만은 實로 저는親愛하는 處地에서 허물업시드리는 말삼임니다. 日前의 말삼애對하야 春府丈과의 協議가 엇지되신지는 알수가 업슴니다만은 이것이아로신바와갓치 農作準備애 要用코저한 것임으로 저도ᄯᅩ한 返償하는ᄃᆡ애도 多少라도 等閒한 生覺은 업겟사오니 넓이諒察하시와惠澤으로써 今年農作上支障이업게하여주심을 切切히 바람니다. 그런ᄃᆡ 或엇더한處地애 ᄯᅡ라서 現金 그것이 마음ᄃᆡ로 準備가어려우시다면 더욱未安한 말삼이오나 第一緊急한 것이 무엇보다도 苗代種子이오니 色租라도 二石만은 決코 借惠하여야 耕農을하게될 모양임니다. 만일 그리안되신다하면 事實上 저의今年農作은 千萬夢外의 事가 되겟사오니 特히下諒하시와 同情하신다는厚意를 가지시고 誠意ᄃᆡ로 應하야주시면 저도ᄯᅩ한 다른것보다도誠意로 返償하여 드리겟음니다. 弱者를 扶助하야주시는것도 ᄯᅩ한社會事業家가안인가오 나머지 말삼은 가는便애 付托하옵고다맛侍候來來健康하심을바람니다三月二十七日 尙鏞拜【피봉】〈前面〉日谷盧軫永氏省執回納〈後面〉錦溪謹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노지섭(盧地燮)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盧地燮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노지섭(盧地燮)이 광주의 본가에 있는 조부(祖父) 노진영(盧軫永)에게 본가로 내려가지 못하는 상황을 전하는 내용의 간찰 노지섭(盧地燮)이 광주의 본가에 있는 조부(祖父) 노진영(盧軫永)에게 보낸 간찰로, 원고지에 국한문혼용으로 작성되었다. 조부께서 증조부(曾祖父)의 망종생신(忘終生辰)에 내려오라고 한 것에 대한 답장이다. 그날 가서 뵐 예정이었지만 그날이 방학 날짜와 겹쳐서 그만두기로 하였다고 하고, 가서 뵙는 것이 도리상 예의계지만 가보지 않아도 관계가 없거니와 실은 형식에 지나지 않으니 마음으로 멀리서 절 올리는 것과 정식적으로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3일은 방학이니 3일 밤차로 상경하면 돌아오는 날이 그 이튿날이 되므로 결석까지 하면서 가는 것은 영혼도 기뻐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본가로 내려가지 못하는 상황을 공손하게 말씀드리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김기수(金驥秀)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驥秀 盧地燮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김기수(金驥秀)가 처조부인 노지섭(盧地燮)에게 일본 유학생활의 안부를 전하는 간찰 손서(孫婿) 김기수(金驥秀)가 처조부인 노지섭(盧地燮)에게 일본 유학생활의 안부를 전하는 간찰이다. 내용과 피봉에 날짜 표기가 없어 연도는 미상이다. 김기수는 일본 동경에 유학중이고 처조부 노지섭은 광주에 살고 있다. 처조부 내외의 안부와 빙모(聘母)의 기력은 좋으며, 처남들도 잘 크고 있고 자신의 소식에 안도하고 있는지 물었다. 자신은 객지에서 무탈하게 지내고 있고 학업도 열심히 하고 있으니 마음 놓고 계시라고 하였고, 타국에서 농촌 풍경을 보면 추수기에 접어들었을 조선의 고향이 연상된다고 하였다. 신문에 보도되어 알고 계시겠지만, 학교령(學校令)이 전시체제(戰時體制)로 들어가서 대학과 고등전문학교의 연한을 6개월 단축해서 내년부터 9월에 졸업이고, 올해에 한해서는 종래의 방침대로 12월에 졸업하므로 금년 졸업반의 부담과 사회의 기대가 어떠할지에 대한 것이 요즘의 화제라고 전하였다. 가을 날씨가 점차 싸늘해지므로 건강을 잘 보전하시기를 당부하며 편지를 끝맺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0년 이승국(李承國)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承國 盧軫永 承國(타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891_001 1940년 5월 8일, 손제 이승국이 노진영에게 자신이 객지에서 빚진 돈 40원을 급히 빌려 줄 것을 청하는 내용으로 노진영에게 보낸 서간. 1940년 5월 8일, 손제(損弟) 이승국(李承國)이 노진영(盧軫永)에게 자신이 객지에서 빚진 돈 40원을 급히 빌려 줄 것을 청하는 내용으로 노진영에게 보낸 서간이다. 자신이 지난달에 보낸 편지를 읽어 보셨는지 묻는 내용으로 편지를 시작했다. 한창인 봄날에 형과 식구들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이야기를 전했다. 