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農巖金文簡公【昌協】 以英雄豪傑之姿有戰兢臨履之工斂浩氣於環堵之窄可以塞宇宙任至重於一身之小可以抗華嵩進而置之巖廊爲帝王師而不見其泰退而處乎丘壑與麋鹿友而不見其窮巖巖乎砥柱之峙洪河凜凜乎寒松之挺大冬苟億世之下觀乎此七分之貌尙識其爲三百年間氣之所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丈巖鄭文敬公【澔】 巖巖其高匪山而山淵淵其深匪淵而淵間世之氣繼往之學脗然獨與道契卓然獨與道立何恭之篤耶戰兢中做方得何德之純耶誠正上造其極遠之則有望近之則不厭古聞其語今見其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像贊 遂菴權文純公【尙夏】 嶷嶷山嶽之氣像恢恢河海之心胸允矣集群儒之大成蔚然爲百代之師宗以一言而闢聖路於將堙以隻手而擎天柱於旣倒深闈密贊吾不知其何謨燕居長歎吾不知其何抱吁嗟乎道之大而莫能容兮吾將捨考亭而其誰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寒號 窓間月色如尋眞。籬外風聲欲犯鄰。抱膝先生眠不得。初吟白雪繼陽春。糊壁如氷無故誼。布衾似鐵遠人情。問爾號蟲何術用。得過且過了一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貧病吟 貧如原憲初無病。戰似卜商始有肥。鍾鼎糟糠皆分定。不如壤室保天機。侏儒短飽朔長飢。拍手傍觀造物兒。一犯人形皆若是。悠悠今古別無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李牧隱韻 韓山喬木感秋情。石破天傾地不平。若使黃花能解語。先生稱以後淵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洋船消息發嘆 三綱不振五倫沈。擧世幾何入獸禽。安得抑洪驅猛手。大明天理正人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古人長城韻 河山春盡六桑平。蚕老三眠汔此生。萬里堤防何所事。不如宗子作維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晦菴七夕韻 靈鵲聲中近信開。牛郞投轡步橋來。明晨莫恨生離別。天地無窮此夜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閱論語見後生可畏章有感 蠹魚食字不知書。八十年來口味虛。百爾思量無別術。且將經籍送居諸。皮讀當年四子書。尋常言行摠浮虛。八十無聞猶寢食。將何面目對人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興允性兄同宿鉢山楸下 晨鷄喚起千家夢。老大潛藏萬古心。白首與君楸下宿。遲遲海旭東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仲範。吾里閈知心也。丙寅十月。吾在長城。仲範以赴義之行經過。老不死。見此開眼事。奇哉奇哉。主人奇丈贐行絶句。故忘拙次韻。 君年何似霽峯時。弓劍還同禮樂詩。白首臨岐增感激。行塵足當一兵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金敏受【永澤】 芝蘭從俗荃蕙塵。吾子靈臺獨也新。百世金陵誰撰誌。仁聲端合若而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御製墓碑銘【幷序○今 上己亥】 (御筆)有明朝鮮國左議政尤菴宋先生之墓(碑面大字)公生于 大明萬歷丁未獲末命于 肅祖己巳是 崇禎紀元之六十有二年也事我 仁祖 孝宗 顯宗 肅宗四朝官至議政府左議政諡文正學者稱尤菴先生腏食文廟後又追配孝宗室廟庭公夙契儒者之學凡於性命蘊奧靡不潛究力頤外內交修動靜無間其用工也積累純熟其收效也剛毅精密又惓惓於春秋大義以明理正倫尊華攘夷爲己任嗚呼時則丁城下之羞惟我 孝宗大王寤寐英豪奮發有刷恥之念進公于朝廷置帷幄俯勤仔肩之托密勿訐謨外人莫有得以知之者公亦受命屛營期效盡瘁之義而仙馭遽昇 聖志未伸嗚呼所謂天實爲之謂之何哉者非歟公墓以公遺意封前不立石後九十一年己亥廷臣有言于寡人曰古帝王尙於勳舊躬爲之篆首況先賢之隧乎予乃書公碑面著爲文序公之蹟嗚呼是謂有時存焉者乎又可謂有曠世之感也歟公名時烈系出恩津之宋少師文元公金長生長生之學自於文成公李珥云銘曰是惟文正之宅後之人其可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御筆】孝宗大王密札 昨於封啓內得一小封書辭意備悉若非卿之血誠何以至此予心欣悅不知所諭末端卿之不安恐懼之意又何以至此無乃不知寡昧之心乎君臣之間貴相知心今後勿爲外待之言務盡忠實是所望也密札賜敎之言尤合予意予久欲爲之而不知卿之意下如何趑趄未果今次此言實愜予意自玆以往論咨國事庶及其至誠所在不勝幸甚不勝幸甚不但國朝規例如此近日則人心分散故獨對之擧心甚惡之繼以做出不測之言將不利於國家其勢決不可爲之向日獨對之後察人之氣色則甚不悅如洪命夏箚子中措語卿亦領會乎其意可想今日之事不亦難乎以此言之則此路不可不開以通上下之心事也念第傳信之路極難萬般思量皆不得恰當故不得已使世子手傳也卿亦領會此意回札又傳於世子亦如是則可謂鬼神亦所不知也豈非萬全者乎小紙中事予當一皆施行卿須勿慮如論大事則大臣不可不知而今之大臣皆以一時之望循序以進也有幹局之人未易得原平不無其才而氣質素欠從容似難爲精細之事沈相賢而無才完南多病不出有智有慮識事務領相爲然而但不欲担當重事是可欠也而非此人則 卿須知此意交結得其親而後可以次第論事矣西北事亦欲如是爲之而但西事尤難深慮不已也近日變怪至此憂慮罔極而其中三日雪變尤可慮也三月二十六日曉夢金賊自點提釼入予臥內予大驚作而叱退夢纔罷近侍報天雨大雪云是何怪惡之甚也此曾所未有之夢也又何不先不後而適於此際乎似非偶然也夢寐之事實涉虛無而此則似不可付之虛無也近日訛言亦非可怪之甚者乎暗中似有扇動者矣予當時不爲夢煩矣向日獨對時所言之事厥後別無可議者乎卿書中辭意詳審覆啓而此外可言之事亦皆言之母存自外之心俾盡衷曲以副至望眼患尙未盡瘳精細之書不但不能亦涉悤遽如是胡草殊無尊敬之意深用未安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申侯韻【己巳光陽。有潢池之變。本倅申錫裕。嚴飭吏校。守賦不點村丁。數日光亂止。】 曦陽赤子夜踰城。列邑喧呼大點兵。惟有申侯能妥帖。須臾烟滅美潢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道藏齋訪雲?兄。不遇。 蚕頭回路喚鶯聲。書室無緣話舊情。歸後金蘭多少思。南天夜夜月輪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雨中寄聲。一字一味。自顧老醜。何以得此。倉卒構呈。投珠報礫。以備日後獻笑之資。 零雨濛濛寸進程。天翁似惜老人行。何來瓊韻懷中落。此意殷勤入佩銘。愛君早世脫科程。大道如今丈夫行。刮眼金篦吾何敢。高門自有廣居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高亨柱 耳目聰明五尺兒。人間一樂有爲時。箇中發軔存何處。論孟曾思是吾師。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