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장재풍(張載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載豊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3년(순조13) 강진현(康津縣)에서 장재풍(張載豊)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13년(순조13) 강진현에서 계유년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재풍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재풍은 나이 32세로 홀아비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행현감의 압 아랫부분 여백이 도할(刀割)된 상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장지성(張指誠)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張指誠 康津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9년(순조19) 장지성(張指誠)이 자기 호(戶)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강진현(康津縣)에 제출한 호구단자 1819년(순조19)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장지성(張指誠)이 자기 호(戶)의 현황을 기록하여 강진현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원래의 호주였던 장득철(張得哲)이 사망하여 동성(同姓) 사촌인 장지성이 대신 호주가 되었으며, 현재 나이는 31세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장지성의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다. 아버지는 한량(閑良) 장대운(張大運),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장지성은 아내가 없는 홀아비로서 다섯 살인 딸 아지(阿只)만 기재되어 있고 처(妻)에 대한 정보는 없다. 호구단자는 호주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하면 대조 및 확인 작업을 거친 후 다시 돌려주는 과정에서 지방관의 서압(署押)이나 관인(官印), 주협무개인(周挾無改因), 또는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 등이 찍히기도 하는데, 이 호구단자는 그러한 흔적은 없이 하단에 '서(書)'라고 쓰여 있어 확인 후 다른 대장(大帳)에 올렸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문서는 기묘식년의 호적대장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고, 실제 작성은 반년 전인 무인년(1818) 9월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0년 장대운(張大運)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運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0년(정조4)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운(張大運)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80년(정조4) 강진현에서 경자년(1780)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운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운은 현재 31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나주추씨(羅州秋氏)는 31세이다. 이어서 나주추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추상련(秋尙連), 조부는 추명금(秋命金), 증조부는 추송이(金松伊), 외조부는 본관이 평산(平山)인 조봉이(趙奉伊)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7년 장대윤(張大允)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允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7년(정조1)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윤(張大允)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77년(정조1) 강진현에서 갑오년(1777)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윤의 준호구이다. 고금진리(古今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윤은 현재 33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은 74세로 생존해 있으며,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처(妻)인 김해김씨(金海金氏)는 현재 30세이다. 이어서 김해김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김위재(金渭載), 조부는 김천석(金天碩), 증조부는 김애명(金愛明), 외조부는 정무선(鄭武善)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정무선은 다른 장대윤의 호구문서에는 정무현(鄭武賢)으로 기재되어 있어 오자(誤字)로 추정된다. 