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八年古今鎭里戶籍戶鰥夫張至誠年五十二丁酉本仁同父學生 大運祖折衝 武良曾祖學生 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年十五己亥八月日[帖][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古今鎭里癸卯式戶口單子戶鰥夫張龍年六十四庚子本仁同父學生 大運祖折衝 武良曾祖學生 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等準印率女年二十七出嫁 壬寅九月日[周挾字改印] 【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4년 장대윤(張大允)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大允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4년(영조50) 강진현(康津縣)에서 장대윤(張大允)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774년(영조50) 강진현에서 갑오년(1774)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대윤의 준호구이다. 고금진리(古今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대윤은 현재 30세이고 직역은 대변군관(待變軍官)이며,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 절충장군(折衝將軍) 장무량(張武良)은 71세로 생존해 있으며, 조부는 장홍(張弘), 증조부는 장덕룡(張德龍), 외조부는 본관이 김해인 김애현(金愛賢)이다. 아내인 이천서씨(利川徐氏)는 사망하여 고(故)라고 기재하였고, 이어서 후처(後妻)인 김해김씨(金海金氏)를 기재하였는데 현재 30세이다. 이어서 김해김씨의 사조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김위재(金渭載), 조부는 김천석(金天碩), 증조부는 김애명(金愛明), 외조부는 정무선(鄭武善)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함께 살고 있던 아우 장대운(張大雲)은 분가하였다. 처 김해김씨의 외조부인 정무선은 다른 장대윤의 호구문서에는 정무현(鄭武賢)으로 기재되어 있어 오자(誤字)로 추정된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는데 흐릿하여 확실치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孺人 氏贈淑夫人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通政大夫行敦寧府都正 曾祖妣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桂枝凉生 中元載屆 謹伏審新秋姑母夫氣體候 一向萬安 而兄氣居侍餘無恙否仰溸區區無任之祝耳外從弟 侍省僅依 伏幸何達 就白所送之物 若干表情考納焉 餘不備伏惟七月十四日 外從弟 金判童拜上【피봉】〈前面〉日谷里盧生員 內從兄 軫永氏殿〈後面〉大村里謹候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李 生員 太字 沃字 宅 侍下人開坼告目 新基惶恐伏地問安是白乎旀本 祠今秋例丁 享以今月二十二日故奠爵以生員主啣字望緣由告課詮次爲臥乎事癸亥九月日杏亭祠庫直小人崔奉九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告目恐鑑伏地問 安爲白乎旀伏以 本院卽道 院也院長院貳以京宰相付啣是遣執綱掌議色掌有司以道內雅操謹飭之士付啣由來 院規故今番道會時士林公議均符爲臥以 生員主本院道內執綱之任薦望而望帖修正封上爲乎尼特借華啣今番朔焚香時 行次于本院爲是臥祗謁奉審之意緣由告課詮次李 生員 主 前己巳十一月十五日武城書院西齋 張大榮 姜炳善 裵道三 徐寶培 吳應七 等告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武城書院道內色掌 望幼學 李太沃 薦居康津郡鵲川面內基里原 甲子八月 日[儒會所印]儒會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拜頌迓新后,貴體淸穆하심을 仰賀이오며 生依遣하니 良覺 尊念攸愛이외다. 就雖欲一次窮晋叙話나 自因冗事하야 未遂淺忱.故로 敢以片楮玆修禮辭하노이다. 餘日后更告,不備上.丁卯元月九日, 小生 崔相鉉 拜拜.[圓形朱印:최샹현]盧 軫永 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本村面 日谷里盧軫永氏親展(피봉_뒷면)光州郡 光州面 楊林里 一五七番地崔相鉉(簡紙)謹拜審新元貴體節萬安, 仰頌區區. 生依劣已耳. 就告 貴族盧光明君勸送于貴邊, 是望耳. 有所議事中, 生若直接請座, 似或不應,故如是替告耳. 餘留, 不備上.戊辰正月十四日, 生 崔相鉉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本村面 日谷里盧 軫永 氏(피봉_뒷면)光州郡 光州面 楊林里 一五七番地崔 相 鉉(簡紙)謹更惟日來貴體萬安하심을 仰祝이오며 小生은 多蒙愛護하와 一如前樣ᄒᆞ니 伏幸이오다. 就告, 道評議員選擧時에 小生의 名義로 投票하여쥬시긔를 敢請하오니 雖曰無慮이오나 然而特垂愛護中更加贊成인ᄃᆡ 豈非謀忠上積陰乎? 餘日后面拜次 不備謹上.丁卯元月十五日, 小生 崔相鉉 拜. [圓形朱印: 崔相鉉]盧 軫永 氏(名啣)崔相鉉최상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本村面 日谷里盧 軫永 氏宅親展(피봉_뒷면)光州郡 坪底里金炳周戊辰陰二月十四日 星煥持參稽(簡紙)昭和三年 參月 四日 光州驛前 罪弟 金炳周 二拜疏上盧軫永 殿稽上拜言. 書候積年情仰葛極. 謹詢仲春,侍體候隨序萬重, 大少寶閤均寧, 溸仰區區, 誠祝不任. 罪弟昨秋嚴親之別世後, 仍罹病魔矣. 近纔奏効, 幸須煩陳. 就悚, 每以煩說累貽, 實爲不安莫甚. 久未得出入中, 且以病魔這間受困, 一不成言, 這間整理書件不少, 爲先多少之所費至急, 故想仰吾兄之高誼, 鄙兒星煥, 玆敢冒廉仰告, 金五拾圓, 某條另念周旋 惠借, 則閏貳月末日當晋拜完還矣. 幸垂 大惠千切企切企耳. 