자신이 염치가 없지만 전날에 부탁했던 40원이 마련되었는지 물으며, 형의 살핌으로 자신이 지금까지 있고, 자신이 있는 곳의 인심은 매우 좋지 않아 매끼마다 식대를 독촉받고 있으며, 어제는 결국 밤에 여관주인과 크게 다투고 한밤중에 거리를 방황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형의 돌봐줌이 두텁기에 자신을 물과 불의 어려움에서 구제해 줄 것을 청했다. 40원을 급해 전보로 보내주면 자신의 객지생활의 군색함이 우선은 풀릴 것이라는 것, 수개월 뒤에 꼭 갚겠다고 했다. 답변을 기다리겠다는 말과 함께 편지를 마쳤다. 봉투에는 '매우 급하며, 형이 직접 받으시라[至急親展]'는 글귀가 적혀 있다. 본 편지는 후대에 정리당시, 하나의 편지봉투에 동년 5월 15일에 작성한 편지와 함께 동봉되어 있었다. 편지봉투에 써 있는 이승국의 주소는 '목포시 남교동 84, 대화여관(大和旅館)'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本村面 日谷里盧軫永 大兄至急親展.(피봉_뒷면)木浦府 南橋洞 八四, 大和旅館 李承國五月八日椷.(簡紙)月前付上一書矣. 無滯入 照否. 伏請春殷堂上壽体候連護万重,省餘硏体承欽, 寶覃均慶否, 仰㴑區區且祝. 損弟 客狀無衝, 是爲安乎. 就悚前日仰托四拾圓請金, 可謂極度沒廉者, 而弟若非星火之困難, 安敢如是乎. 又若非吾兄之眷愛, 又安敢如是乎. 此處人心, 極是苛劇, 夕飯則督夕債, 朝飯則督朝債. 昨日夜半與達城旅館主人大爲爭鬨, 深夜出門, 方今道路彷徨, 時刻難保, 此將奈何奈何.兄乎兄乎, 旣是愛我之厚也. 以 兄厚德, 濟人於水火之中, 則當非愛人以德之至乎. 弟之形便, 千里客地, 無依無靠, 不得已冒㱰 仰請於吾兄, 兄乎援我救我否. 雖百難中 四拾圓金至急, 電報付送, 俾免客地大窘迫之地, 則如前書所言, 數個月後卽斷仰報矣. 兄乎兄乎.勿泛勿泛. 千萬切祝切祝. 餘方立俟回音之好德. 心煩意亂, 不能備禮.十五年 五月 八日, 損弟 李承國 拜上.[圓形朱印: 承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1년 김기태(金基泰)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基泰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음력 12월 10일, 김기태가 노진영에게 자신의 아들 학교 입학 일과 관련한 계기로 한번 찾아뵙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내용의 서간. 1941년 음력 12월 10일, 죄생(罪生) 김기태(金基泰)가 자신의 아들 학교 입학 일과 관련한 계기로 한번 찾아뵙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내용의 서간이다. 인사하고 헤어진 뒤로 달이 넘어갔다며 현재 그리운 마음이 더욱 간절하다는 인사로 편지를 시작했다. 지금 어른을 모시고 지내는 상대의 안부를 간단히 묻고 자신은 집안이 무고(無故)하다고 인사했다. 주요 내용은 지난달 자신의 자식 학교 입학 일로 부탁한 일로 최근 한번 다녀가겠다고 생각했는데, 사범학교통학에는 재산증명이 별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가지 않았는데, 며칠 뒤에 한번 찾아뵙겠다고 하였다. 자세한 이야기는 곧 말씀드리겠다고 인사하고 편지를 마쳤다. 발신자 김기태는 화순군(和順郡) 이서면(二西面) 야사리(野沙里)에 거주하고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김판동(金判童)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判童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모년에 외종제(外從弟)인 김판동(金判童)이 노진영(盧軫永)에게 선물을 보내면서 쓴 간찰 모년 7월 14일에 외종제(外從弟)인 김판동(金判童)이 외종형 노진영(盧軫永)에게 보낸 간찰이다. 고모부의 생활이 평안한지 안부를 묻고, 약간의 정표로 물건을 보내니 받아달라고 하였다. 보낸 물건이 무엇인지는 적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노경옥(盧京玉)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盧京玉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모년 족질(族侄) 노경옥(盧京玉)이 노진영(盧軫永)에게 절효공(節孝公)의 정려답(旌閭畓) 매입과 관련하여 쓴 간찰 모년 9월 23일에 족질(族侄) 노경옥(盧京玉)이 노진영(盧軫永)에게 보낸 간찰이다.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나서 자신은 여행하다가 귀가하는 중이라고 근황을 알렸다. 