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日谷里盧珍永氏殿(피봉_뒷면)長德星里李文亮付呈(簡紙)省稽拜言. 阻久甚悵, 謹詢伊來制體候安支, 渾節均慶否?仰祝仰祝耳. 兄媳兒勸歸以來, 但仰屋長吁而已. 老妻向隅垂泣而已. 就悚兩件物今纔送呈, 何爾悚悶哉. 又況更物兩足之欠, 實是罪悶處. 惟願 賢弟下燭,後須勿深責, 此企此企耳. 餘在宋雅口達, 不備疏禮.乙丑三月八日, 兄 李文亮 拜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盧 軫永 氏(피봉_뒷면)鳳山精舍 謹椷(簡紙)省禮拜言.際玆花煦. 伏請經體候哀中萬支, 躄者不忘行, 徒切瞻慕之誠. 就鳳山掩耳·齋重修事, 旣有劃策之畢擧, 而尙此遲緩者, 各以事故, 所縻故也非慢也. 昨九一者合席, 難可就緖, 而且陰四月望間內地行已決矣.若失此階, 則設有利成之方,未免瓦解之歎, 望須十分商量處之. ■■■(右期日)〔陰四月初五日〕 掃萬 枉臨于鳳山, 如何. 鵠佇而已. 餘非面莫達, 不備候上.辛巳陰三月卄三日, [正方紫印: 鳳山精舍]高善柱劉秉龜尹璟赫 上.若有雨天, 順延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全南 光山郡 芝山面 日谷里盧 生員 軫永氏 大孝 苫前(피봉_뒷면)慶北 達城郡 求智面 大浦洞盧兢錫盧晩錫盧南錫稽封.(簡紙)盧 生員 大孝 大孝 苫前答疏上 孤子 盧兢錫等 稽顙謹封.兢錫等 稽顙再拜言. 兢錫罪逆深重, 不自死滅, 禍延先考, 攀號擗踊, 五內分崩, 叩地呌天, 無逮及日月不居, 遽經襄奉, 酷罰罪苦, 無望生全. 卽日蒙恩, 祗奉几筵, 苟存視息. 伏蒙尊慈, 俯賜慰問, 哀感之至, 無任下誠. 末由號訴, 不勝隕絶, 謹奉疏. 荒迷不次, 謹疏.壬午四月二十日 孤子 盧兢錫盧晩錫盧南錫 等疏上盧 生員 大孝 大孝 苫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진년 채병륜(蔡炳倫) 등 2명(名)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蔡炳倫 表從姪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년 8월 23일에 표종숙 채병륜과 채병재 등이 할머니 상을 당한 표종질에게 갑자기 부고를 받고 자신들의 놀라고 슬픈 심정과 함께 조의를 표하고 지난 가을에 상을 당한 뒤로 도리를 저버리고 있어 가서 곡하지 못하였다는 내용 등을 전한 위문 간찰 갑진년 8월 23일에 표종숙(表從叔) 채병륜과 채병재(蔡炳載) 등이 할머니 상을 당한 표종질(表從姪)에게 갑자기 부고를 받고 자신들의 놀라고 슬픈 심정과 함께 조의를 표하고 지난 가을에 상을 당한 뒤로 도리를 저버리고 있어 가서 곡하지 못하였다는 내용 등을 전한 위문 간찰이다. 뜻밖에 표종질의 할머니인 외숙모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으니 놀라고 슬퍼하는 것 외에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느냐는 내용, 몇 년 동안 숙환(宿患)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죽음에 대한 위태로운 생각을 하지 않은 날이 없었으나 지금 갑자기 부고를 받을지 어찌 생각이나 했겠느냐는 내용, 초상부터 졸곡까지의 제구는 미리 갖춰놓았다고 