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축년 자근(自近)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自近 李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42_001 을축년 정월 28에 모평에 거주하는 인제 자근이 옥산의 이 생원에게 달성 시험은 자신의 직분을 다한 뒤에 하늘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도리이고, 운수로 말하면 우도나 좌도나 다를 것이 없으니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곳으로 갈 필요가 없다는 내용 및 출발 날짜는 다음달 2일로 정했으며, 그때 지나는 길에 상대방을 방문할 계획이니 행장을 꾸려서 기다리고 있다가 동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축년 정월 28에 모평(茅坪)에 거주하는 인제(姻弟) 자근이 옥산(玉山)의 이 생원(李生員)에게 달성 시험은 자신의 직분을 다한 뒤에 하늘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도리이고, 운수로 말하면 우도(右道)나 좌도(左道)나 다를 것이 없으니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곳으로 갈 필요가 없다는 내용 및 출발 날짜는 다음달 2일로 정했으며, 그때 지나는 길에 상대방을 방문할 계획이니 행장을 꾸려서 기다리고 있다가 동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비록 혹 편지 쓰는 일은 있었다고 해도 2년 동안 만날 길이 없었으니 그리운 회포를 더욱 헤어리기 어렵다는 내용, 요즈음 상대방과 가족들 모두 편안한지 안부를 묻고 간절히 위로되고 그립다는 내용, 자신은 중병(重病)의 남은 증세가 그 뿌리를 제거하기 전에는 날마다 쇠약한 모습이니 스스로 가련한들 어쩌겠느냐는 내용, 지난번에 상대방이 말한 내용 중 굳게 약속한 일에 대해 자신이 그 사이에 어찌 감히 다른 생각을 하겠느냐고 반문한 뒤, 한결같이 상대방의 지휘가 어떻든 믿는 것은 평소 서로 믿는 도리이니 어찌 허술한 지경에 의심할 수 있겠느냐며 단단히 결정하여 자신의 간절한 바람에 부응해주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내용, 달성의 시험에서 혹시라도 떨어지더라도 자신의 직분을 다한 뒤에 하늘의 명을 기다리는 것이 우리의 도리이니 시관(試官)이 제대로 인재를 뽑는 데에 달려있을 뿐, 하필 우도가 더 나을 것 같다고 염려하는지, 가령 우도가 나을 것 같다고 해도 병든 몸으로는 길이 조금 멀어도 움직이기 어려우니 운수(運數)로 말하자면 우도든 좌도든 차이가 없으니 어찌 꼭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곳으로 가겠느냐는 내용, 출발하는 날짜는 다음달 2일로 정했는데 그때 지나는 길에 상대방을 방문할 계획이니 상대방도 미리 행장을 꾸리고 기다리고 있다가 함께 가면 좋겠다는 내용, 그 중 약속한 물건은 과거시험 전 날짜가 임박했으니 서로 만난 뒤에 잘 헤아려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近阻殊悵 卽於院便承拜惠書 謹審高秋侍餘動靖衛重 舍妹與兒少亦無病 何等慰仰 弟一味勞碌 無足言 惟以各家姑無大端憂故爲幸耳 院長以瘧症彌留悶事 秋享雖未進參 而春享時行公之意 縷縷相議於前日者 爲其院費矣 所示亦如是 事甚從便 而得無病帶之嫌耶 餘適擾 不備拜謝甲辰八月念七 弟錫禮聖夫兄許 忙未各幅此紙雷照如何【피봉】玉溪侍案回納坪湖謝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三夏爲盡 炎熱比酷 伏不審此時靜養氣候 循序萬康 眷下諸節 俱得平迪否 種種伏溯不任之至 査侍生等 各保傍命與賤狀 而舍妹今初六日鷄三唱 順産生男 別無雜症 多幸多幸 卽欲送伻通奇 而旱炎如此 今始送之耳 餘不備伏惟下察 上候狀丁亥六月十八日 査侍生 金錫義等拜手【피봉】玉溪靜案下執事坪湖上候狀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축년 신재곤(辛載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載坤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07_001 을축년 1월 26일에 모평에 사는 신재곤이 옥산에 살고 있는 상대방에게 동접인을 구성했는지 여부를 자세히 알려 주어서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축년 1월 