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九年 月日 羅州牧考己酉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恩村住第二統第六戶閒良金聖仁故代達五年四十一己巳 本 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閑良 朴得大 本密陽妻黃姓年三十六甲戌 本長水父閑良 碩用祖閑良 憲曾祖閑良 無知外祖閑良 鄭美 本慶州率弟達表年二十四丁亥 丙午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羅成采 行郡守<押> □…□(6.5×6.5),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20_001 1819년(순조19)에 영암군(靈巖郡)에서 나성채(羅成采, 3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19년(순조19)에 영암군에서 북일시면 냉천동(현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39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두남(羅斗南)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41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용득(羅龍得)으로 나이는 12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채덕(采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四年己卯月日 靈巖郡考丙子戶口成籍帳內 北一始面永保冷泉洞里 第一統統首羅成采第一戶 幼學羅成采 年三十九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斗南外祖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四十一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本綿城率子龍得年十二戊辰賤口秩 仰役婢采德年三十等 丙子戶口自首者行郡守[署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燾臣 牧使<押> □…□(7.0×7.0),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20_001 1894년(고종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도신(羅燾臣, 4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94년(고종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용두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안창동)에 사는 나도일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도운(羅燾雲)은 42세이고, 정미년(1847)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후집(羅厚集)이고, 조부는 나시완(羅時完)이며, 증조부는 나성채(羅聖采)이다. 외조부는 이현빈(李顯彬)이고, 본관은 함풍(咸豊)이다. 아내는 정씨(鄭氏)로, 48세이고, 정미년(1847)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정씨의 아버지는 정인혁(鄭仁赫)이고, 조부는 정기표(鄭基杓)이며, 증조부는 정인운(鄭麟運)이다. 외조부는 양석포(梁錫圃)이고, 본관은 제주이다. 아들은 나휘서(羅徽瑞)이고, 무진년(186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十年 月 日 羅州牧考甲午成籍戶口帳內新村面龍頭里住第一統第一戶幼學羅燾臣年四十八丁未 本羅州父學生厚集祖幼學時完曾祖學生聖采外祖學生李顯彬 本咸豊妻鄭氏齡四十八丁未 籍羅州父幼學仁赫祖學生基杓曾祖學生麟運外祖學生梁錫圃 本濟州 率子徽瑞年戊辰仰役婢永德甲寅生等 甲午戶口自首者行牧使[관인] 1[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허복일(許福一)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昌平縣監 許福一 行縣令<押> □…□(6.8×6.