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辛卯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辛卯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7.3×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31년(순조 31)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 31)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8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57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17년 김석지(金碩砥)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伍拾陸年丁酉二月初六日 財主 自筆 三寸叔 金碩砥 生姪 陳萬東 康熙伍拾陸年丁酉二月初六日 金碩砥 陳萬東 金碩砥[着名]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68_001 1717년(숙종 43)에 김석지(金碩砥)가 생질(生姪) 진만동(陳萬東)에게 재산의 일부를 주기 위해 작성한 허여문기(許與文記). 1717년(숙종 43) 2월 6일에 삼촌(三寸) 김석지(金碩砥)가 생질(生姪) 진만동(陳萬東)에게 자신의 재산 일부를 주기 위해 작성한 문서이다. 김석지가 문서를 작성했으며, 제위로 분급받은 것이기 때문에 조카 진만동에게 노비를 허급(許給)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여양진씨직첩(驪陽陳氏職帖)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여양진씨(驪陽陳氏) 가문에 관한 기록. 고흥지역에 세거해 온 여양진씨(驪陽陳氏) 가문에 관한 기록을 절첩 형식으로 필사한 첩이다. 내용은 통정대부(通政大夫) 구성도호부사(龜城都護府使) 구성진병마첨절제사(龜城鎭兵馬僉節制使) 겸(兼) 방어사(防禦使) 증 자헌대부(贈資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 겸(兼)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摠管) 진무성(陳武晟)의 행장(行狀)과 가훈 9조(家訓九條)로 구성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己卯式 行使 通德郞 陳宗輝 己卯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使[着押] 1顆(7.0×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19년(순조 1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19년(순조 1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6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45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券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錄宣武元從公事蹟 公諱永明觀察使諱壽生後以過人之勇龍蛇之亂赴忠武公李舜臣幕累捷閑山之役竟殉節錄宣原從二等功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郡守公事蹟 公諱繼宗字奉先掌令之証孫天資魁傑磊落剛明癸卯登武科成宗戊子江原道量田巡察使行雲山郡守 宣廟壬辰倡義率軍深河之役力戰殉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鼇川公行蹟 進士晉山姜申永公姓李氏諱慶逸字士尙號鼇川其先世聞德具在牒中公以嘉靖戊午三月一日生于普洞本第自幼聰頴絶人纔授學不勞長者而如誦己言旣長服習庭訓潛心性理之書無不迎刃而解至於應時適用之文操筆立草略無凝?癸卯中司馬仍除 建元陵參奉蓋異?也崔遲川鳴吉見其文辭之典重博雅稱歎不已曰此是性理之文豈場屋士所可尋常做得耶要與一見公辭不往官至通訓大夫禮賔主簿光海政亂因郞見幾勇退絶意榮途構精舎于鼇山之下竹川之上扁其楣曰鼇川蓋以寓仁知之樂也臨財澹如制行嚴正人莫敢非義之物干之事親至孝瀡滌之奉極力殫誠以養其志奉祀接賔檢家課業皆有品節日與學子軰講論文史游泳終夕胷襟蕭灑有物外標致南鄕士人過從者無不服其行而仰其高必稱曰鼇川先生天啓丙寅考終于第享年六十九配淑人高靈申氏府使光浩之女繼配淑人康津崔氏僉正南秀之女内外子孫多不盡錄噫余見文簡公蒼石先生家牒欽誦其世德之駿烈今觀鼇川公行錄興陽之李何其多賢君子名大夫也獨恨公行宜之篤抱負之重不得施於笙鏞黼黻之廷而遭時昏亂卷而懷之許大志業終老林泉且其嘉言善行集說殘缺於欝攸之大是重可慨也謹按其家狀而櫽栝如右以竢夫立言君子之採擇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미년 