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윤덕삼(尹德三)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尹德三 張文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윤덕삼(尹德三)이 장문수(張文秀)에게 보낸 간찰 부형(婦兄)인 윤덕삼(尹德三)이 아내의 동생인 장문수(張文秀)에게 보낸 간찰이다. 연도는 알 수 없지만 본문 내용 가운데 중추(仲秋)라고 하였으므로 음력 8월 17일에 보낸 편지이다. 처남인 장문수의 안부를 물으면서 효리(孝履)라고 한 것으로 보아 장문수는 상중(喪中)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편지의 용건은 장문수가 살고 있는 신지면(薪智面) 신정리(新亭里)에 혹시 황소를 살만한 곳이 있는지 알아보고, 값의 많고 적음을 따지지 말고 한 마리를 흥정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만일 거래가 성사되면 상대방 마을에 사는 한 사람과 같이 가서 끌고 자신에게 보내주면 소 값은 그 사람 편에 보내줄 계획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자년 우익(友益)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友益 張文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자년에 우익(友益)이 사돈인 장문수(張文秀)에게 보낸 간찰 임자년 3월에 우익(友益)이 사돈인 장문수(張文秀)에게 보낸 간찰이다. 우익이 자신에게 긴급한 일이 있어서 아이를 보내니 20원을 적극 주선하여 보내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이다. 장문수와는 사돈지간이지만 체면을 돌아볼 겨를이 없을 정도로 긴급하고, 어려서부터 정을 나누던 사이이니 힘써주기를 당부하였다. 염치없지만 아이를 보내니 20원을 적극 주선하여 주기를 당부하였다. 만일 힘이 부친다면 다만 몇 원이라도 빌려주기를 바란다고 하였고, 나머지 이야기는 나중에 직접 뵙고 말씀드리겠다는 말을 덧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日谷盧生員 軫永氏 侍案回納日谷 謹謝函(簡紙)料外 貴使入門, 兼拜 情書, 如對面話. 謹詢臘沍,堂上氣候連爲安寧, 而省體度安相云, 實慰所溸. 弟侍下劣狀如昨, 幸而煩凂. 就所送物, 何如是過念耶. 手以受之,心自愧也. 所托齒瘇은 用藥頻數에 未早生新ᄒᆞ니 自治用藥之度은 間五六日ᄒᆞ야 用之ᄒᆞ면 如有速效 故로 如是ᄒᆞ니 勿疑亦可宜乎져. 餘在歲後奉討. 謹不備 謝例.丁卯蜡月晦日, 弟 朴昌錫 拜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本村面 日谷里盧軫永 展(피봉_뒷면)陵山里 場所內.(簡紙)謹拜白菊晩貴體候益之康旺. 就今月三十日本契會想應諒存矣. 事務去益浩大, 更加銘念, 伊日午前九時, 一齊 光臨之地, 伏望.丁卯九月二十二日, 講信有司 宋景燮, 李桂龍, 朴鳳煥, 金容九.盧軫永 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鱗次付書 仰想入覽矣 謹不審比天兄體萬旺 仁庇均休 仰頌耳矣 弟功服人 依劣而已 就先生事庶有就緖之希望 然院儒林言內 所謂院享需費二百円承諾 擧事前延拖無信 則大事何以爲圖云 弟亦聞不勝悚然昌皮也 無論某事 先買其心然後 大事成矣 千秋血食之事 豈可容易云耶哉 伊來弟則爲先生事 非但熱誠熱血 脣舌庶至於弊矣 兄雖百難中 那藥火速付送 如何如何 付金方法 以十円貨幷入於兼書封套中 重爲堅封 以入文字表記 以書類付送 如何如何 天引貯金關係故耳 海諒焉 餘立俟回示 不備上【피봉】〈前面〉光州府大正町一一二▣…▣軫永兄殿〈後面〉井邑郡七寶面二里 金成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向日惠書 尙稽修謝 因於家故而然矣 悚悚何旣 近遭妻父喪 五日後歸家 事無頭緖 浩歎奈何 