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禿山面居河圭錫右謹言 以民之先妣烈行事 幸聞 天陛 去戊午年 特蒙旌閭之 典是白遣 其年秋 自 禮曹 啓下 除役之 關 而本 官完文又如是申 嚴是乎所 一自其後 民之烟役與還上 永爲蠲頉於所居鰲山面矣 今春良中 移居於禿山面是乎則 右烟役還上等 隨其所居面 卽爲蠲頉 乃是事理之當然 故如是 禮曹 關文 與本州完文 帖連仰訴 特爲垂察 民之烟役與還上 蠲頉於身在處禿山面之意 立旨成給 千萬祝手爲只爲行下 向敎是事城主 處分 癸亥五月 日使[着押][光州牧使之印](題辭)事實利施向事 卄二日倉色面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稟目右稟事 伏以本州 聖廟祭禮 以九十員祭官定數隨行 自是幾百年不易之正規 而去辛丑辛巳兩等隨行案 藏于府下樓上庫矣 去甲午見失於匪徒 掃蕩之境 推尋末由 士氣之齎鬱 鄕綱之頹敗 無以形喩 自校中 已有抄案之遺藏 故依舊成案 什襲于藏櫃則 伏望閤下 俾爲立旨成給 以爲永久憑考之地 玆敢仰稟城主閤下庚子三月 日 鄕校齋中儒生 幼學李熙三 金憲洙 鄭志榮 奇景燮 高昌柱 柳永鳳 朴廷東 尹喜聖 崔性煥 李熈鍾 朴鎭春[光山校□](粘連)依訴 立旨成給向事十六日郡守[光州郡守][光州郡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798년 광주목(光州牧) 시권어고방(試券御考榜) 고문서-치부기록류-방목 光州牧 광주 광주향교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98년 6월 18일에 光州牧에서 작성한 試券御考榜. 御定大學衍義補抄本과 御定朱子大全을 節約하고 校正하고 書寫한 儒生에게 詩·賦·箋·義·策問을 3일 동안 光州牧에서 試取한 후에 성적을 수록함 1798년 8월에 光州牧使 徐瀅修가 지은 御題奉安記, 1841년 9월에 光州牧使 趙徹永이 지은 跋文을 수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73년 등기권리증(登記權利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光州司法書士會 韓永錫 영광 추원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3년 광주사법서사회(光州司法書士會) 영광지부(靈光支部)에서 한영석(韓永錫) 등 5명에게 발급한 등기권리증(登記權利證) *매도증서(賣渡證書)- 不動産 所在地: 靈光郡 法聖面 新庄里 746番地 畓 *매도인(賣渡人): 한정석(韓正錫) *매수인(買受人): 한영석(韓永錫) 등 5명 *등기의무자: 한정석(韓正錫) *登記畢: 1973년 12월 20일 *償還證書: 1950년 3월 25일 *領收證: 1973년 12월 21일 한영석 등 5인이 발급받은 영수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7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海南面會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7년 6월 26일에 해남군 삼산면 창리(海南郡 三山面 昌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해남면 농회(海南面 農會)에 158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미상년 계약서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미상년에 매주 최문상과 매주 채양석 사이에 작성된 계약서 미상년에 매주(賣主) 최문상(崔文相)과 매주(買主) 채양석(蔡良錫) 사이에 작성된 계약서이다. 