26일에 모평(茅坪)에 사는 신재곤이 옥산(玉山)에 살고 있는 상대방에게 동접인(同接人)을 구성했는지 여부를 자세히 알려 주어서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상대방 형제의 아내 상(喪)은 너무 뜻밖에 생긴 일이라 부고를 받고서 놀라고 슬픈 마음 억제할 수 없었다는 내용, 상제방 형제들과 합부인의 안부를 묻는 내용, 자신은 앓고 있던 병이 이달 초순에 또 본래 있던 증세까지 더해져 거의 죽을 지경이 되었다가 탕제 10여 첩을 복용하고 나서야 다시 소생하여 이전의 모습을 되찾았으나 답답한 기운이 가슴에 가득차 있다는 내용, 과거시험은 지난해에 만났을 때 상의한 적이 있었는데 오랫동안 과거시험을 보지 않은 자신이 늘그막에 망령되게 행동하고 분수에 맞지 않는 희망을 품어 사람들에게 웃음거리가 될만 하지만 이미 시험을 보려고 움직였으니 어찌 대충 시험 준비를 해서 요행을 바랄 수 있겠느냐는 내용, 상대방의 과감한 성격으로 그쪽에 과거시험 공부를 함께 할 인원을 구성하였는지를 물은 뒤, 지금까지 통보가 없으니 무슨 일 때문인지, 상대방이 혹 시험을 보지 않으려고 그런 것인지, 아니면 그쪽 일을 아직 언급하지 않아서 그런 것인지,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세히 알려 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 편지와 함께 종형(宗兄)에게 돈 2민동(緍銅)을 부쳐 보내니 이것을 종형에게 전해주라는 내용을 추신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해년 최세하(崔世夏)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崔世夏 李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27_001 신해년 6월 4일에 횡계에 거주하는 최세하가 담복 중인 옥계 동상댁에 자신의 부친이 이달 6일에 곡반에 참여할 계획인데 이때 조용히 이야기 나눌 수 있는지 묻고, 이 뜻을 바로 장산에 알려 줄 것을 권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신해년 6월 4일에 횡계(橫溪)에 거주하는 최세하가 담복(禫服) 중인 옥계(玉溪) 동상댁(東上宅)에 자신의 부친이 이달 6일에 곡반(哭班)에 참여할 계획인데 이때 조용히 이야기 나눌 수 있는지 묻고, 이 뜻을 바로 장산(章山)에 알려 줄 것을 권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달포 전에 만났다 헤어져 지금까지 서운한 마음이 남아 있었는데 근래 상대방 아이의 참혹한 소식을 들었으니 이 무슨 액운(厄運)인지, 차마 말할 수 없고 차마 걱정할 수도 없는 부분이라는 내용, 근래 무슨 일을 하며 이런 마음을 떨쳐버릴지 상대방이 걱정스러우나 가까운 남쪽으로 왕림하여 자신을 위해 함께 바다를 따라 동쪽으로 가서 산과 바다에서 한가롭게 노닐며 도처의 아름다운 경치 속에서 배불리 먹고 돌아와 밝은 창가 고요한 궤석에 누워 옛사람의 책을 읽는 것도 하나의 좋은 일일 것이라는 내용, 근래 상대방의 큰 형님과 부모 모시고 지내는 조카 형제들의 안부를 묻는 내용, 자신의 부친이 먼 행역(行役) 뒤에 남은 피로가 여전히 많아 떨쳐 일어나기 어려울 듯한데 또 둘째 딸의 종기난 곳이 한 달 넘도록 낫지 않고 있어 걱정스럽다는 내용, 부친이 매번 상대방 쪽으로 찾아 가 여러 가지 일을 토론하려고 했으나 피로의 빌미와 아이의 병이 이와 같아 뜻대로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달 6일 곡반 때에 참여할 계획이니 이때 혹시 상대방과 조용히 이야기 나눌 방도가 있겠느냐고 묻고, 이 뜻을 바로 장산에 알리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권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稽顙言 有欲言而不能言者 伏想○俯諒之矣 不審栗寒侍奠哀體候 連衛萬支 庇下諸節均勝 婿郞服中侍學何如 倂不任哀溯區區 査弟老去悰況 無一善狀 而女阿若穉孫尙爾免恙 夙夕獻戱 以是爲目前之幸耳 踰月之禮 日寒如此 難於營卜孝心之踧踖不安可想 餘祝歲色紗薄 若序支福 以副慕仰之忱 不備謹䟽庚辰十二月十九日 査弟 辛載欽 䟽上(皮封)査兄 李生員 大孝 苫前謹拜䟽上 稽顙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미년 최세휘(崔世徽)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崔世徽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29_001 