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4년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허복일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94년(고종 31)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허복일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허복일의 거주지는 창평현(昌平縣) 동서면(東西面) 화성리(花城里)이고 오가작통 순번은 제1통 1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39세 병진생(丙辰生)이며,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허복일의 사조(四祖)는 생부(生父) 학생 윤({玉+侖}), 양부(養父) 학생 영(瑛), 할아버지 학생 창(淐), 증조(曾祖)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 집두(集斗), 외조(外祖) 학생 남병두(南柄斗)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허복일의 아내 이씨는 나이 22세 계유생(癸酉生)이고 본관은 함평(咸平)이다. 이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찬서(爘緖), 할아버지 학생 유홍(儒洪), 증조(曾祖) 학생 석운(錫運), 외조 학생 고제룡(高濟龍) 본관은 장흥(長興)이다. 이외 가족으로 어머니 남씨(南氏) 나이 60세 을미생(乙未生)이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종 채례(采禮)가 있다. 이 문서의 작성연호로 표기되어 있는 '광서십구(光緖十九)'는 갑오년(甲午年)인 '광서이십(光緖二十)'의 오자(誤字)로 추정된다. 호적개정은 자·오·묘·유자(子·午·卯·酉子) 식년(式年)이지만 광서 19년은 계사년(癸巳年)이며, 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허복일과 가족의 생년과 나이를 계산하면 갑오년인 1894년이다. 또한 허복일이 호구단자를 제출한 연도를 표기한 '신묘식(辛卯式)'은 1891년 이전 호적개정 식년이므로 '갑오식(甲午式)'의 오자로 추정된다. 이 문서에 '호적단자(戶籍單子)'라고 적혀 있고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창평현령의 서압(署押)과 관인(官印)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가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허복일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八年月日 羅州牧考戊子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四統第二戶幼學羅聖采年四十八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明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五十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二十一戊辰仰役秩 奴永德年甲寅 婢采德年三十四等 戊子戶口相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언간규식서(諺簡規式書)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미상 孫女 等 祖父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한글 편지 곧 언간(諺簡)의 규식을 모아서 수록한 서적 한글 편지 곧 언간(諺簡)의 규식을 모은 언간규식서(諺簡規式書)이다. 한글 편지 규식 7건과 함께 한글 가사(歌辭) 2편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한글 편지는 시집간 손녀[손여]가 할아버지[ᄒᆞᆫ아바님]에게 쓴 편지, 조부가 시집간 손녀[손여]에게 쓴 답장, 시집간 손녀[손여]가 할머니[ᄒᆞᆫ마님]에게 쓴 편지, 시집간 딸[여식]이 어머니[어마님]에게 쓴 편지, 시집간 여동생[ᄉᆞᄆᆡ]이 오빠[형님]에게 쓴 편지, 시집간 여동생[ᄉᆞᄆᆡ]에게 쓴 답장, 딸을 시집보낸 부인이 사위를 보내달라는 내용으로 사돈에게 쓴 편지가 차례로 수록되어 있는데, 5장 반 분량으로 기록되어 있다. 모두 혼인한 여성이 한글로 편지를 쓸 때 긴요하게 쓸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각 편지의 앞부분에는 'ᄒᆞᆫ아바님젼 상셔'와 같이 수신자가 명시되어 있고, 뒷부분에는 '연 월 일 손여 살이'와 같이 일자 미상의 발급일과 발신자가 명시되어 있다. 