二百円金卽注給於金煥相 則緊感爲言 春享祭需預料矣 何等感祝者也 先生事 庶有希望 而另力爲圖矣通狀則善作云矣 速整后 弟當出脚計耳 以先生事近得大夢矣 而射峕陳達矣 謹從審兄體萬旺 寶節均休 仰頌且慰耳矣 弟功服人 方以寒感 委席呌苦 自憐耳 餘擾不備謝上甲申二月八日 弟功服人 金成基拜謝【피봉】〈前面〉光州府大正町一一二▣…▣軫永殿〈後面〉井邑郡七寶面二里 金成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六月十七日盧軫永 殿 光州驛前 金柄周 弟 二拜於焉 愆候何至一序萬綠遷紅 令人痛感耳 謹維庚天侍餘體宇 隨序萬福椿丈令起居 一如康寧 倂仰素區區不任誠禱 弟狀客况辛酸中 惟以鄕奇無間爲幸 就悚急以躳進擬慰這間之愆懷矣 不况病魔之餘出入不便中 期有絮絮之仰議件 以此專告農機之煩 省侍之情况 想以難便不無 幸須暫限一宿之預定 惠啓枉 以副仰望千切企企耳 餘爲此不備謹候【피봉】〈前面〉日谷盧軫永例哥親展〈後面〉邑內城底里緘 金柄周六月十七日 專仰專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國哀普慟 方此懷仰之際承拜惠書 如獲良覿 且審侍餘棣履連享安康 諸致均吉 深用慰釋 記末老病日益生 杜門呻囈 萬念灰冷 已極自憐 而家季所愼 終不夬去 去事憂遑 顧安有一分佳緖耶 歲儀依受 而尙稽一進展誠 坐受其禮極用愧赧 賤疾若不添加則春享時 必擬進參 第未知此計成否也 惟冀餞迓增休 不備尊照 謹謝書癸卯臘月卄二日 記下{土+翕}拜此去通章 卽梅江新院所送 吾黨各院 在在寄呈 奉安時必爲賁臨 如何仁山書院 則自其處傳送 切望切望【피봉】玉溪侍座執事回納中坪謝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意中承拜華牘 可適良覿 矧審深秋侍候晏重 何等慰釋 記下去七晦 偶得寒熱之症 而謂是一時草痁矣 轉成間二日之瘧 見方逐次苦痛 若不離却 則勢將死外無策 今方多般藥治 而姑不見效 食輔最上云 而家乏不能生意 這間情狀何可枚擧 今番享禮 大擬進參矣 病故如是 又不能遂誠亦區一番暢懷 大有數焉 安望其盡燭耶 病伏胡草 不備謝禮尊照甲辰八月念七 記下{土+翕}拜謝方欲買藥材 而家無分錢故來錢四兩中二兩 不得已落置 事甚沒廉 而或可恕諒耶 若得離却 則明春必進參 其時行資二兩 勿爲付送也 當自此備去耳 不勝愧恧【피봉】安叟兄侍案執事成弟候狀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向月相別 於心茹悵 有如呑物未化 謹未審昊天酷甚侍體候增衛萬康 閤內諸儀 一如枚迪 伏爲賀拱祝 弟近以暑感 數日呌苦 今纔稍效耳 第土地事 盛唾如是珍重 而鄙地近坪五斗落 賣渡處有之 則價文七百四拾五圓予定也 其於親切間情悅 何以任語耶 如有意向 則來月初旬間 如何間回示 伏望伏望 餘立俟德音 謹不備伏惟六月二十五日 高光說 弟百拜上【피봉】〈前面〉光州府大正町一一二番地盧軫永氏宅羅州郡旺谷面新院里 黃龍基方〈後面〉長城郡東化面松溪里高光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31년 무성서원유회소(武城書院儒會所)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茂城書院儒會所 李鍾聲 茂城書院 2顆(흑색, 직방형, 7×4.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59_001 1931년 11월에 무성서원유회소에서 유학 이종성을 본원의 도내훈장 후보로 추천한 문서 1924년 11월에 무성서원(武城書院)의 유림도회소[유회소]에서 강진군 작천면(鵲川面) 내기리(內基里)에 사는 유학 이종성(李鍾聲)을 무성서원의 도내훈장(道內訓長) 후보로 추천한 문서이다. 