두 사람은 모두 화산면 송산리에 거주하고 있는데, 무엇을 거래했는지는 문서가 훼손되어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郡花山面松山里八百九拾九番地賣主 崔 文相[文相]▣…▣郡花山面松山里拾七番地買主 蔡 良錫[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29년 삼남매(三男妹) 화회문기(和會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李國煥 李國煥 12<着名> □…□ 10顆(7.0×7.0)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29년 7월 10일에 삼남매가 모여 재산을 분재한 화회문기 1729년(영조 5) 7월 10일에 삼남매가 모여 재산을 분재한 화회문기이다. 삼남매가 각각 분가하여 바삐 사느라 모이지 못하다가 지금에야 재산을 나눈다고 하였다. 분재대상자는 장녀 목태경(睦泰敬)의 처, 차남 이국환(李國煥), 삼남 이유환(李囿煥)이다. 한편 문서 뒷면에는 6건의 배탈사급입안(背頉斜給立案)이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사성록(四星錄) 고문서-치부기록류-사성록 영광 운당리 제주양씨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四柱를 기록한 사성록(四星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家大人愼齋府君鳴巖韻【二首】 人傑從來在地靈聯翩冠盖照新晴書香相繼應天義努力工夫望後生比來方覺石遺靈山霧獻陰野日晴憶昔紅塵奔走事無如靜裏送平生附元韻【三首】 愼齋府君災慶由人石豈靈循環倚仗雨還晴偶然而得寧妨失莫把浮榮費一生老樹奇巖自古靈山明水麗更天晴逍遙盡日開懷抱一陣淸風雨腋生巖上茅亭洞壑靈登臨宜雨又宜晴故園形勝堪終老浪走紅塵笑此生附次韻 從兄說書希嘏形勝壺中擯異靈登臨幾許費陰晴溪聲來助松聲聒嗔我年前勞此生又 河西先生地久天長物亦靈蒼然幾歲度陰晴須知寂感終無極通塞何嘗間有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安馠)【乙巳名賢】 風樹悲何及終身大舜思誰知扁額意長廢蓼莪詩夫事死如事生事亡如事存此孝子順孫之出於至誠之固然則不必假外之爲也而竹巖之必以永思名亭者何歟蓋所以存乎目者乃所以存乎心者也而所以合內外之道也噫不死其親之心昭著乎羹乎墻乎而猶懼夫此心之或有間斷則敢以永言孝思揭額於居室之左右然後常目在之而知神之在此乎在彼乎几案寢席無非宛如平昔晨昏之定省而霜露之感陟降之承益知其森不可遏而孝子順孫之心庶乎自盡其衷而一此不懈矣吁竹巖名亭之意至矣悲矣余於思齊先生雖不得親炙而亦私淑諸人者也事親以孝兄弟以友人鮮能也而先生孝友之篤人無問言而縉紳諸公之述備矣余觀夫竹巖之凡所以克家者無非出於百行之源則先生之垂裕後來者何莫非孝悌忠信之道而食報於今日也哉嗟夫竹巖乃余子姓之親而文成之苗裔也文成道德一世之人皆以爲軌範況其後嗣耶思齊先生之學吾知傳授於文成而永思之克承先人者若是文成之淵源其不在玆乎嗚呼幽而永思明而裕蠱承願朝夕下氣柔聲愉色婉容足以見深愛之出於天性之純美而良辰佳節放以悅親爲事周汁稱壽萊舞婆娑一家之中雍雍有三代之風竹巖事亡之哀何如而生事之樂亦何如哉夫孰非人子而如余者嚴程萬里空賦陟岵之詩授衣三秋難禁履霜之悲其視竹巖之所爲則寧不爲之顔厚有忸怩耶然則竹巖不徒自盡其孝而使人油然興起其善端者乎言之不足故遂賡河西子之韻以詠永思之義又次思齊先生之絶句發揮一家爲學爲孝之有自來也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碣銘(領議政鄭澈撰) 