한글 가사는 '형제상별가(兄弟相別歌)[우리 형제 ᄉᆞᆼ별가]'가 2장, '회심곡(回心曲)'이 6장 분량으로 기록되어 있다. 형제상별가는 혼인으로 인해 이별하게 된 형제가 갑오년의 동학농민운동, 정미년 의병 등 국난을 겪은 뒤 형의 나이 60세에 다시 만났다가 헤어진 뒤의 설움을 기록한 것이다. '회심곡'은 병들어 죽을 때의 모습, 저승사자를 따라가 죄의 경중에 따라 재판을 받는 모습 등 죽음과 관련된 불교적인 세계관을 표현한 내용이다. 마지막에는 '쓰기 싫어서 글씨가 괴상하다.[쓰기 실허 글씨 가괴〃〃 ᄒᆞ노라]'라는 문구로 끝맺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分金丁酉丁卯安葬戊申十一月十九己丑下棺巳時穴深從生土開土安金十一月十八日未時取土壬丙方破墓十一月十八日未時西先破發引隨便停柩立伏壬丙方呼冲丁未乙未己未等生人下棺時小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송영수(宋永壽)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潭陽府使 宋永壽 行府使<押> □…□(7.5×7.5),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8년 담양부에서 호주 송영수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88년(고종 25) 담양부에서 호주 송영수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송영수의 거주지는 담양부(潭陽府) 고지산면(古之山面) 외추동(外楸洞)이다. 직역은 유학이고 올해 나이는 33세 을묘생(乙卯生)이며, 본관은 신평(新平)이다. 송영수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각현(珏鉉), 할아버지 통훈대부 행사헌부지평(通訓大夫行司憲府持平) 돈(燉), 증조(曾祖) 통훈대부 행고부군수 전주진관 병마동첨절제사(通訓大夫行古阜郡守全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 문집(文楫), 외조(外祖) 학생 남성엽(南成燁)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송영수의 아내 이씨(李氏)는 나이 25세 계해생(癸亥生)이고 본관은 함풍(咸豊)이다. 이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정헌(㝎憲), 할아버지 학생 돈수(敦秀), 증조(曾祖) 학생 대서(大緖), 외조 학생 이종윤(李鍾潤) 본관은 원주(原州)이다. 소유하고 있는 종 시월[十月]이와 도망간 여종 귀례(貴禮)가 있다. 문서에는 담양부사(潭陽府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이 찍혀있으며, '창색(唱色)'과 '준색(凖色)'이 쓰여 있으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창색은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읽어주는 사람을 의미하고, 준색은 대조를 맡은 사람을 의미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四年 月 日 羅州牧考甲午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四統第一戶幼學羅聖采年五十四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命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五十六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二十七戊辰仰役秩 婢永德年甲寅等 甲午戶口相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병술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이다. 갑신생 아내는 생존해 있으며, 정미생인 아들과 며느리를 주상(主喪)으로 적었고, 차자(次子) 넷의 간지만 쓰고 다른 자손들은 적지 않았다. 묫자리인 장산(葬山)의 방위와 좌향을 적었고 산지의 연운(年運)을 표시하였다. 안장(安葬)하는 날짜는 9월 15일, 하관(下棺)은 자시(子時)이다. 정상(停喪), 입복(立伏), 취토(取土)는 임병(任丙) 방향이고, 조궁(釣弓)과 세압(歲押)은 거리낄 것이 없다고 하였다.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호충(呼冲)은 신사생, 신미생, 을미생 사람은 하관(下棺)할 때 피하라고 되어 있다.