문서의 발급날짜 등에 '무성서원(武城書院)' 묵인(墨印)이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2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54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82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54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박재빈(朴載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康津縣監 朴載彬 康津縣監 <着押> 帖子印, 周挾字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5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57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1885년에 康津縣監이 幼學 朴載彬(57세)에게 발급한 準戶口. *父 學生 千益 祖 學生 碓俊 曾祖 學生 師正 外祖 學生 金龍郁 *주소: 古郡內面 朴東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29년 무성서원유림도회소(武城書院儒林道會所)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茂城書院儒林道會所 李鍾聲 茂城書院 2顆(흑색, 직방형, 7×4.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59_001 1929년 11월에 무성서원의 유림도회소에서 유학 이종성을 본원의 도내집강 후보로 추천한 문서 1924년 11월에 무성서원의 유림도회소(儒林道會所)에서 강진군 작천면(鵲川面) 내기리(內基里)에 사는 유학 이종성(李鍾聲)을 무성서원의 도내집강(道內執綱) 후보로 추천한 문서이다. 발급날짜에 '유회소인(儒會所印)' 묵인(墨印)이 찍혀있다. 직임인 '집강'과 문서의 발급날짜 위에 '무성서원(武城書院)' 묵인(墨印)이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진년 최완(崔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崔琬 李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진년 2월 19일에 경북 선산에서 타향살이 중인 최완이 옥산의 이 생원에게 자신의 힘든 객지 생활의 신산스러움과 상대방을 만날 기약이 없어 서글픈 심정 등을 전한 간찰 임진년 2월 19일에 경북 선산(善山)에서 타향살이 중인 최완이 옥산(玉山)의 이 생원에게 자신의 힘든 객지 생활의 신산스러움과 상대방을 만날 기약이 없어 서글픈 심정 등을 전한 간찰이다. 사장(沙場)에서 한번 헤어진 뒤 몇 년이 지났으니 종종 그리워하는 심정은 서로 같을 것이라는 내용, 뜻밖에 상대방의 동생을 만나 상대방의 소식을 듣고 겸하여 어버이 모시며 지내는 안부가 편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매우 위로되고 그립다는 내용, 자신은 객지 생활의 괴로움이 갈수록 더욱 힘들어지고 있어 스스로 답답하지만 어찌하겠느냐는 내용, 상대방을 만날 기약이 없을 듯하니 편지를 쓰고 있는 심정이 곱절이나 서글퍼진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阻懷此久 歲色垂盡 方此耿耿意中 承拜惠札 欣倒之餘 謹審侍餘棣履晏重 已極慰賀而覆科之嵬參 尤用仰忭 記末所患瘧疾 中間似有離却之漸矣 自去月望後 又此復發 逐直苦痛 百藥無效 憂悶可言 歲儀荷此專送極用感僕 而春秋享禮 一未進參 每切不安 鄙病若得差可於春和 則享礼時必擬進參耳 歲除不遠 惟冀餞迓增休 不宣謝儀尊照甲辰臘月卄三日 記末{土+翕}拜謝家兒適値出外耳【피봉】章山 李碩士侍座回納中坪謝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歲色紗薄 懷仰益切謹詢際玆臘寒棣床啓居珍謐 大小家節宣均慶 允郞穩侍篤課 村井之間亦淸淨否 仰溸區區且祝 査弟劣狀依遣 諸集無頉 侄阿亦荷庇善過 是可爲幸 而第恨此世奔擾 凡百沒無頭緖 將何爲哉 坐待枉臨 雖是未安 未知那間得穩攄底懷耶 再邀例也當前此送伻而依敎 今邀或可量恕否 餘不宣式己未臘月二十四日 査弟金炯鎭二拜【피봉】謹拜上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사년 