아들 장계득(張啓得)은 현재 13세인데, 장대윤의 호구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는데 흐릿하여 확실치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장득철(張得喆)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得喆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0년(순조10)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득철(張得喆)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10년(순조10) 강진현에서 경오식년의 호적대장을 확인하여 발급한 장득철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용은 현재 47세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아버지는 장대언(張大彦)은 현재 69세로 동거하고 있으며, 조부는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최경천(崔敬天)으로 본관은 탐진(耽津)이다. 장득철의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장계철(張啓喆)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啓喆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0년(순조10) 강진현(康津縣)에서 장계철(張啓喆)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10년(순조10) 강진현에서 경오년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계철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계철은 현재 37세의 홀아비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모시고 있는 아버지는 '봉부(奉父)'로 표시된 장대운(張大運)으로 61세이고,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으로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모시고 있는 어머니 추씨(秋氏)는 61세이다. 장계철이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계묘년 장인오(張仁五)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張仁五 張文守 □…□ 4顆 (적색, 원형, 1.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묘년 장인오(張仁五)가 장문수(張文守)에게 105냥을 받고, 받은 사실을 명시한 수표 계묘년 12월 초6일에 장인오(張仁五)가 장문수(張文守)에게 받을 150냥 가운데 105냥을 우선 받고 그 사실을 명시한 영수증 성격의 수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6년 장득철(張得喆)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得喆 康津縣監<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6년(순조16)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득철(張得喆)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16년(순조16) 강진현에서 병자 식년의 호적대장을 확인하여 발급한 장득철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득철은 현재 57세의 홀아비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아버지는 장대언(張大彦)은 76세로 사망하였으며, 조부는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최경천(崔敬天)으로 본관은 탐진(耽津)이다. 데리고 사는 식구는 15세 딸 아지(阿只)가 있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義律 李義律<着名>, 宋昌奎<着名>, 趙永逸<着名>, 李仕律<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9년(고종16) 이의율(李義律)이 답(畓) 6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879년(고종16) 11월 27일에 이의율이 자신의 논을 누군가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매매 대상 토지는 이의율이 직접 매득하여 수년 동안 곡식을 거두어 왔던 곳으로, 돈을 써야할 곳이 생겨서 부득이 매매하게 되었다고 방매사유를 적었다. 토지 소재지는 도내(島內) 서면(西面) 수횡평(水橫坪)에 있는 상자(霜字) 논 3두락지와 상평(上坪) 장등구미(長墱九味)에 있는 2두락지, 그리고 같은 곳에 있는 1두락지를 각각 36냥과 36냥, 10냥으로 쳐서 모두 82냥을 받고 거래되었다. 