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쓰는 사과(四課)는 조명(造命)이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는 정묘년 경술월 을축일 병자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乾化命丙戌土 主喪丁未 次甲寅辛亥辛酉甲子坤生命甲申水 婦丁未葬山坎癸龍壬亥落脉丑艮作局丑入首艮坐坤向辛酉巽得丁破運正甲辰火 泊在中宮 黃天氣戊土司令洪丁未水分金丁丑水 地山謙卦 十一日至十五六丁明氣到穴透地戊寅土命空庚寅辰卯 刑癸未 劫丁亥 梟甲寅 嗔丁巳 刃辛亥辛酉午未 癸丑 癸亥 甲申 癸巳 壬午七条丙辰 怕庚申 消庚申 遊戊寅 旬十日 箭寅申月日時壬辰 辛酉 壬午官癸酉 印乙卯 財辛巳 福戊午 彔乙巳 馬丙申癸卯 乙巳 辛亥 戊子 己巳 戊申貴己酉己亥 六儀申子辰 子丑寅辰巳午戌乙酉乙亥 寅午戌 胎養生官冠旺庫開土 冬月十四日寅時安金 從便啓■殯同月十四日巳時南先破發{車+引} 隨時安葬 九月十五日■■乙丑下棺 子時穴深 四尺一寸停喪立伏 壬丙方取土釣弓 無忌歲押呼冲 ■■■■■■〔戊午甲子庚子〕辛巳辛未乙未生人下棺時少避四課 根丁卯火枝庚戌金花乙丑金實丙子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康熙四十五年丙戌二月二十七日 子女等處 衿給明文右文爲區處事 顧余命道窮簿 家翁謝世 而日月荏苒 再朞此過 罔極之▣(痛) ▣▣▣(不忍言)是在果 家翁只有前室所生兩女 而不幸無嗣是如可 晩得繼子▣使先祀有托 而未及處置家事 ▣▣▣幽明之憾 尤如何哉 家翁臨終之時祭位條及子女處分給田民曲折 使甥姪金瓚執筆條列爲有如乎 一依家翁遺意 子女處衿給成文是在果 前室亡子晩復段置 亦不無祭位 故其位畓後錄爲去乎 日後如有雜談之弊 則持此卞正事家翁考妣祭位條婢己化二所生婢次香年十八己巳 三所生奴次生年十三甲戌 大安路下黃字畓六斗落二十六卜九束 東門外冬字畓路下七斗落 路上二斗落 並四十一卜一束 南門外閏字田太六斗落二作 並三十四卜八束 川越淡字田牟九斗落十四卜二束 家垈地字田三作 並四十四卜八束 南山底天字田三卜三束 印 此祭位条 則家翁先妣 曾已區處定出 而無成文之事乙仍于 並錄於此文中家翁內外祭位條婢己化一所生奴仁生年二十六辛酉 伏巖己字畓七斗落三十五卜七束 能字畓三斗落十一卜五束 得字畓四斗落十四卜七束 欲字畓七斗落二十六卜六束 印家翁前室亡子晩復祭位條曲江松亭坪松字畓十二斗落三十二卜五束內西邊■■■■■■■(二斗落五卜五束) 南平德谷面萬淵坊築底字畓七斗落內下邊二斗落 印 ■■■■■■■■■■■■■■■■■■■■■■■■■■■■■■■■■■■■■■■■■■■■■■■■■■■■■■■■■■■■■■■■■■■■■(此南平畓二斗落段 余之同生兄克梅請以 桃川畓二斗落隨便相換 故先以南平畓成文以給 而桃川畓 則尙未及捧相換明文是置 從後捧明文次知 故如許曲折 並爲載錄事長女婿學生高璟衿買得婢好禮年二十五壬戌 同婢一所生奴好生年四癸未 曲江面松亭坪事字畓五斗落十七卜四束 同坪松字畓十二斗落三十二卜五束內東邊五斗落十三卜五束豆叱洞髮字田二斗落七卜六束 松亭坪○字田一斗五升落 印 院後洞牟奴 ○字畓四斗落段 買得時 以渠之谷物給價 故特爲加給事次女婿幼學金壽益衿買得婢德伊年二十四癸亥 曲江面松亭坪松字畓五斗落十二卜二束 同坪松字畓十二斗落三十二卜五束內中邊五斗落十三卜五束 松亭舊基前田二斗落七卜六束 松亭坪○字田一斗五升落 印 此婢德伊段 雖以女婿名買得 而家翁生時 備給婢價 使之買得 故今爲載錄於分衿中 日後子孫中 勿以此致疑事子晩命衿買得奴武鶴年二十九戊午 婢金德一所生奴萬伊年五十一丙申 婢得香二所生奴牟老年三十三甲寅 買得婢桂月年四十八己亥 同婢一所生奴非里年十一丙子 二所生婢淡禮年八己卯 曲江面松亭坪■■■■■■■■■■■■■■■■■■■■■■■(事字畓二斗落 豆叱洞髮字畓十斗落四作 幷五十卜七束) 南平德谷面鐵冶坪雙橋下暑字畓七斗落二作 幷三十一卜四束 登乃村前洪字畓五斗落二十一卜七束 南平石面城基洞○字畓九斗落 堡坪文字畓七斗落二十九卜 印此亦中 家翁娚妹衿得田民 一遵家翁先妣處置分執已久 而遷延歲月 未及成文爲有如乎 今此成文時 家翁之諸甥姪 同參着名 則亦當以此後考事又此亦中 逃亡奴婢小名列書左下爲去乎 內外子孫中 推尋者 一半執持爲遣 其餘一半 則使孫執持 而一口叱分推尋 則都執宜當事逃奴婢買得奴禮奉年五十一丙申 買得婢接上年七十三甲戌 同婢一所生奴忠老年五十二乙未 買得奴夢立年五十丁酉 婢延西非一所生奴日龍六十九戊寅 二所生婢近介年三十八己酉 印又此亦中 伊老谷略干田畓 極爲零星乙仍于 不得分給於各衿是去乎 家翁前室亡子晩復 旣葬遠地 永作孤魂 情所可矜是在果 來頭將欲移葬於先壠之麓 其時賣用宜當事際財主 繼母 宜人李氏[圖署]證 家翁同姓八寸弟 生員 羅斗冬[着名]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珝[着名]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瓚[着名]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珽[着名]筆 