심의조(沈宜朝)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沈宜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사년 8월 8일에 심의조가 옥계에 살고 있는 상대방에게 과거시험 뒤에 있을 향례에 별 탈이 없으면 자신이 있는 곳에서 출발할 예정이라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사년 8월 8일에 심의조가 옥계(玉溪)에 살고 있는 상대방에게 과거시험 뒤에 있을 향례에 별 탈이 없으면 자신이 있는 곳에서 출발할 예정이라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뜻밖에 상대방의 편지를 받고 서늘한 가을에 어버이 모시는 안부가 평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매우 위로된다는 내용, 자신은 한여름을 겪어내며 무더위에 지쳐 정신이 혼미해졌는데 남은 증세가 여전하여 가을이 됐는데도 소생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 자신이 이미 원임(院任)을 맡고 있어 한 번 공무를 행하는 것은 그만둘 수 없는 형세인데, 또 향례가 과거시험 뒤에 있다고 하고 그때의 기후도 적절하므로 향례에 참석하려고는 하지만 병이 없고 별 탈이 없는 것에 달려 있으므로 자신도 스스로 기약할 수 없으니 원중(院中) 또한 미리 기다릴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때에 자신이 만약 갈 수 있는 형편이 된다면 이곳에서 출발하여 원예(院隸)가 한번 왕례하는 폐단을 제거할 수 있으니 이것을 헤아려 달라는 내용, 여러 종의 명절 선물은 잘 도착했는데 헛대이 직명(職名)만 맡은 채 앉아서 규례대로 선물을 받는 것도 매우 편치 않다는 내용, 농사가 충해와 가뭄의 피해를 입어 벼이삭이 늦게 피어 큰 걱정이라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落落相居 便風莫憑 瞻咏方切 匪意獲拜惠札 謹審秋涼侍候衛重 區區慰仰 不啻尋常 弟三夏經過 困暑昏頓 餘症尙爾 逢秋未蘇 自是衰相 奈何 第旣帶院 一番行公 勢當不已 而且聞○享礼旣在科後 且其時節候 寒暖適宜 擬欲趍進 而盖此行只係不病無故 則當者亦不能自期則 院中亦不必預待 第當其時如有可圖之勢 則當自此治發而 可除院隸一番徃來之弊 ■(而)〔以〕是俯諒 如何如何節儀各種依到 而虛帶任名 坐受例饋 亦甚不安耳 年事此亦幷被虫旱之損 發穟差晩 人情惶恐實非細憂也餘漏萬略此不備 伏惟尊照 謹謝狀乙巳八月八日 沈宜朝 拜(皮封)玉溪○侍座執事東谿謝狀 [着名] 拜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4년 정순묵(鄭淳默)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鄭淳默 盧鍾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 7월 4일에 사생 정순묵이 사돈 노종룡의 손자 죽음을 위로하는 내용으로 보낸 위문 서간. 1924년 7월 4일에 사생(査生) 정순묵(鄭淳默)이 사돈 노종룡(盧鍾龍, 1856~1940)의 손자 죽음을 위로하는 내용으로 보낸 위문 서간(書簡)이다. 덕문(德門)에 무슨 뜻밖의 일이냐며 탄식하고 이치(理)는 헤아리기가 어렵고, 하늘(天)은 누가 어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자애로운 사돈이 어지 견딜지 걱정하며 변화에 순응하기 위해 슬픔을 절제하고 건강을 잘 유지해서 문호(門戶)와 친구들의 바람을 위로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일이 이렇게 되었지만 위로 성현(聖賢)을 따라 모두 이치대로 보내야 한다고 했다. 자신은 어머니의 병환과 아내의 우환, 자식과 자신의 병이 여러 날 동안 이어진다고 전했다. 병이 낫고, 더위가 좀 덜해지면 찾아뵙겠다고 인사하고 편지를 마쳤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