하더라도 장례 또한 어찌 유감 없이 만족할 수 있겠느냐는 내용, 상 중에 건강은 어떤지 안부를 묻는 내용, 부고 편지에 장례 일자가 적혀 있지 않은데 이미 지났는지 아니면 목전에 있는지를 묻고, 이 무슨 일이길래 부고가 달을 이어서 생기는지 모르겠다는 내용, 1년이 지나도록 병수발을 드느라 집안 일이 두서가 없어져 안정된 것이 없을 것을 염려하면서 슬프고 그리운 마음을 언급하는 내용, 1년 복 중인 자신들은 부고를 받고 당연히 평소 자신들을 사랑해 주던 살뜰한 뜻에 가서 곡하야 하지만 지난 가을에 상을 당한 뒤로 인사상 합당한 도리를 저버리는 일이 많으며, 현재 죽지 않고 살아 있을 뿐이라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通右回通事謹承 貴校通辭千名將花山君偉績嵬勳東國臣民孰不欽慕而 列聖朝受 敎昭然自在以若雲仍雖落於荒州下邑秉彝所在非不顧護而入於鄙校之儒生者眞可謂渡淮之枳落溷之花也 通到卽時千成日出案許施以此須諒之地幸甚右回通于南原鄕校戊戌七月二十日掌議朴海烈 徐之烈 齋任金奎錫 安宗潤[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葭蒼露白 褱仰益切 卽於院便 得見抵家侄書 槩審僉侍餘動靖衛重 舍妹亦將穉無頉 何等仰慰 弟齒痛也腰痛也 諸般雜病 無非衰狀 頓何 惟一家內大都一安爲幸耳 丁兒尙無定婚處 可悶 若有好處 則安得不指示也 院事大有鬧端 爲之代悶奉際未易 臨楮悵悵來隷立促曉草 暫此不備拜候甲辰八月三日 弟錫禮拜【피봉】玉溪僉侍座入納坪湖謹候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章右敬答通事橘雖渡淮淸香彷彿人雖淪落言行可觀即接貴校通辭本郡來寓士人千載淸爲 花山君十代孫云環東土人士孰不蒙千公德化而斯人爲其後孫落拓鄙鄕猶不免遺珠之歎不覺赧然謹依通敎邀接千雅觀其言行儀範可知其來脉之有源曉喩一境使此忠勳後裔俾無例待之弊爲計矣須 諒之地幸甚右 敬 答通 于南 原 鄕 校己亥二月十六日 校任尹奭浩 朴昌烈 李致模 金在淑 多士閔泳順 吳璋奎 李士洪 朴琪瀛 崔漢榮 李景鍾 林英勳[海南鄕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文 是在果同捧上色崔翊煥着枷定將羅押送是去乎相考施行向事 己卯八月二十一日己卯八月二十五日爲上使事敎矣到付使甘結內節該生民之害莫如窃發戢盜之政宜先綜察固當到底芟刈可以爲民除害是如乎毋論某邑面置面檢里置里檢五家作統之置統首隣比而警備晨夜而詗察草窃則隨現摘發强盜則幷力譏捕統告里里告面面告官可以報鎭則報鎭可以報營則報營以爲掃除賊盜無得容接爲㫆面里檢姓名及五家作統小名成冊先卽報來向事敎是故謹依甘辭擧行爲乎㫆面里檢姓名五家作統小名成冊修正上使爲臥乎事 一巡營詗竊盜五家統成冊修報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秉來頓首再拜言. 不意凶變,先府君蘇海先生奄違色養, 承訃驚怛不能已已. 恭惟孝心純至, 思慕號絶, 何可堪居. 日月流邁, 遽踰旬朔,哀痛奈何, 罔極奈何. 不審自罹茶毒,氣力何似. 伏願强加餰粥, 俯從禮制. 秉來道路敻遠, 末由奔慰, 期於憂戀, 無任遠誠. 謹奉疏, 不備謹疏.庚辰七月二十九日, 盧秉來 疏上.盧 碩士 大孝 苫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全南 光山郡 芝山面 日谷里盧 軫永 氏 哀座下(피봉_뒷면)慶北 義城君 舍谷面 禾田洞盧相鎬 ヨリ九月七日(簡紙)謹再拜 疏上.稽顙再拜白. 禮書之外, 夫復何言. 