家翁同姓七寸姪 幼學 羅晩運[着名]○ 연결문서1706년 의인이씨(宜人李氏) 분급문기(分給文記) 11706년 의인이씨(宜人李氏) 분급문기(分給文記) 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康熙四十五年丙戌二月二十七日 子女等處 衿給明文右文爲區處事 顧余命道窮簿 家翁謝世而 日月荏苒 再朞此過 罔極之痛 有不忍言是在果 家翁只有嫡室所生兩女 而不幸無嗣是如可 晩得繼子 可使先祀有托 而未及處置 家翁人事倏變 幽明之憾 尤如何哉 家翁臨終之時 祭位條及子女處 分給田民曲折 使甥姪金瓚執筆條列爲有如乎 一依家翁遺意 子女處衿給成文是在果 前室亡子晩服段置 亦不無祭位 故其位畓後錄爲去乎日後如有雜談之弊 則持此卞正事家翁考妣祭位條婢己化二所生婢次香年十八己巳 三所生奴次生年十三甲戌 大安路下黃字畓六斗落二十六卜九束東 門外冬字畓路下五斗落路上二斗落並四十一卜一束 南門外閏字田太六斗落二作並三十四卜八束 川越淡字田牟九斗落十四卜二束 家垈地字田三作並四十四卜八束 南山底天字田三卜三束 印此祭位条 則家翁先妣曾己區處定出 而無成文之事乙仍于 並錄於此文中家翁內外祭位條婢己化一所生奴仁生年二十六辛酉 伏巖己字畓七斗落三十五卜七束 能字畓三斗落十一卜五束 得字畓四斗落十四卜七束 欲字畓七斗落二十六卜六束 印家翁前室亡子晩復祭位條曲江松亭坪松字畓十二斗落三十二卜五束內西邊二斗落五卜五束 南平德谷面萬淵坊築底 字畓七斗落內下邊二斗落 印如許曲折並爲載錄事長女婿學生高璟衿買得婢好禮年二十五壬戌 同婢一所生奴好生年四癸未 曲江面松亭坪事字畓五斗落十七卜四束 同坪松字畓十二斗落三十二卜五束內東邊五斗落十三卜五束 豆叱洞髮字田二斗落七卜六束 松亭坪 字田一斗五升落 印院後洞牟奴 字畓四斗落段 買得時 以渠之谷物給價 故特爲加給事次女婿幼學金壽益衿買得婢德伊年二十四癸亥 曲江面松亭坪松字畓五斗落十二卜二束 同坪松字畓十二斗落三十二卜五束內中邊五斗落十三卜五束 松亭舊基前田二斗落七卜六束 松亭坪 字田一斗五升落 印此婢德伊段 雖以女婿名買得 而家翁生時 備給婢價使之買得 故今爲載錄於分衿中 後子孫中勿以此致疑事子晩命衿買得奴武鶴年二十九戊午 婢金德一所生奴萬伊年五十一丙申 婢得香二所生奴牟老年三十三甲寅 買得婢桂月年四十八己亥 同婢一所生奴非里年十一丙子二所生婢淡禮年八己卯 曲江面松亭坪事字畓二斗落 豆叱洞髮字畓十斗落四作幷五十卜七束 南平德谷面鐵冶坪雙橋下暑字畓七斗落二作幷三十一卜四束 登乃村前洪字畓五斗落二十一卜七束 南平石面城基洞 字畓九斗落 堡坪文字畓七斗落二十九卜 印此亦中 家翁娚妹衿得田民 一遵家翁先妣處置分執已久 而遷延歲月 未及成文爲有如乎 今此成文時家翁之諸甥姪同參着名 則亦當以此後考事又此亦中 逃亡奴婢小名列書左下爲去乎 內外子孫中推尋者 一半執爲遣 其餘一半 則使孫執持 而一口叱分推尋 則都執宜當事逃奴婢買得奴禮奉年五十一丙申 買得婢接上年七十三甲戌 同婢一所生奴忠老年五十二乙未 買得奴夢立年五十丁酉 婢延西非一所生奴日龍六十九戊寅 二所生婢延介年三十八己酉 印又此亦中 伊老谷略干田畓 極爲零星乙仍于 不得分給於各衿是去乎 家翁前室亡子晩復旣葬遠地 永作孤魂 情所可矜是在果 來頭將欲移葬於先壠之麓 其時賣用宜當事際財主 繼母宜人李氏[印]證 家翁同姓八寸弟 生員 羅斗冬[手決]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珝[手決]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瓚[手決]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珽[手決]筆 家翁同姓七寸姪 幼學 羅晩運[手決]○ 연결문서1706년 의인이씨(宜人李氏) 분급문기(分給文記) 11706년 의인이씨(宜人李氏) 분급문기(分給文記) 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풍식(李灃植)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李灃植 昌平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61_001 1879년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 1879년(고종 16)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풍식의 거주지는 창평현(昌平縣)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행정리(杏亭里)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47세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풍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낙승(洛承), 할아버지 학생 규현(奎鉉), 증조(曾祖)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재원(在元), 