기미년 3월 1일에 최세휘가 옥계의 사돈 형제들에게 안부와 함께 자신의 집을 방문하여 며느리의 갈망과 그동안 쌓인 회포를 풀어주기를 바란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기미년 3월 1일에 최세휘가 옥계(玉溪)의 사돈 형제들에게 안부와 함께 자신의 집을 방문하여 며느리의 갈망과 그동안 쌓인 회포를 풀어주기를 바란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상서로운 해가 점점 길어지고 봄바람이 화창하다는 내용, 늦봄에 형제분들과 식구들 모두 잘 지내고 있는지 안부를 묻는 내용, 자신은 예전처럼 지내고 아들도 근래 매우 편안히 지내고 있으며 이 밖에는 번거롭게 알려드릴 것이 없다는 내용, 마을에 전염병이 모두 사라졌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으니 매우 축하한다는 내용, 바라건대 자신의 집에 한번 오셔서 며늘아기의 간절한 바람을 펴주고 또 쌓인 회포를 푸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내용, 나머지 사연은 아들이 직접 말할 것이라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유년 제경(濟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濟京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유년 1월 20일에 횡계에 거주하는 제경이 홍원에 있는 여러 사람에게 집으로 돌아오늘 길에 말에서 떨어져 몸을 다쳤다는 자신의 안부 및 요사이 들었던 12월 도목정사에 관한 내용 등을 전한 간찰 기유년 1월 20일에 횡계(橫溪)에 거주하는 제경이 홍원(洪園)에 있는 여러 사람에게 집으로 돌아오늘 길에 말에서 떨어져 몸을 다쳤다는 자신의 안부 및 요사이 들었던 12월 도목정사(都目政事)에 관한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서로 이별한 뒤의 소식이 천리가 만리처럼 먼 듯 연락이 끊겨 그리운 회포가 날로 새롭다는 내용, 요즈음 여러분의 안부가 모두 진중한지 묻고 위로되고 그립다는 내용, 자신은 돌아오는 길인 태봉(胎峰) 아래에 이르렀을 때 말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몸을 다쳐서 며칠 동안 조리하다가 힘들게 집으로 돌아와 약물을 복용하여 지금 겨우 조금 나아졌지만 아직까지 옛 모습을 다 회복하지는 못하였으나 서쪽에서 좋은 소식이 온다면 오늘보다는 나을 것이며, 집안에 큰 탈이 없어 다행이라는 내용, 근래 들으니 12월의 도목정사가 이미 지나 영의정의 인원이 완비되어서 복주(覆奏)했다고 하던데 아직까지 이렇게 들리는 소문이 없으니 무슨 곡절이 있어서냐는 내용, 시골에서는 거짓말과 험악한 말들이 매일 시끄럽게 떠돌지만 마음을 동요하기에는 부족하나 그 동정을 살펴보면 일종의 꽉 막힌 부류 중에 절목을 반포하여 내릴 때를 엿보는 자들이 자기 무리보다 곱절이나 된다는 내용, 임금의 비답이 한번 내려진 뒤로 생병이 난 자와 잠을 자지 못하는 자가 종종 있으니, 만일 한 글자라도 트집 잡을 말이 있으면 세상에 공론하는 사람이 없어서 변통할 수 없으니 사람들의 마음씀이 어찌 이리도 심하냐는 내용, 황씨와 최씨 두 형은 아직도 체류하면서 공손히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지 묻는 내용, 병상에 누워있는 상황이라 각자에게 편지를 쓰지 못하였으니 그곳의 여러 사람들과 이 편지를 돌려서 봐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省式言 雖或有紙面上心劃無緣得兩歲顔面 耿耿之懷尤極難量 謹惟日來兄服棣候 連衛萬福 添節俱穩耶否 仰慰溸區區 實勞願聞 弟重病餘症 祛根未已衰狀日至 自憐奈何 第向示中牢約事 弟何敢歧意於其間哉 一以恃吾兄指揮之如何者 是平日相信之道也 復何有疑於虛踈之境耶 斷斷完定以副此區區之望 如何 達試雖或無滋味 修人事待命 惟我道理也惟在朱衣點頭而已 何必以右道之似愈爲念耶 設或似愈 以抱病之骨 道路稍遠 實難運動 亦不無其中虛費肋力矣 以運數言之則或右或左 亦無異同 則何必捨近就遠耶 發行以來月初二日爲定 其時歷路躬造貴中爲計○兄亦預治行裝以待 則聯被同行爲好 諒之如何且其中所約之物 科前日字迫頭當相對後 料量如何 餘漏萬 不備狀禮乙丑正月卄八日 弟 自近 拜(皮封)謹候狀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사년 이재야(李在野)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在野 