이들 논의 구문기(舊文記)는 도문서(都文書)에 재록(載錄)되어 있어서 매득인에게 넘겨줄 수 없으므로 신문기(新文記) 1장으로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송창규(宋昌奎)와 조영일(趙永逸)이 증인으로, 종제(從弟)인 사율(仕律)이 필집으로 거래에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매득인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자세하지 않으나 문서 좌측에 추가로 쓰여진 신리(新里) 내정동(內井洞) 장문수(張文洙)일 가능성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鄭壽富 鄭壽富<着名>, 張仁行<着名>, 李柱錫<着名>, 金應道<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고종26) 정수부(鄭壽富)가 밭 7두락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한 매매명문 1889년(고종26) 정수부(鄭壽富)가 자신이 매득하여 수년간 경작해오던 밭 7두락지를 꼭 써야할 곳이 있었던 까닭에 전문(錢文) 13냥 3전을 받고 방매하였다. 매매 대상인 땅은 도내(島內) 서면(西面) 신리(新里)의 주을로변(注乙路邊)에 있는 금자(金字) 자호의 밭이다. 구문기(舊文記)의 교부는 없이 신문기(新文記) 1장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장인행(張仁行)과 이주석(李柱錫)이 증인으로, 김응도(金應道)가 필집(筆執)으로 거래에 참여하여 각각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회계기(會計記)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유년부터 대략 7년여에 걸친 회계 기록 을유년부터 대략 7년여에 걸친 지출 기록으로 보이고, 한 개인 기록이기보다는 문중이나 단체에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출한 금액과 용도 및 날짜 등을 기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체계를 갖추어 기록하지는 않았다. 간평(看坪) 등을 위한 노자(路子)나 술값이나 담배값 등의 내용이 있으나 수입과 지출도 명확하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신축년 장만순(張蔓純) 자문(尺文) 고문서-증빙류-자문 張蔓純 黃雲仲 □…□ 2顆 (적색, 원형, 2.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장만순(張蔓純)이 황운중(黃雲仲)에게 발급한 자문 신축년 장만순(張蔓純)이 황운중(黃雲仲)에게 160냥을 전해 받은 것을 확인해주는 영수증 성격의 척문이다. 피봉에 있는 황운중의 주소는 신지면(薪智面) 대평리(大平里)이다. 이 돈은 신축년에 족보 발간을 위해 족보 책값을 수금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문서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신년 장한민(張漢敏)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張漢敏 尹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신년 장한민(張漢敏)이 맏아들 장태흥(張泰興)의 신부댁인 윤생원댁에 폐백과 함께 보낸 혼서 병신년에 장한민(張漢敏)이 자신의 맏아들인 장태흥(張泰興)의 혼인을 진행하면서 신부댁인 윤생원댁에 보낸 혼서이다. 윤생원의 따님을 맏아들 태흥의 아내로 허락해주는 경사스런 명을 공손히 받았기에 옛 어른들의 예절에 따라 삼가 납폐(納幣)의 의례를 행하니 삼가 살펴달라는 내용이다. 납폐는 전통혼인의 의식으로 여섯 가지 의식절차인 육례(六禮) 중의 하나로, 납채 뒤 정혼(定婚)의 성립을 나타내기 위하여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서신과 폐물을 보내는 의식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1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1년에 康津縣監이 朝奉大夫 童蒙敎官 朴載彬(63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91년에 康津縣監이 朝奉大夫 童蒙敎官 朴載彬(63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贈通政大夫 工曹參判 千益 祖 贈通訓大夫 司僕寺正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4년에 康津縣監이 朝奉大夫 前童蒙敎官 朴載彬(66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94년에 康津縣監이 朝奉大夫 前童蒙敎官 朴載彬(66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贈通政大夫 工曹參判 千益 祖 贈通訓大夫 司僕寺正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축년 장지철(張志喆) 언간(諺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張志喆 黃雲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장지철(張志喆)이 황운중(黃雲仲)에게 보낸 언문 간찰 신축년 6월에 아우 장지철(張志喆)이 황운중(黃雲仲)에게 보낸 간찰이다. 돈 285냥을 이번 달 말일 사이에 갈 것이니 착실히 받아서 회계가 다 마무리되든 되지 않든지 간에 자신의 집으로 기별하여 서로 만나서 회계를 마무리하자고 하였다. 