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772년 예조(禮曹) 첩(帖) 고문서-첩관통보류-첩 정치/행정-명령-첩 乾隆三十七年十月三日 禮曹 宣陵靖陵官員 乾隆三十七年十月三日 禮曹 宣陵靖陵官員 서울특별시 종로구 堂上[着押] 禮曹之印 7개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2년(영조 48) 10월 3일에 예조(禮曹)가 선릉정릉(宣陵靖陵) 관원(官員)에게 보낸 첩(帖). 1772년에 禮曹가 宣陵靖陵官員에게 보낸 帖. 禮曹에서 陵所에 移植할 樹木인 橡實(상수리나무 열매) 5斗式을 수납하도록 宣陵靖陵官員에게 명함. *宣陵靖陵官員은 1772년 7월에 宣陵參奉에 임명된 姜載潤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六年丙午式 行郡守 幼學 鰥 李以坤 道光二十六年丙午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6년(헌종 1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46년(헌종 1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13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7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에서 개명한 이승필(李升弼)과 이현필(李鉉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와 전주이씨(全州李氏), 손자는 이인순(李寅淳)과 이우순(李友淳)이며, 손자며느리는 진주강씨(晋州姜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2년 강항(姜沆)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추증교지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八年六月日 贈 通政大夫承政院都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藝文館直提學知製敎尙瑞院正 行 通訓大夫刑曹佐郞 姜沆 光緖八年六月日 高宗 姜沆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8_001 1882년(고종 19)에 고종(高宗)이 강항(姜沆)을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겸(兼) 지경연의금부사(知經筵義禁府事)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지춘추관성균관사(知春秋館成均館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시강원좌빈객(侍講院左賓客)으로 추증한 추증교지(追贈敎旨). 1882년에 高宗이 姜沆을 資憲大夫 吏曹判書 兼知經筵義禁府事 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成均館事 五衛都摠府都摠管侍講院左賓容으로 추증한 追贈敎旨. *姜沆이 資憲大夫 吏曹判書 兼 知經筵義禁府事 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成均館事 五衛都摠府都摠管侍講院左賓容으로 추증됨. *傍書: 忠節卓異超贈正卿事承傳 *상태: 문서 우측 일부 오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三山屹立海之東道脈長長太古風資性沈潛從聖學疑難力辨啓群蒙春秋歷歷韓邦外日月昭昭魯院中受命當年已三百被華草木至今同 後學義城金周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斗岳南頭楚水東從來尤守儒雅風淡泊精神楚水際從容心事魯邱中篤信孔周承厥緖精通心近闢群蒙晦翁千載考巖後更見斯齋士友同 後學密城朴琪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先生道德冠吾東復睹魯陽百世風篤信孔朱開後學維憂邦國擊群蒙山水高長元定地春秋陟降適宜中斗南處士惟親炙師弟如今妥位同 後學高興柳命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禮義猶存瀛海東建玆院宇有儒風楚水洋洋明鏡照斗山屹屹白雲蒙先賢崇典行玆際後學眞工在此中隆師修道當然理百世相傳日月同 後學金海金潤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宇建瀛東鄕黨彬彬有士風里仁俗美功餘在柏悅松靑化溢蒙群嶽純精回護裡三光耿介照臨中享禮慕賢行義事永傳百世應聲同 後學驪陽陳在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尤斗兩賢起我東正通濂洛尙高風闡明理氣千秋鑑涵養德性百世蒙絃歌時聞瀛城下敎化將添萬國中絳紗帳裡拜院宇欽仰心心受誨同 後學昌寧曹世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天生尤老眷吾東道脈相傳萬化風鄕議小春開魯院綱常今日啓童蒙精靈長在玄巖上炬燭雙明五夜中正俗振儒從此始一心祗願縟儀同 後學義城金亨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광사재(廣思齋)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진년(1952) 11월부터 경술년(1970) 3월까지 수입과 지출의 항목을 기록한 회계장부 내용: 수입질(收入秩), 용하질(用下秩), 방채질(放債秩), 지출부(支出部) 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광사재 희사 방명록(廣思齋喜捨芳名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9년(단기 4292, 기해)에 광사재(廣思齋) 수리 및 사초(莎草)를 위한 의연금 등을 희사한 사람들의 명단과 금액을 적은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광사재 문중 회의록(廣思齋門中會議錄)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4월부터 경자년 10월까지 광사재(廣思齋) 문중(門中)의 총회 회의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영성정씨(靈城丁氏) 가승(家乘) 고문서-치부기록류-가계기록 靈城丁氏 영광 영성정씨 정호남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시조 정덕성(丁德盛)부터 23세 정병규(丁炳圭)까지 영광의 영성정씨 가문의 계보를 필사해 놓은 가승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미 훌륭한 덕과 맑은 의표를 보았고 또 손자의 용모를 보았으니, 한미한 가문에 광채가 빛나는데 사위가 더욱 빛납니다. 삼가 입하(立夏)에 지내는 체후가 분주한 끝에 다행히 크게 손상되지 않았고 식구들도 모두 평안하다고 하니, 삼가 궁금한 심정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저는 부모님을 모시며 지내는 상황이 우선 이전과 같으니, 저의 다행한 심정을 어찌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드릴 말씀은, 좋은 날 좋은 때에 순조롭게 혼례를 마쳤다고 하니, 기쁜 심정을 어찌 이길 수 있겠습니까? 모든 범절이 한결같이 마음처럼 되지 않고 공허한 말은 보탬이 되지 않았으니, 어찌 감히 선처해 주기를 바라겠습니까. 아드님의 새 정은 익숙하지 않은데 갑자기 돌아간다고 하는 것은 의례이니, 이를 어찌하겠습니까? 나머지 많은 말은 후속 편지에서 계속 이어지니 살펴주기를 바랍니다. 예식을 갖추지 않습니다. 삼가 바랍니다.기○년 4월 16일에 생 정휴태가 두 번 절하고 올림 旣接令德淸儀 又見 賢抱容姿 寒門生輝 東床增彩謹未審葽秀氣體候勞攘餘 幸不至大損 寶眷均慶 伏溯區區不任鄙誠 生省狀姑依 分幸何達 就日吉辰良巹禮利成 其爲欣喜 俾也曷勝掃如 諸凡一不如意 空言無益 安敢望 善恕耶尊郞新情未慣 遽爾告歸例也 奈何 餘萬在源源續后 尊照 不備 伏惟己之乾月旣望 生 鄭休泰 再拜上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