지난번에 약속했던 절효공(節孝公)의 정려답(旌閭畓)은 석중씨와 석정씨에게 승낙을 받았고, 며칠 사이에 석정씨가 광주 쪽으로 길을 나선다고 하니 그때에 문장(門長)에게 말해서 지한면(池漢面) 홍림리(洪林里)의 김양오(金良五)에게 수표를 내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최씨의 말을 들어보니 정려답을 저쪽 집에서 매도하려는 토지 가운데 추가로 넣었다고 하므로 이때가 매우 적당하다고 덧붙였다. 절효공은 노준공(盧俊恭 1340~1397)의 시호이다. 노준공의 호는 심계(心溪)이고 본관은 광주이다. 고려 말 밀직사를 지낸 사청(士淸)의 아들이고,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기개가 높았으며 학문에 열중하고 효성이 지극하여 《동국여지승람》에 등재된 인물이다. 고려 우왕 때 상례제도가 폐지되어 모두 백일 동안 복을 입고 벗는데 노준공은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고, 이때 호랑이도 그의 효심에 감동하여 호위하며 따랐다고 전해진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34년 경로회회비예산청산보고서(敬老會會費豫算淸算報告書)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盧鳳壽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노봉수(盧鳳壽)가 노진영(盧軫永)에게 보낸 경로회회비예산청산보고서(敬老會會費豫算淸算報告書). 노봉수(盧鳳壽)가 노진영(盧軫永)에게 보낸 경로회회비예산청산보고서(敬老會會費豫算淸算報告書). 敬老會 회비 수입과 지출 내역을 기록한 내용의 정산보고서 *형태: 인쇄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1년 노인규(盧仁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盧仁圭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10월 24일, 종하생 노인규가 노진영에게 대동종안 창간을 위한 인허가 문제를 묻고 부탁받은 고추를 사지 못한 상황을 전한 내용으로 보낸 서간. 1941년 10월 24일, 종하생(宗下生) 노인규(盧仁圭)가 노진영(盧軫永)에게 대동종안(大同宗案) 창간을 위한 인허가 문제를 묻고 부탁받은 고추를 사지 못한 상황을 전한 내용으로 보낸 서간이다. 음력 8월에 헤어지고 얼음 어는 때가 되었다며 음력10월에 어머니 상중인 상대의 안부를 물었다. 종하생(宗下生)인 자신은 어른이 그럭저럭 지내신다며 다행이라고 했다. 주요내용은 우리집안의 대동종안(大同宗案)의 일은 막중하고 거창한 일이라는 것, 요즘 인허(認許) 받기가 어려운 것은 대략 알 것이라며 이 때문에 고민인데, 근래에는 가능한지 모르겠다고 했다. 마땅히 직접 가서 문후 인사드리고 일의 진행을 살펴봐야 할 것인데, 자신이 여러 일에 얽매여 있어 그러지 못했다며 민망하다고 했다. 상대가 부탁했던 고초(苦草: 고추)는 가격이 너무 올라서 아직 사지 못해 미안해하다고 말하고 편지를 마쳤다. 난외에는 추신으로 동계(東溪)·병재(秉齋) 두 어른과 시명(是鳴), 춘강(春岡), 두영(斗永) 여러 분들에게 각각 편지 하지 못한다며 자신의 마음을 말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또 오헌(梧軒) 김(金) 어른의 수연에 초대하는 편지가 소해정(蘇海亭)에서 발송되었던데 지금 주소를 잘 모르겠으니 답장편지와 수연 축하시를 혹시 인편이 있다면 전달 바란다고 하였다. 소해정(蘇海亭)은 수신자 노진영의 아버지인 노종룡(盧種龍, 1856~1940)이 머물던 곳으로 노진영의 거처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7년 노봉수(盧鳳壽)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盧鳳壽 盧鍾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7년 종하(宗下) 노봉수(盧鳳壽)가 노종룡(盧鍾龍)에게 대동종안(大同宗案)을 수보하는 사안으로 보낸 간찰 사본 1937년 1월에 종하(宗下) 노봉수(盧鳳壽)가 노종룡(盧鍾龍 1856~1940)에게 대동종안(大同宗案)을 수보하는 것에 적극 찬동하는 내용으로 보낸 간찰의 사본이다. 노봉수가 소해 노종룡에게 대동보(大同譜)를 만들어야 하는 당위를 설명하는 내용이다. 