편지로 다하지 못한 말은 훗날 대면해서 말할 터이니 그리 아시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乙酉十月初六日 【五戔七分省基路子乙酉】二兩五戔長興多有給十一兩五戔降惡給同年十二月初八日二戔一分同錢事下記八兩俊禮平去同年十二月初十日 【明和出條二兩三戔六分】一戔四分治明宅 【永壽出給條一兩八戔二分】三戔八分汝成宅 【成旭出給條七兩】八戔多有給一戔白京宅二戔三分牟受標事路子丙戌三月二戔五分牟推尋事路子丙戌六月十一兩八戔牟二石價恨時價每石五兩四戔式終時價五兩九戔式二兩古湖鎭呈長事一兩稧錢事本鎭呈長二兩永光宗人給二兩五分其時下記五兩七戔租代錢戊子三月初七日五戔首僧路子八戔二分兩人食酒草價四兩三分以上三條擔當錢 子一氏一兩上戊子三月初十日人永壽一兩九戔九分上戊子三月二十六日三戔加利路子■■丁亥十二月三戔加利路子■■庚寅十二月 五戔辛卯省基路子二兩七戔加利及賣畓事壬辰二月五戔畓價事來往人路子甲午八月鹽一盆用價二兩四戔各處擔當錢記子一氏三兩丙戌二月又一兩丙戌二月五兩九戔牟一石價又四兩丁亥正月又一兩戊子三月二兩三戔丁亥十二月永壽一兩九戔九分戊子四月十三日四戔五分用西宅酒價丙二月九戔三分用西宅酒價成壽二戔二分乙十二月又七戔丁十二月三戔加利路子丙又五戔看坪路子戊九月一兩四分古湖鎭五戔看坪路子庚辛二兩省基路子庚寅成旭三兩乙十二月又四兩丙二月又五兩丙二月又一兩同又五戔看坪路子辛卯十二月會彔畓放買記六十四兩石橋頭畓四斗落價十兩同畓禾租二石價四十兩長峙同畓二斗落價三十兩松岩于與東村合三斗落價五兩二戔五分同畓禾租一石一斗價三十八兩曲加來山直合一百四十九兩二戔五分內畓價除百十一兩二戔五分 成壽次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谷城居幼學徐永修右謹陳所志寃痛事段本縣曳山面沿江十餘里有一帶柴塲壬子爲始自面中定爲巡山衆力守護每年發賣補用民役以其餘剩買置田土落只數石是加尼昨冬良中奸鄕鄭仁國張啓宇奸校呂善黙訐告官家▣▣(柴塲)及田土並爲奪入屬公於雇馬廳而上有司趙允命柳邦鎭以鄕所之挾告決罪放送爲旀金弼玉金裕玉以貧寒放送爲乎矣矣身段謂有饒名多般威脅氷租六十石及進上所用蔵氷價一百二十兩使矣身白地擔當又稱罰贖錢六十兩公然責納於矣身用之何處是喩此何事理節節可寃最所極痛者非他矣身先塋在於巡山之內龍虎六谷如干松楸所植處納土七斗庫及錢三十兩於面中成文卷買得禁養矣同畓土既入於雇廳而松楸之地渾歸屬公故累次呼訴久未决正是如可舊官臨歸時更呈所志始得許題而所志忽失去處方事推尋之際舊官座首鄭仁國邀請矣身好言誘說曰官家許題吾與有力七十兩錢即今備納則所志當出給亦爲去乙矣身初既切憎於渠輩貽害之事及聞此言峻責其蠧民之害棄置而歸家則夜間兵房軍官吕善黙假托官令私出捉去矣身而出示所志曰所志在吾手錢文三十田〖兩〗速速備來亦爲去乙矣身笑曰所志題辞豈有價直雖三文錢吾無可給之義是如叱退而此寃情呈于 營門則題音內詳査來歷且考本券可以推給者推給徵給者徵給事是乎旀又呈訴于長水遞歸官家則題音內淸溪一洞已屬民庫而汝矣葬親之地既有買賣文券則不當混入於此中界限之後某至某按券看審後從文券劃給事是乎旀又呈則題音更考事實詳細事是乎矣不顧官題而奸鄕奸校奪其矣身山地發賣年草一百六十五田〖兩〗而六十田〖兩〗皆爲肥己私用餘錢一百兩?稱用雇廳■(而)是乎所自壬子以後發賣文券昭昭是如乎同田土付諸雇馬廳則山地之渾奪萬無其理從文券出給之題下明査是乎旀許多錢穀之無端見失亦豈非其奸鄕奸校之橫政乎並爲實還徵俾免殘氓徹天之寃事 參商處分爲只爲御使道 處分壬申十一月 日〈題辭〉果如所訴則鄭仁[馬牌]暗行御史[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8년 박재빈(朴載彬)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郡守 朴載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광무 2) 전라남도 강진군수 신성휴가 작성한 강진군 고군내면 약산리 4통 3호에 거주한 유학 밀양 박재빈의 70세 당시 호적표. 1898년(광무 2) 전라남도 강진군 고군내면(故郡內面) 약산리(樂山里)에 거주하는 유학(幼學) 밀양 박재빈(朴載彬)의 70세 당시 호적표(戶籍表)이다. 호적표는 1896년(건양 1)에 조선왕조의 구호적과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작성하게 된 대한 제국의 호적부 양식으로 광무 연간 직전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광무연간에 주로 시행되었으므로 광무호적이라고 한다. 한 호에 한 장의 '호적표'를 작성하여 그것을 지역단위로 묶어서 책자로 편철하였다. 본 문서는 그 중 일부인 전남 강진군 고군내면 약산리 제4통 제3호에 거주했던 박재빈(본관 밀양)의 70세 당시 호적표이다. 그의 직업은 유업(儒業)이다. 생부, 조, 증조, 외조의 란에 기록이 되어 있으며 동거친속으로는 처 김씨, 아들 장현(章鉉), 그의 부인 김씨, 손자 윤원(潤瑗)과 그의 부인 김씨, 차손 윤통(潤統)과 윤성(潤成), 윤옥(潤玉)과 딸 1명(이름이 기재되지 않음)이 기재되어 있다. 고용하고 있던 사람으로는 남자 1명이 있었기에 총 인구가 남7, 여4, 합계 11로 기재되어 있다. 살고 있던 집은 자신의 소유 초가 3칸과, 빌린 초가 5칸으로 총 초가 8칸을 소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줄에는 광무 2년 2월에 군수 신성휴(申性休)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寄口: 男 口 女 口 雇傭: 男1口 女 口 現存人口: 男七口 女四口, 共合: 十一口 家宅 : 己有 瓦 間 草 三間, 借有 瓦 間 草五間, 共合: 八間 光武二年二月 日 郡守 申性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通喩事有善旌贈在昔國家之盛典有行薦揚伊今士林之公議也仄聞 貴郡故敦寕都正李圭行系出慶州麗朝文魁評理公諱仁挺后野隱先生進士諱永祐十一代孫 贈承旨諱仁㤠曾孫 贈兵參諱時濬孫 贈戶參諱普升子也斯人也簪纓世族詩礼故家自在孩提性賦純至動止言黙異於群兒年甫七歲遭內艱哭泣哀毁無異於老成事其嚴庭定省甘旨克敬克誠侍疾殫誠調藥祝天祈壽及其丁憂也年在二十八歲執喪之禮一遵古制葬盡其礼祭盡其誠豈不猗歟豈不嘆㢤其他恤窮濟貧之道信友敦族之義亦可謂至矣盡矣一鄕莫不稱善九族莫不感化鄙等其在好德之心聞不可含默故玆以敬通惟願 僉君子使此實行實蹟一一抄記編之綱錄載於郡誌以爲褒揚之地千萬幸甚右敬通于康津鄕校 僉座下乙丑八月日 全州鄕校發文多士 李震寕 柳東根 李錫龍 梁夏永 蘇輝鐸 鄭天源 柳鶴根 黃長顯 姜濟學 金昌鍵 高暢鎭 梁海純 崔銓亨 李周鎬 金敎璿 黃義贊 李禧鳳 林秉徹 李炳鐸 鄭淇朝 林仁淳 朴源奎 權喆壽 朴勝玉 柳道養 宋奎鎭 朴喜東 柳培根 金榮薫 李仁徽 宋文楀 鄭一亮[全州鄕校齋所](피봉)〈前〉康津鄕校 僉座下全州鄕校 敬通〈後〉乙丑八月 日[全州鄕校齋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