君諱瑑字文寶姓出順興自文成公贍學養士配享文廟綿十世以文顯至君始不仕焉曾祖諱知歸嘉善尹全州祖諱璣典籍考諱處順由西淸乞養未幾移疾居閑者十五年後蒙敍命卒奉常判官己卯名流也妣扶安韓氏正德戊寅六月某甲君生風姿端雅儘有精彩家庭講習早知禮義之方甲午君年十七從判官公于京師卒遇大故喪易而戚攀車跋涉不避氷雪皸裂之瘢啓足尙在及三年伐石完墓鳩財建寢誠固至而才亦逮矣制畢奉母夫人色養每入省必有杯勺承歡日以爲常庚申母夫人棄養持服愈謹毫髮及禮而永感之哀爲切矣嘗構亭居第之南以望松楸金河西詩孝德傳前世亭名揭永思者是也分財業只委子弟與親族之諳事者爲之已則從容談飮若無與焉門黨歎服盧氏妹貞夫人病甚得報馳往卒且不救極其摧咽喪敗餘生積像損和以酒爲年遂成沈痾辛未六月某甲整衣巾語堂侄安光業婿生金益福曰死於君等之手吾無恨矣遂卒越十月某甲葬于南原府治之南某坐某向之原從先兆也君性耿介常自激仰於科第則未嘗竭力程文以求必得於門蔭則不肯降志辱身趨走下列克守家法無忝所生自號竹巖以見其操丘園寄傲優游偃仰殆所謂逸民之徒歟初配彦陽金氏成壁之女逮事姑氏得婦道甚生二男一女男長昌國次昌善女適忠淸都事金益福孼有應國忠國後娶僉使李濂之女無子女後君三年逝昌國娶張玠之女無子而喪再娶金麟祥之女生一男㻽昌善娶判書李後白之女生一男一女男曰瑛女適薜慶龍金益福生三男一女長瀏次進士澕次沇幼女適楊起南瑛娶縣監梁子澂之女生一男一女男曰峻德女適房元漸薜慶龍生一女適李适瀏娶司果金鏘之女生四女澕娶生員李廷龍之女生一男一女男曰命賢君沒十六年其孤昌國將欲竪碣以僕於君忝有契好不嫌其不文來請銘辭不獲銘曰世業文學家法孝友自外儻來於君何有有美蘭玉第瑑爾後托此貞珉吾言不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明梅 余不喜於探花。心所愛者此梅。緬昔皇明之季。運移一根而東來。憐瑤臺之瓊姿。托孤村之荒堆。格淡冷其瀟灑。絶世俗之塵埃。入我家其幾年。曾王考之手栽婆娑在於園中。衣被者曰蒼苔。惟王考之胥宇。占地勢而築臺。堂旣成而却顧。制不窄而洪恢。常目在於窓前。非玉骨則氷腮。含疏英於雪中。先東風而放開。寧巡簷而索笑。不向春而爲媒。問消息於那處。傍寒枝而送盃曰。祖先之所貽。斯取愛而勤培。月微明而風靜。疑玉人之相催。初的皪於半窓。忽橫斜於小隈。何此樹之不可慢葩絶艶而美哉。魂脈脈其日返。香淡淡其時迴。得天機於太早。詎造物之有猜。知來者之無窮。且勿剪而勿催。繞百千而摩挲。立黃昏而徘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효열부김해김씨(孝烈婦金海金氏) 명문(銘文) 고문서-시문류-묘문 朴炳南 朴炯得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高興郡 錦山面 蓮洪里에 사는 朴炳南이 박형득에게 보낸 朴元碩의 妻 孝烈婦金海金氏 銘文 필사본. 1932년에 숭록대부예조판서원임규장각제학(崇祿大夫禮曺判書原任奎章閣提學) 안동(安東) 김종한(金宗漢)이 찬(撰)하였고, 통정대부(通政大夫) 군부원외랑(軍部員外郞) 평산신현태(平山申鉉台)가 글씨를 썼음 *문서 우측 제목 아래 발급자 朴炳南의 주소가 적힘. 주소 아래에 '鍾俊入'으로 표기 *상태: 오른쪽 앞부분에 작은 결락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최만오(崔萬五)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崔萬五 朴炯得 崔萬五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최만오(崔萬五)가 박형득(朴炯得)에게 수단금 3원을 받고 발급한 영수증. 최만오(崔萬五)가 박형득에게 발급한 영수증으로, ?문헌보감(文獻寶鑑)?에 실린 청계 박공(淸溪朴公)의 수단금으로 3원을 받고서 발급해준 것이다. 이 영수증에는 ‘舊閏七月十二日’이라고만 표기되어 있어서 어느 해에 발급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최만오’라고 찍힌 도장이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1년 박종율(朴鍾律) 부고엽서(訃告葉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부고 朴鍾律 朴炯日 고흥 밀양박씨 하구정(1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108_001 1941년에 護喪 朴鍾律이 朴炯日에게 보낸 부고 엽서. 韓相基 부친인 韓鍾洙씨가 노환으로 3월 29일 오전 8시에 별세했음을 전한 내용 *상태: 앞쪽은 붓으로 발수신 정보가 기록, 뒤쪽은 부고 내용 인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