曾未聞患候之如何. 令先大人喪事, 出於千萬夢之外,慨廓無涯之痛, 何以堪遣. 此際寒喧, 何暇仰問, 而侍尊哀體履支保, 而無或過毁致損, 宗中僉節一齊無諐否. 幷哀溸區區願聞.宗弟弟兄依昔, 而一村諸從曁諸族觕遣, 餘外何溷淸耳耶. 第今夏有事之日, 卽當匍匐唁慰, 而道路隔遠, 適嬰憂故, 未能躬晋, 旣在花樹之誼. 豈無慨之慟耶. 然而元不能俱禮, 只以金貨參圓仰呈, 物雖薄情, 以領受否. 餘葬禮利成, 不備疏禮.庚辰八月初七日, 族契 相鎬 再拜 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蘇海亭內▣▣先生 永淇氏(피봉_뒷면)全北 沃溝郡 瑞穗面 馬龍里 盧鎭玉 上.(簡紙)拜復惠翰, 感荷實深. 伏詢老炎尤熾尊體萬重, 慰賀斗大. 生侍狀姑依耳. 就白, 示意謹悉, 而爲其同家者, 彼不翼如, 伊日躬晋, 忝末獻酌爲料. 餘在日後面謁, 不備謝禮上.庚辰七月四日, 生 盧鎭玉 二拜上.高在淵先生朴柱庠先生前, 忙未各幅, 以此雷照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全南 光州郡 芝山面 日谷里盧軫永氏 孝廬下(피봉_뒷면)慶南 陜川郡 草溪面 柳下里盧灝容謹疏上(簡紙)盧 生員 大孝 哀前慰狀 灝容頓首謹封灝容 頓首再拜言. 不意凶變,先府君奄違色養, 承訃驚怛, 不能已已. 伏惟孝心純至, 思慕號絶, 何可堪居. 日月流邁, 遽經襄奉,哀痛奈何, 罔極奈何. 不審自罹, 茶毒氣力何似. 伏願强加疏食, 俯從禮制. 灝 誼當匍匐窮唁, 道路邃敻, 末由奔慰, 期於憂戀, 區區無任. 謹奉疏, 伏惟哀察. 不備謹疏.庚辰九月二十日, 族生 灝容 狀上.盧 生員 大孝 哀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진년 신재흠(辛載欽)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辛載欽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진년 12월 19일에 신재흠이 어버이 상 중인 사돈 이 생원에게 달을 넘겨 치르는 장례를 걱정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경진년 12월 19일에 신재흠이 어버이 상 중인 사돈 이 생원에게 달을 넘겨 치르는 장례를 걱정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말하고 싶어도 말하지 못하는 것을 상대방이 헤아려 주실 것이라 생각한다는 내용, 혹독한 추위에 시전(侍奠)하고 있는 복 중 상대방과 가족들의 건강 및 사위의 복 중 어버이를 모시며 공부하는 상황은 어떤지 안부를 묻는 내용, 자신은 늙을수록 좋은 상황은 전혀 없으나 딸과 어린 손자가 무탈하고 아침저녁으로 귀여움을 떨어 이것으로 눈앞의 행복으로 삼고 있다는 내용, 달을 넘겨 치르는 장례에 이처럼 날씨가 추워서 묏자리를 정하는 데 어려운 점이 있어 불안해하고 있을 상대방의 효심을 상상할 수 있다는 내용, 한 해가 저물어 가는데 절기에 따라 건승하셔서 앙모하는 자신의 정성에 부응해 달라는 내용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全南 光州郡 芝山面 日谷盧軫永 氏 僉座前(피봉_뒷면)馬山府 城湖洞 五十番地 盧在爀 疏上.(簡紙)生員 座前答疏上 盧在爀 稽顙謹封.在爀等 稽顙再拜言. 