물이 동서로 흘러가도 모두 근원은 하나이고, 나뭇가지가 남북으로 뻗어가도 모두 뿌리는 하나인 것처럼 사람도 같은 할아버지에서 시작되는 것은 다름이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노씨(盧氏)가 한번 바다를 건너고부터 전국 팔도에 흩어져 살고 있고 조종(祖宗)이 비록 백세나 먼 조상이라도 추모하는 정성이 없을 수 없다고 하면서 옛말에 성(姓)은 조고(祖考)가 나온 바를 통괄하여 백세토록 변치 않는 것이고, 족(族)은 자손이 나뉜 바를 알아서 몇 세에 한 번씩 변하는 것이므로, 물줄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근원을 알 수 있고 나뭇잎을 더듬으면 뿌리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또 초목(草木)과 금수(禽獸)와 충어(蟲魚)의 이름은 알면서 동종(同宗)의 사람을 몰라서야 되겠는가라고도 하였다. 노봉수는 아들아이를 통해 들었다고 하면서 선조를 받들고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운 노종룡의 성심을 추켜세웠다. 천년토록 대동보를 만들 겨를이 없이 우리 문호(門戶)가 우레가 열려서 양이 회복하는 때를 기다린 것은 하늘이 우리 종씨들로 하여금 먼 조상을 추모하고 근본에 보답하는 정성을 잊지 않도록 한 것이라 하였다. 자신은 산수간의 거리가 멀고 노쇠한데다 병까지 얻어서 막중한 종안을 만드는데 나아가기 어려워 멀리서 한통의 편지로 대신한다고 마무리하였다. 노종룡의 자(字)는 치운(致雲), 호(號)는 소해(蘇海) 또는 농아(聾啞)이다. 본촌면 일곡리에 살았고, 최익현(崔益鉉)의 문인이며 《소해유고(蘇海遺稿)》가 전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해년 박원호(朴遠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朴遠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989_001 계해년에 박원호(朴遠浩)가 옥계(玉溪)에 안부를 전하고 자신이 상변(喪變)을 당한 심정을 전하고, 위장(慰狀)을 보내준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 간찰 계해년 12월 6일에 박원호(朴遠浩)가 옥계(玉溪)에 보낸 간찰이다. 찾아뵙지 못해 몹시 그리웠다고 하고, 혹독했던 추위가 조금 풀렸는데 지내시는 생활은 편안하고 여러 식구들도 모두 잘 지내고 있는지 물었다. 자신은 거듭해서 극변(極變)을 당하고보니 몹시 애통하고, 두 차례의 면례(緬禮)를 이제야 치렀다고 소식을 전하였다. 오직 다행인 것은 어머님의 건강이 손상이 없다는 점이지만, 자잘한 걱정거리가 계속 겹치기만 하니 답답하다고 하였다. 두 차례 보내준 서신을 전해서 받아보았고 무척 감사했다고 인사하면서 봄에 날씨가 따뜻해지면 한번 방문해주시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오래 소식이 막혔다가 지난번 만났을 때 편안히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갑작스레 돌아오게 되어 마음이 울적하니 도리어 만나지 않느니만 못한 듯하다고 소회를 적으며 편지를 마무리하였다. 면례는 무덤을 옮겨 다시 장례를 지내는 일로, 곧 이장(移葬)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病中承書 足以甦省感荷何等 靠審卽辰棣中震艮益復頥重 各致均慶 而惟以愛鸞之所咎 尙爾彌留 慰慮交臻 記下近以無何之症 伏抱呌囈 食飮全却 振作無期 私悶何達 第示事謹悉詳審症情 則乃是變動 而似有成效矣 幸勿過慮 如何如何紫香散劑中 已無靑皮 則代入陳皮白芥子各七分式準用 無妨 然其於速效之道 似不如靑皮耳 石藥近者又給於他人處餘存者不多矣 隨所存伴還試用如何 滚痰艸更勿停止 與石藥望服則尤好耳 鄙處多有見效者耳城堞其寺塔之久石原不如墻中年久者耳 以此諒之期於求用如何 石藥或有說之曰匪久服之材云 此是臆料者也 治病之法 病重則藥毒不爲肆害 且湯武之時不得已用兵具 勿爲生訝 期於多用爲好耳 正所謂多多益善耳 此等香散並用之於處暑之后 則香芎不入爲好耳 亦爲諒處之如何 餘委席手戰 倩不備上戊午七月八日夕 記下郭縉佑拜手(皮封)謹拜謝上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진년 김석례(金錫禮)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錫禮 妹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963_001 갑진년에 김석례(金錫禮)가 옥계(玉溪)의 매형에게 안부를 묻고 서원 원장의 병세와 봄 향사 때 행공(行公)하겠다는 등의 소식을 전하는 간찰 갑진년 8월 27일에 김석례(金錫禮)가 옥계(玉溪)의 매형에게 보낸 간찰이다. 