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內儒生■■(幼學)〔進士〕臣鄭海■〔㝡〕等右謹 啓臣矣段臣矣身等伏以尊尙道學 朝家之盛典闡揚誠孝士林之公議是白齊今有篤學至孝 之士出於父子而生未及 㫌表之㤙死未蒙 施貽之贈實由於章甫之論未徹於黈纊之聼是白乎等以臣矣身等寕犯分義之屑越而懼此卓行之湮沒玆敢相率籲天爲白置嗚呼長水縣故學生臣李奎鉉即宗臣完原君?十一世孫 贈吏曺參判臣在元之子也以俊偉之 資負公輔之望早爲先生長者所推詡而遂屛跡江湖常取近思錄性理大全古來孝子忠臣性情所發名篇等書講誦蘊奧爲終老 計不赴名利之塲用工本源操履敦嚴其學專務篤實謙而益光及至晩年德邵行尊猶且有歉然不自足底意其於誠僞之分利義之 辨未甞不斤斤焉其動静語默必循䋲墨孝友著於家庭行義稱於鄕黨雖不自居於道學而人莫不以道學推之矣道內宿德之 士執經問難錄在師弟之列而道臣俱以奎鉉學行才局屡次剡薦雖不見用於世其有功於斯文者甚夛是白乎旀奎鉉有子曰洛承 亦以聡慧之資早襲家庭之訓自在髫齔事親至孝而家甚貧寒懷橘之誠負米之行不待敎導能之隣里族親咸歎其孝是白加尼及 乎父病之沉篤洛承尋醫問藥祈天代命至其殞絶之日哀毁踰節水醬不入口至其葬也廬墓執慽昕夕拜哭三年如一日洛 丞時年十九闋制之後遂絶意榮途不登赴擧之行以早喪其父爲終身之痛事其母宋氏如事其父親執甘旨以養志爲本晝耕 夜讀克守家傳之學是白加尼粤在丙申其母病谻洛丞躬煎藥餌甞糞甜苦氷魚簷雀之感靈應求者不止一再是乎旀及乎遭 變號哭擗踊絶而復甦初終葬埋竭力營辦廬于墓側哭泣不絶於口衰絰不離於身毁瘠深墨哀慕踰禮墓前三年當膝之跡 草木枯死前喪後喪一如無减其終制之後托志於山水之間遂以埜隱自號新搆第屋爽然胷次却忘煩聒之俗自引捿息之趣 庭植雙梧門栽一柳以寓霽月光風之味自有詩曰士友存尋成格語穉兒敎訓覺深情於此足以知草野遺逸之義也而遠近師友之記序撰 誦者固不可一一枚擧是白如乎其父其子之宲行宲蹟至今播傳人口而猶未蒙 貽贈㫌表是乎尼此 昭代之欠典也臣矣身等不懼斧銊之誅 玆敢齊聲仰塵於法駕之前爲白去乎伏乞天地父母 特念故學生臣李奎鉉淵宏之學及其子洛承卓越之孝 爰命該曺 亟施憲府指 贈且㫌其閭 事伏蒙天㤙爲白良結白去乎詮次善啓向敎是事望良白內臥乎事是亦在謹同治六年三月 日幼學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서(上書)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금께 전라도 담양부에 살았던 고 학생 이진민의 탁월한 효행에 대해 정려를 내리고 증직해 줄 것을 청원한 상서의 초본 임금께 전라도 담양부(潭陽府)에 살았던 고(故) 학생 이진민(李鎭玟)의 탁월한 효행에 대해 정려를 내리고 증직해 줄 것을 청원한 상서의 초본이다. 문서의 도입부에 '효성을 옮겨 충성을 하므로 선비가 힘써야 할 것은 오직 효(孝)가 가장 크고, 반드시 효자를 충신으로 구하므로 왕도 정치에서 먼저 장려하는 것도 효이다. "효가 인(仁)의 근본이 된다"는 것은 『논어』에 드러나 있고, "임금이 노인을 노인으로 대우하면 백성들이 효도하는 마음을 일으킨다"는 것은 『대학』에 설명되어 있다. 보고 느껴서 추천하는 것은 선비와 벼슬아치가 사모하는 데에서 비롯되지만 정려(旌閭)해서 포상하고 권장하는 것은 제왕의 후한 은전'이라고 효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포상을 청원하는 대상인 이진민의 효성의 실행과 그의 집안에 대해 '전라도 담양부에 살았던 고 이진민은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봉양함에 문안드리는 일과 맛있는 음식을 바치는 일을 조금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어머니가 늙어 오랫동안 병석에 누워 있을 때에는 아침저녁으로 똥과 약을 직접 맛보고 하늘에 자신이 대신 아프게 해달라고 빌었다. 모친상을 당하여 곡하며 슬퍼하는 이진민의 모습을 보고 모두 슬퍼서 눈물을 흘렸다. 장례부터 탈상까지 3년동안 한결같이 『가례(家禮)』를 따랐으니 불시에 손가락을 자르고 허벅지 살을 베어 내는 것과는 같이 놓고 말할 수 없다. 이진민은 늙은 어머니가 평소 유일하게 좋아한 산꿩을 아침 저녁으로 바치면서 늘 부족함이 있을까 염려했는데, 시전(侍奠) 때에도 이와 같이 하였다. 