在爀等 罪逆深重, 不自死滅, 禍延先考,攀號擗踊, 五內分崩, 叩地呌天, 無所逮及, 日月不居, 奄踰卒哭, 偏罰罪深, 無望生全. 卽日蒙恩, 祗奉几筵, 苟存視息. 伏蒙尊者俯賜慰問, 哀感之至, 無任下誠, 末由號訴, 不勝隕絶, 謹封疏.荒迷不次, 謹疏.壬午二月初二日 孤子 盧在爀, 在{火+喆} 等 答疏上.生員 座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 堂 軫永 氏宅(피봉_뒷면)和順郡 道岩面 源泉里朴炳海 謹封.(簡紙)盧 斯文 哀前疏上 朴炳海 謹封.炳海 頓首再拜言. 不意凶變,先府君奄違色養, 承訃驚怛不如攸喩, 日月流邁, 遽當祥事, 思慕號絶, 何以堪居. 伏乞節哀順變, 益加寬抑. 炳海 疾苦多端, 不克趨吊. 謹緘寸楮, 以達鄙誠, 失禮之咎. 尙冀情恕, 謹奉疏. 不備謹疏.壬午五月二十日, 朴炳海 疏上.盧 斯文 哀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禮白令季氏喪事 出於千萬夢寐之外 承訃驚怛 夫復何喩 伏惟友愛加隆 悲痛沈痛 何可堪勝 伏不審秋涼服中動止候 連向萬康 侄女母子亦無病穩侍耶 伏溸區區 無任之至 査下每擬趍慰兼見侄女計者久矣 而事多掣肘 稽今未果一字書問 反在人後 揆以情誼 可謂蔑如 只自愧赧耳 餘在舍侄口悉 不備伏惟下在 謹狀上庚寅八月初二日 査下金埏{土+畟}狀上【피봉】狀上李生員朞服座前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便信陸續 彼此無一字相問 是豈相愛間厚誼耶 卽因從侄 詢審靜候萬重 允友曁從侄女 次第安侍 並切慰仰切切信后間日凡節更何若 弟衰病轉甚 無以支吾 奈何奈何 春間屢日團話 實是吾輩暯年不易得之事 愔愔思之 難忘于懷也 安得續前遊 更作數日之穩話耶旋切悵然 續大學關西問答二留約 而尙無早白 倘或忘却而然耶 覓後便付送 切企切企 餘不備伏惟壬辰菊月十一 弟金{土+奧}拜拜【피봉】玉溪靜案執事篔圃謹候書 省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惟至冱靖體候淸康 仁庇勻吉溸仰且祝 生旅依已耳 就令期在何 怱專告作偲藥價與向貸條 遠得?惠 則無異?賜 諒施若何 餘不備禮甲子十一月卄二日 金公植生 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蟄唫窮野 每歎離合有數 而適此惠緘 翻然乎孤寂之中 慰恤備摯 良覺復蘇之望 仍謹審春煦慈候棣體 益膺湛重 允友穩侍 從氏宅都節勻安 仰慰區區悲愫 朞服弟 當新胖割 尤難按住 而自聞新人之賢淑 祗願少須臾無死 思見克家之望 而際有一會之敎 認合無遐之厚眷 將盍從速依副耶 孫兒質騃敎乏無一可道 而有此溢美之示 無乃新好中溺愛者耶兄旣在白水之刑 則第後之優賜周章 預用顒企耳 餘擾不備狀禮癸酉元月少晦 朞服弟金應坤拜謝【피봉】玉溪僉侍案入納平湖謹候狀 省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頓首言 阻餘○先施 忙手開緘 欣感難量 備審菊秋哀兄棣履體度支相 允玉無頉善長 慰賀區區 實愜所祝 弟府侍粗寧私幸 而身家近以阿睹之症 數旬苦叫 多方藥治 終無示效 自歎年數而已 今年農形 初謂有秋 而收後告歉窃爲如吾窮儒者代悶 草堤辛哀事 不可以筆舌窮道 故早晏間相對穩討計耳 妹兄阻餘委訪 誠甚慰瀉而纔宿一日旋別 猶不若不奉之爲愈也 前後兄書 只有一○枉之○敎 而竟孤所望 祗增臨楮之悵耳 餘不備䟽禮庚戌菊月晦 世夏 弟 拜謝席資一笠具 付送耳(皮封)玉溪 李○喪人○哀前○回納橫溪謝䟽 省式謹封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