餘略此, 不備謹疏上.追伸, 昨秋訃告, 幸以傳覽否? 前記畧仰告, 姑未盡皆充數, 依其 吾兄之可及的周旋, 多少間使爲補給, 若何若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六月十八日盧軫永殿 光州驛前 金柄周 弟 二拜昨賜惠復 今更鄭重之敎 又以賜訪 感悚無量耳 謹審侍餘愼候 向以蘇寧 寶節均仁 仰慰仰慰 弟狀依保已耳 就悚昨以專仰件 係在面議之事 而非拜難爲傳告 以此紙存問 以近郊旅行 保健上 亦爲無妨 稟告于令椿丈後少待愼候之平復 一賜光寵 若何若何 餘在拜不備謹謝【피봉】〈前面〉日谷盧軫永大兄〈後面〉邑內城底里謹 金柄周六月十八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신축년 이양도(李良都), 양대겸(梁大兼)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李良都 李良都<着名>, 梁大兼<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이양도(李良都)와 양대겸(梁大兼)이 상대방의 사양산(私養山)에 있는 이토(泥土)의 한계를 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작성한 수표 신축년 8월 22일에 이양도와 양대겸이 작성한 수표이다. 상대방이 금호(禁護)하고 있는 사양산(私養山)의 산소에 있는 진흙[泥土]에 대해서 가운데 길의 서쪽을 경계로 향후 경계를 넘어가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내용이다. 수표의 수신자는 장씨가(張氏家)로 추정되지만 명시되어 있지 않아 분명치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장계득(張啓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啓得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7년(순조7) 강진현(康津縣)에서 장계득(張戒得)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07년(순조7) 강진현에서 정묘년(1807)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계득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계득은 현재 42세인 홀아비[鰥夫]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천익(張天翼),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서공명(徐公明)으로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홀아비이기 때문에 처(妻)에 대한 정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장계철(張啓哲)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張啓哲 康津縣監<着押>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7)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7년(순조7) 강진현(康津縣)에서 장계철(張啓哲)의 인적사항을 호적대장에서 베껴 발급한 준호구 1807년(순조7) 강진현에서 정묘년(1807)의 호적대장을 참고하여 발급한 장계철의 준호구이다. 고금도(古今島) 진리(鎭里)에 거주하는 호주 장계철은 현재 34세인 홀아비[鰥夫]이고 본관은 인동(仁同)이다. 이어서 사조(四祖)가 기재되어 있는데, 아버지는 장대운(張大運)으로 현재 58세로 동거하고 있으므로 이름 앞에 봉부(奉父)로 표시하였고, 조부는 절충장군 장무량(張武良), 증조부는 장홍(張弘), 외조부는 가선대부 추상련(秋尙連)이다. 모시고 사는 어머니 추씨(秋氏)는 58세이고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맨 뒷부분에 행현감(行縣監)의 압(押)과 관인(官印)이 찍혀 있고, 장방형의 주협자개인(周挾字改印)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4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下棺 시간, 墓穴, 啓殯, 開土 시간, 破墓 일짜, 發引, 停喪 방향, 歲壓, 呼冲 등 기록 *亡人: 坤仙命甲申水 *安葬日: 丙午十二月十一日癸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5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정미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이다. 정미생 아내는 생존해 있으며, 무진생인 장자가 주상(主喪)이고, 무진년 맏며느리부터 차자(次子)와 각 부인, 그리고 각 자손들이 기록되어 있다. 먼저 장산(葬山)의 방위와 좌향 등이 적혀 있고, 안장(安葬)은 무신년 11월 21일 계묘일이다. 참초(斬草)와 개토(開土) 일시는 진시(辰時)이고, 하관(下棺)은 오시(午時)이며, 취토(取土)와 정상(停喪)은 임방(壬方)이다.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호충(呼冲)을 여기서는 이충(二冲)으로 표시했는데, 정사생, 병진생, 신미생 사람이다.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쓰는 사과(四課)는 조명(造命)이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는 무신년 갑자월 계묘일 무오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標右標事公債出處無路故抵水坪田一斗落麥需折半一年落種爲去乎價折二兩五戔右人前放賣爲去乎日後若有相爻則以此憑告事丁丑三月二十一日標主金日宗[着名]證筆金淳伍[着名]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