외조(外祖) 학생 김상선(金商璇)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이풍식의 아내 양씨(梁氏)는 나이 49세 신묘생(辛卯生)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양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필성(必成), 할아버지 학생 석원(錫元), 증조(曾祖) 학생 제기(濟耆), 외조 학생 정백순(鄭{忄+百}淳)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유학 응태(應泰)가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여종은 복금(卜今)이고 나이 37세 임인생(壬寅生)이다. 문서의 양씨 기록 부분 위에 이풍식 외조의 인적사항을 기재해놓은 종이가 덧붙여져 있다. 이 문서의 본문과 동일한 필체로 적힌 '계유호상준(癸酉戶相凖)'의 계유년은 1873년으로, 병자년(丙子年, 1876)의 오자(誤字)로 추정된다. 준(凖) 뒷부분이 결락되어 명확하지는 않으나 준호구로 분류한 호구단자 형식의 위의 자료를 보면 호구단자를 작성할 때 '○○호구상준(○○戶口相凖)'을 기재해서 관에 제출하면 앞 호적개정 식년(式年)에 작성한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 '○○호구상준' 글자 뒤에 '인(印)' 글자를 기재하고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등을 찍은 뒤에 다시 호주에게 돌려주는 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문서의 끝부분에는 본문과 다른 필체인 '기묘식(己卯式, 본문서 작성 호적개정 식년)'과 '행현령(行縣令)'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서 작성년도는 '기묘식'과 양씨의 나이·생년을 기준으로 하여 1879년으로 산정하였다. 1873년 이양근(李漾根) 준호구(準戶口)의 내용 중 이양근의 나이와 생년, 그의 사부의 인적사항, 부인 양씨의 인적사항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풍식은 이양근의 개명(改名)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양근의 아버지 이름이 '낙승(洛丞)'으로 표기되어 있고, 1868년 장수현고학생이규현학행급기자낙승효행실적사보성책(長水縣故學生李奎鉉學行及其子洛丞孝行實蹟査報成冊) 등의 자료에서 이규현(李奎鉉)의 아들 이름 또한 '낙승(洛丞)'으로 표기되어 있어 '낙승(洛丞)'과 '낙승(洛承)'은 동일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九〖二十〗年昌平縣東西面花城里戶籍單子第一統第一戶幼學許福一年三十九丙辰本陽川生父學生 □{玉+侖}養父學生 瑛祖學生 淐曾祖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 集斗外祖學生南柄斗本宜寕奉母南氏歲六十乙未妻李氏歲二十二癸酉本咸平父學生 爘緖祖學生 儒洪曾祖學生 錫運外祖學生高濟龍本長興奴采禮辛卯〖甲午〗式[官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拾參〖肆〗年八月 日潭陽府考戊子式成籍戶口帳內住古之山靣外楸洞第 綂第 戶幼學宋永壽年三十三乙卯本新平父通德郞 珏鉉祖通訓大夫行司憲府持平 燉曾祖通訓大夫行古阜郡守全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 文楫外祖學生南成燁本宜寧妻李氏歲二十五癸亥籍咸豊父學生 㝎憲祖學生 敦秀曾祖學生 大緖外祖學生李鍾潤本原州奴十月婢貴禮迯戶口相凖印 [周挾改字印][官印]行府使[署押] 唱色 凖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四年 月日康津縣考己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鰥夫張再豊年三十八壬寅本仁同父閑良大運祖折衝武良曾祖學生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等印行縣監[押][帖][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四年 月日康津縣考己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張指誠年三十一己酉本仁同父大運祖折衝武良曾祖學生弘外祖嘉善大夫秋尙連本羅州率女阿只年五等印行縣監[押][帖][周挾字改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