道庵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사년 11월 23일에 경주 양동 마을에 거주하는 친족 이재야가 도암에게 지난달에 돌아가신 숙조의 장례를 치렀다는 내용과 아들이 숙식하는 데 애를 먹고 있어 참기 힘들다고 하니 걱정스럽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사년 11월 23일에 경주 양동(良洞) 마을에 거주하는 친족 이재야가 도암(道庵)에게 지난달에 돌아가신 숙조(叔祖)의 장례를 치렀다는 내용과 아들이 숙식하는 데 애를 먹고 있어 참기 힘들다고 하니 걱정스럽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직임에서 해임 된 상대방을 한번 찾아 가 축하드리고 싶었으나 병을 앓고 있어 뜻대로 하지 못하고, 또 편지로 대신 축하하려고 했으나 게을러서 편지를 보내지도 못하고 있어서 지금까지 서글픈 마음이라는 내용, 한겨울 혹독한 추위에 상대방의 어머니와 산속에 머물면서 공부하고 있는 상대방의 안부가 편안한지 묻고 매우 그립다는 내용, 자신은 두 해 동안 병을 앓고 있으나 완쾌할 기약이 없어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는 내용, 지난달 10월 중에 숙조부의 상을 당하여 벌써 장례를 치렀으니 말할 수 없이 비통하다는 내용, 아들은 비록 머리를 맞대고 함께 토론하지는 않았지만 도움이 되는 방도가 있는지, 다만 숙식하는 괴로움을 참기 힘들하고 하니 이것이 걱정된다는 내용, 봄이 머지않았으니 반드시 소득이 있길 바란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玉山 李○生員宅 入納達旅謝書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恭承尊翰歲臘良深伏惟仲春尊體震艮連護萬重仰慰區區之摯第侄阿親事旣承穀差從占福原耳衣製尺度依 敎錄呈謹宣伏惟尊亮 謝上狀丙寅二月十五日密城朴璘坤再拜(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歲色垂暮 瞻慕益切 伏不審此時氣體候連向萬安 舍妹與甥兒輩 俱無病耶 種種伏傃不任 査下生等各保傍命賤狀 而轍兒月前以瘟疾大端危劇 而今纔起頭 還可幸也 一候之計 營之久矣而近汨憂冗 未得遂誠伏恨之餘 不備伏惟下察 上候狀辛卯十二月十二日 査下生金錫義拜手細鰲一器伏呈耳【피봉】玉溪靜几下執事坪湖上候狀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近來癃廢病伏 世念都消 而惟一箇不死者懷耿 結於山幽水淸那一邊也 午睡起 一隷傳一苞裹 諗之 則乃○座下記念此漢物也 山中春事 果至如此時節耶 香口之䭎 深感不遺之誼耳恪惟近候連衛 庇覃俱穩 仰切慰慰族末歲前後感毒 長不離身 近又別添 厭食廢睡 已極自憐 而哀孫以口熱之症 不健有日 見甚悶悶 天之困剝此身 何如是也 達圍不赴耶 想衰之甚矣 而倚枕看戱 亦不妨爲自處道理 何恨之爲 近或無一枉之期耶 顧此涔寂者 晝支短枕 夜伴孤燈 經過甚亡憀 此時懷想 有不得不爾者耳 餘院隷立促 只此不宣庚辰二月初二日 族 在永 狀薧小片付呈(皮封)謹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묘년 이재관(李在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在寬 婿郞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묘년 6월 29일에 동성에서 타향살이하고 있는 친족 이재관이 옥산의 동상댁에 맡겨놓은 마른 장작을 가지러 내일 사람을 보낼 계획이니 착실하게 실어 보내 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묘년 6월 29일에 동성(東城)에서 타향살이하고 있는 친족 이재관이 옥산(玉山)의 동상댁(東床宅=東上宅)에 맡겨놓은 마른 장작을 가지러 내일 사람을 보낼 계획이니 착실하게 실어 보내 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월초에 잠깐 만났던 일은 아직까지 서글프다는 내용, 늦더위에 상대방의 생활이 편안하고 아드님은 여름 공부를 독실하게 하고 있으며, 각 집안의 식구들도 모두 평안한지 안부를 묻고 매우 그립다는 내용, 친족인 자신은 겨우 예전처럼 지내고 있는데 늙은 아내의 숙병이 이전보다 더욱 심해졌고, 이 밖에도 근심이 날마다 생겨나니 참으로 괴롭다는 내용, 맡겨놓은 마른 장작은 바로 사람과 소를 보내려고 했으나 머슴이 없는 집이라 잠깐 사람을 빌리는 것도 뜻대로 할 수 없어 내일 사람을 보낼 계획이니 한 바리를 아끼지 말고 착실하게 수송해 줄 것을 간절히 바란다는 내용, 외출할 일이 있을 것 같아 이처럼 기일에 앞서 편지를 쓴다는 내용, 나머지 사연은 만나서 이야기 