서원 인편을 통해 보내준 서신을 받고 그동안 생활이 편안하시고 누이와 아이들도 무탈함을 알게 되어 무척 위로가 된다고 인사하였다. 자신은 줄곧 일하면서 지내느라 말씀드릴만한 일은 없고 대소가에 큰 걱정거리가 없는 것이 다행이라고 하였다. 원장(院長)의 학질증세가 오래 낫지 않아 걱정이라고 하였고, 가을 향사(享祀) 때 가서 참여하지 못했지만 봄 향사 때에는 실무를 수행하겠다는 뜻을 예전에 여러 차례 상의했던 것은 원비(院費) 때문이라고 하면서 상대방이 말한 것도 이와 같으므로 일이 매우 편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성부(聖夫) 형에게는 바빠서 따로 편지를 쓰지 못하니 이 편지를 보여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해년 김석의(金錫義)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錫義 妹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969_001 정해년에 김석의(金錫義)가 옥계(玉溪)의 매형에게 누이가 남자아이를 순산했다는 소식을 전하는 내용의 간찰 정해년 6월 18일에 김석의(金錫義)가 옥계(玉溪)의 매형에게 보낸 간찰이다. 여름 석 달이 다 지나가는데도 더위가 심한 요즘 매형의 생활은 편안하시고 식구들 모두 잘 지내고 있는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들은 각기 목숨과 천한 모습을 보전하고 있다고 하고, 누이가 이번 달 6일 새벽닭이 세 번 울 때에 남자아이를 순산했고 별다른 증상이 없어 매우 다행이며, 곧바로 심부름꾼을 보내 알리려고 했는데 가뭄과 더위가 이와 같아 지금에서야 보내게 되었다고 소식을 전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4년 장지성(張之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之誠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4년(순조24)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지성(張之誠)에게 발급한 준호구 1824년(순조24) 강진현(康津縣)에서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지성(張之誠)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장지성은 현재 37세이고 직역은 한량(閑良)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장지성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동거인으로 12세 딸인 아지(阿只)가 있다. 형식으로 보면 열서(列書) 방식의 호구단자지만, 관에 제출되어 구호적과 대조 확인을 거친 뒤 강진현감의 서압과 관인 및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을 찍어 제출자에게 되돌려준 것이기 때문에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3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張明化 張明化<着名>, 李導守<着名>, 金聖始<着名>, 任在孝<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3년 장명화(張明化)가 신리(新里)의 밭 두 곳을 한꺼번에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903년 장명화(張明化)가 선대로부터 수년에 걸쳐 경작해오던 밭인데 금년 봄에 써야할 용처가 생겨 어쩔 도리 없이 방매하게 되었다. 대상 토지는 도내(島內) 서면(西面) 신리(新里) 정등(井墱)의 집 뒤편에 있는 상자(相字) 자호의 밭 3두 5승락지와 같은 곳의 같은 자호에 있는 3두락지의 밭 두 곳이다. 3두 5승락지의 밭은 전문(錢文) 59냥 5전으로, 3두락지의 밭은 60냥으로 값으로 거래하였다. 구문기(舊文記)는 따로 건네주지 않고 신문기(新文記) 한 장 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매득인의 이름은 쓰여 있지 않아 알 수 없지만 장씨가(張氏家)에 전하니 당시의 장씨 집안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익수(李益守)와 김성시(金聖始)가 증인으로, 임재효(任在孝)가 필집으로 이 거래에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