모친의 소상(小祥) 날에 뜻밖에 꿩 한 마리가 공연히 날아 들어와 궤석(几席) 사이에 엎드렸으니 이것은 잉어가 얼음 위로 뛰어 나오고 참새가 방으로 들어오는 것보다 뛰어난 감응이다. 이진민의 효성은 그 유래가 있으니 그의 8대조 학생 형(蘅)은 타고난 효성으로 이미 조정에서 정려를 명하였고, 그의 6대조 인경(寅卿)은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고 설명하였다. 끝으로, '전하께서는 효로써 나라를 다스리시고 이진민의 탁월한 효성과 자신들이 말하는 것이 거짓이 아니라는 것을 살펴서 유사(有司)에게 정각(旌閣)을 빨리 명하여 국가에서 효를 권장하는 교화를 드러내기를 간절히 바란다. 만일 효자 한 사람이 있다면 먼 지방이라 하더라도 정려하고 증직하여야 하니 자신들은 지극한 효성이 사라질까 매우 두렵다'는 내용이 실려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乾化命癸未木 祭主子癸亥水 孫戊子壬辰坤生命壬辰水 婦己巳木 甲午葬山辛兌龍辛入首辛坐乙向運正戊辰木 泊 令辛金洪同開土七月十八日壬辰巳時穴深從地宜取土丙丁方安葬同月二十四日戊時下棺申時啓殯冲壓癸卯甲辰甲戌戊辰生少遜停立丙丁方諸條擇根甲午金丁巳苗壬申金庚壬花戊戌木辛丁戊實庚申木庚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伏以移孝爲忠則士行之所當勵者惟孝爲大求忠必孝則王政之所先奬者亦孝是已孝爲仁本魯論著訓老老興孝曾傳揭說則觀感剡薦從由於衿紳之景慕而 旌褒勸厲莫非帝王之優典也惟我㕵家文治炳蔚倫綱畢叙八省列邑孝子之旌閣錯落相望其中卓異者加之以賜復惠之以 貤贈則斯豈非風動當世以勸來裔之一大經法也耶臣矣身等所居湖南地雖荒遠亦風化中一區而省內潭陽府近有出天呈異之孝敢此擔實以請命于 朝惟 聖明垂察焉盖臣等所擧者故學生臣李鎭玟是也鎭玟之孝自從髫㱓已知悅親不待勉强而能之則雖謂之根天實不爲僣語矣早失所怙稍長以不得養抱平生慟偏侍慈闈定省之節甘旨之供不敢少懈其母年耄長頹病褥甞糞甞藥祈斗願代等事實非一朝一夕之故一生如一日及至奮號哭踊搬擗之狀苟有血氣者孰不興感而下淚也喪而葬葬而祥一遵家礼遂不觧經三年如一日則此與不時斷指割股者豈可同日而語也其老慈平日所嗜惟山雉也而日夕需供極力營辦惟恐欠闕侍奠亦如之忽於練祀之日料外一雉公然飛入伏於几席之間誠孝所感天之效異何其速也殷之雊雉告箴也非孝也魯之馴雉尙化也非孝也斯可與鯉之躍氷雀之入戶同一感應者歟以省內言之徐孝子墮器之蛙孔孝子含虫之鵲著於㕵乘垂之野史寔至于今塗人耳目臣矣身等窃以爲鎭玟招雉之異當曰伯仲於蛙鵲之間而或可振作此來世爲人子者也且其孝源有自來矣鎭玟之八世祖學生臣蘅誠孝出天特自 朝家已爲 命旌其六世祖寅卿參錄 宣庙朝原從功臣其九世以上簮縷世襲亦可爲湖南望族豈可一一枚擧仰塵 乙覽也伏願 殿下以孝爲治深 覽鎭玟卓絶之孝 察臣等所言非誣明詔有司之臣丞 命 旌閣以彰 㕵家獎孝之化無任激切屛營今當 聖明之世誕敷孝理之政而苟有一孝則雖在遐荒之外猶且表章而 褒尙之 旌其閭而 贈其秩是白如乎臣矣身等實懼至孝之泯沒玆敢裏足相率籲天爲向置嗚呼潭陽故學生臣李鎭玟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日康津縣考癸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允年三十九乙丑本仁同奉父折衝武良年甲申故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金姓年三十九乙丑本金海父渭載祖天碩曾祖愛明外祖鄭武賢本慶州率子啓得年十九乙酉等相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日康津縣考癸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運年三十四庚午本仁同父折衝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秋姓年三十四庚午本羅州父嘉善大夫尙連祖命金曾祖松伊外祖趙奉伊本平山率子啓哲年十甲午等前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日康津縣考癸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銀年三十二壬申本仁同父折衝武良祖學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韓姓年二十七丁丑本淸州父德永祖信載曾祖得戒外祖金尙元本金海等相準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一年 