하겠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月初暫晤 尙猶茹悵 未審老炎靖履起居萬衛○允玉夏課篤實 各家都節一安否溯溯 族菫依昨狀 老布宿祟 比前添劇 餘外憂虞 式日斯生 良可苦哉奈何 所托乾柴 卽送人牛 而無雇之家 暫時借人 不得如意 故明將送人計 幸須勿靳一駄 着實輸送 千萬千萬 前期裁書 恐有出外 故如是耳 餘在面悉不宣狀乙卯六卄九 在寬 族 拜拜(皮封)東床〖上〗宅 入納東城寓 族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박인곤(朴璘坤)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朴璘坤 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68_001 병인년 신랑측 박인곤이 신부측 곽생원에게 보낸 혼례 관련 간찰 병인년 2월 15일에 신랑측인 박인곤(朴璘坤)이 신부측인 곽생원(郭生員)에게 보낸 간찰이다. 상대측의 요청에 따라 조카의 의제(衣製)를 보낸다는 내용이다. 전통혼례는 서로 결혼 의사를 타진하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식을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 의례로 이루어진다. 연길(涓吉)은 납채에 해당되는데,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四柱)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정식으로 결혼을 신청하는 서장)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것을 연길이라 한다. 의제(衣製)는 신랑의 의복 길이와 품의 치수를 신부측에 알리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자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갑자생 망자의 장택기이다. 장택기는 장례의 기본 요소인 장지(葬地)와 장일(葬日)의 선택내용과 이에 따른 각 절차의 방위 및 기피 사항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망자는 갑자생의 남자이며, 주상(主喪)은 경자생 아들과 기유생 며느리, 갑자생 손자와 기미생 손부이다. 안장일은 2월 12일이고 하관은 신시(辛時)이다. 묘 쓸 자리의 땅을 파는 날은 1월 28일 오시이고 남쪽부터 파기 시작하며, 기피해야할 날짜는 매월 6일과 16일, 26일, 신일(申日)을 피하라고 하였고, 혈의 깊이는 지사(地師)에게 물으라고 하였다. 이보다 앞서 사망한 을축생 아내 합장을 하려고 하는데 이를 구광(舊壙)이라고 적었다. 구광을 파는 날은 2월 10일 진시(辰時)에 남쪽부터 파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널이 나가는 것은 적당한 시간에 한다고 하였다. 묘자리에 도착해서 안장하는 절차에 해당하는 정구(停柩), 취토(取土), 물복(勿伏)은 길하거나 피해야할 방위를 기록한 것이다. 주당(周堂)은 입관할 때 피해야 할 가족 구성원을 기록하는 것인데 이 경우는 없다고 하였다. 문서 하단의 4행은 조명(造命) 또는 조명사과(造命四課)로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쓴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瑞日稍長 惠風和暢 謹未審玆者春暮棣床震艮 連衛萬相庇廡均吉 仰溸不任勞祝之至 査弟姑依昨狀 迷豚近極安過 餘外無煩 而轉聞村落快淨之境可賀可賀 望須賁然一駕以叙婦阿渴望之思 且攄襞積之懷 如何如何 餘在家兒口悉耳 不備 伏惟尊照己未三月初一日 査弟 崔世徽 拜上(皮封)玉溪 棣案 入納謹拜候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別後聲息 千里如萬里此時懷想 歲新又日新 謹未審間來僉尊兄體節 連衛珍重仰慰溯旣 虔且禱 弟歸路至胎峰下 落馬致傷 累日調理 間關還巢 所謂藥餌 扶吾隨取之 今纔小可 而尙不全然如舊樣子 然有西來好音 則如將今日愈矣 但以家間之無頉爲幸耳 近聞臘政已過 領閤偹員 而覆奏之 尙此無聞有何委折 方收議制 或寢奏否 下鄕僞言險說之亂聒 無日無之 此不足爲動心者 而觀其動靜 則一種固滯之流 闖窺節目之頒下有倍於吾黨 自聖批一降自生病者 眠不得者 往往有之 如有一字 可執之言 則世無公論底人 而變通不得 人之設心 何若是之甚也 這間事機 漠然無憑 遠外懸望 不但以躁悶言胡不自營便一字相及也 黃崔兩兄 尙此淹留 而恭竢處分否 爲之贊賀耳伏枕艱草 未得各幅 將此帋 雷照於老少諸兄也 不備禮己酉元月念 弟 濟京 拜拜(皮封)洪園○僉案○執事○入納橫溪謹候書 謹封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