송광도회소(松廣道會所)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己未▣[三]月日 松廣道會所 光州 幼學 朴必大 等 47名 興陽鄕校 己未▣[三]月日 朴必大 興陽鄕校 고흥 무열사 한국학호남진흥원 기미년 3월에 송광도회소(松廣道會所)에서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右文爲通諭事 崇節褒功我東盛典 慕賢揭虔吾儒美事 方此一道齊會 修錄節義 區區激昂尤有不已 張許建祠靑巖高士獨欠享典 則亦豈無百世之公議乎貴邑 贈判書松溪陳公當龍蛇之亂 豊功偉烈 昭如日星 旣蒙朝家之褒 贈 而尙欠俎豆之享儀 則道內公議猶爲慨然 况 貴鄕之習熟見聞者乎 惟願 僉君子特推山斗景仰之懷 以設苾芬永薦之所 幸甚 右敬通于興陽鄕校己未▣(三)月 日 松廣道會所出文 光州幼學 朴必大 高廷濼 羅州儒學 金濬禧 崔元之 全州儒學 金尙直 柳濼 南原幼學 邊穮 朴東寶 靈光幼學 李以鑑 崔良國 長城幼學 鄭學明 李相觀 古阜幼學 孫宗孝 崔象斗 玉果幼學 權演大 沈履鎭 鄭喆僑 金埼 茂長幼學 吳相鳳 宋基學 興德幼學 李仁復 金▣厚 泰仁幼學 閔百允 曹▣河 同福幼學 河▣▣ 徐一榮 南平幼學 洪翼鎭 金直海 務安幼學 鄭▣魯 鄭▣斌 咸平幼學 ▣▣▣ 白▣▣ 淳昌儒學 韓學▣ 郭思顯 任實幼學 洪三宅 金堤幼學 吳準權 安義宅 長興幼學 魏守梁 金鼎秀 順天幼學 鄭煥奎 趙基鎭 谷城幼學 李箕秉 高山幼學 崔濼 益山幼學 黃錫胤 高敞幼學 金命來 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冠巖先生祝文 冠巖魯先生伏以忠孝資質文武才器名聞華夏義爭泰嶽玆値【春秋】丁精禋是宜粢盛庶品式陳明薦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復享告由文 恭惟玆院奉妥二賢敬薦俎豆後百餘年往在戊辰大同見毀後玆設壇旋復停祭道有否泰世有升沈士林詢謀復亨于今玆涓吉辰陳此蘋藻謹具厥由用伸虔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修菴遺稿序 曾聞於艮翁先師曰以文章自衒而氣節無可觀者殆無異於鸚鵡之能言以氣節自多而孝悌無足稱者亦自墮於客氣之用以孝悌自足而學術無所資者亦未免於野人之失今求之世惟故友修菴丁公名炳敎者可以免於此矣公以豪邁才藝卓犖志氣生於詩禮古家以隱居行義之菊坡公爲父一世大宗師農山申翁爲舅入而內出而外耳擩目染若非文章氣節亦是孝悌學術也以余觀之其於述懷應求之文凝精覃思下一字不苟者公之文章也擧世鶖惓之日固守華夷大防自持頭可斷髮不可截之義者公之氣節也自少趨庭志體備養而常恐有所不及者公之孝悌也家冷親老深恨早不就正艮翁之門私淑於石農吳公者公之學術也若使艮翁在世豈不曰文章而氣節可觀孝悌而學術有所資也乎假有月朝者曰全體之君子誰敢曰溢鳴呼偉哉窃想有諸中必見於外故公之發於肺腑成於咳唾者藹藹然由仁義秩秩乎付經意與世之啄字棘句徒飾邊幅者不啻天之於淵所謂君子之言有益于當世有益于當世則有益于後世者也此有益于今與後之文而永藏塵篋爲蠧魚之食而己則其爲宗族知舊者失後死之責大矣今其從弟炳勛君謂余爲公之管鮑交來請掃塵而爲玄晏俯仰今昔難可牢辭自不顧佛頭之穢而敢副其請以表平生難忘之誼更足之曰氣淸者數局從古然矣今公之數似亦不可謂不局矣未知何日沐梨易紙使世之讀者有所興感而柯則也哉是所敢望於丁門諸宗而不己者也噫噫戚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谷遺稿序 我先師艮翁先生講道西海之濱門徒彬彬殆滿一國而多有天才儁永自修誠篤升其堂嚌其胔名實俱隆者月谷宋公基襄亦其一也嗚呼公早受學於家庭其大人待憤悱而啓之發之擧一隅能以三隅反若決江河沛然莫之能禦若有月朝者必以公爲孟子所謂豪傑之士矣而公則常不自足就正於一世大宗師艮翁艮翁一見以爲可與適道於心性理氣之本源知行動靜之體用䌤縷開喩公不得不措深思推究曉得要領而後乃己其書疏問答至纍數多言其略曰遠承足下書以立志爲己二者爲爲學之大要擎覽再四有以見足下之知所本而務其實亦以感足下之察我病而發我藥也我將師足下何以爲足下師乎又曰今某與足下只要志一於道奉爲師範而早夜孜孜不成不止其於時儒之上者爲心爲靈下者爲名爲利之流視若別派而不能相爲謀可也克齋宋炳瓘亦一世有名大家而記公之月谷精舍有曰仁人君子道旣不得行則惟追逐雲月上下巖谷如金華諸賢可也推以極之則雖吾夫子浮海之歎亦不幸而躬蹈之矣此先生之稱許克齋之期望如許至重至大則公之爲公亦可推想矣於乎賢哉公成己巳高推之及人掛牌秉拂成就者亦多鄕隣之負笈冠丱稱先生不問可知爲月谷也其積於中者見於外與知舊往復及應人之求吐辭成文述懷賦詩纍數大篇汪汪洋洋率皆傳經義有寬裕敦厚之義淸遠警絶之氣此與世之粉飾塗澤彫哢絢然不過爲彩籠中鸚鵡語者不可同日而語也其族英基奭一一攟摭於積紙堆中使公之胤逸釪縮衣節食將圖壽傳也來請帝虎之役玄晏之文顧我寸筳不敢撞大鍾然公祭我先親畏己齋文有曰有疑質有問答辭旨諄複令人有深省處敢自謂就正有所庶幾不爲小人之歸云云則公之待我先親不如凡常長老而況余於公牟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490722b.GIF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pixel, 세로 46pixel相居有騎竹同門之誼酸鹹辛苦無一之不同少無差殊於天親之昆弟而居然幽明過隔踽凉此世如秋蟬之抱樹孤吟矣至于今日摩挲其遺文感淚先落不知何以置辭也然反以思之不無後死之責故敢畫蚯蚓之聲以示世好而惟佛頭布穢則主臣主臣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