月 日康津縣考丙午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道音岩里第 統第 戶旗牌官張大彦年四十六辛酉本仁同父折衝武良祖弘曾祖德龍外祖金牙賢本金海妻李姓年四十六辛酉本慶州父重伊祖善用曾祖奉夏外祖金延分本金海率女阿只年十四癸巳次子延金年十一丙申等相準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一年 月日康津縣考丙午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允改名天翼年四十二乙丑本仁同父折衝將軍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金氏年四十二乙丑本金海父渭載祖天碩曾祖愛明外祖鄭武賢本慶州率子啓得年二十二乙酉等前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최종득(崔宗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58 谷城縣監 崔宗得 谷城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58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58년(철종 9)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종득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4통 1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62세 정사생(丁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종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덕연(德延), 할아버지 학생 동룡(東龍), 증조(曾祖) 학생 귀선(龜善), 외조(外祖) 학생 박광필(朴光弼)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최종득의 아내 정씨(鄭氏)는 나이 62세 정사생이고 본적은 경주(慶州)이다. 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대익(大益), 할아버지 학생 치성(致成), 증조 학생 인국(仁國), 외조 학생 권재필(權在弼)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가족으로 모시고 있는 어머니 박씨는 나이 85세 계사생(癸巳生)이다. 아들 수갑(秀甲)은 나이 22세 정유생(丁酉生)이며, 며느리 이씨(李氏)는 나이 22세 정유생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소유하고 있는 종으로는 상원(尙元)이 있다. 이 문서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과 관인(官印) 및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와 1855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을묘상준(乙卯相凖)'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종득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年神方位之圖太歲在丁酉【幹火枝金納音屬火】歲德在壬合在丁【丁壬上宜一日得辛修造取土二龍治水】碧白白黑綠白赤紫黃坤奏書申病符庚空酉太歲【大殺歲刑】辛空戊金神乾力士亥喪門【飛廉金神】壬空子空癸空丑官符【畜官黃幡】艮博士寅劫殺【死符金神小耗】甲伏兵卯歲破【大耗金神灾殺破敗五鬼】辰歲殺【蠶官】巽蠶室巳蠶命【白虎】丙空午大將軍丁空未太陰【弔客五鬼豹尾】右各神所臨之地惟奏書博士宜向之餘各有所忌若有破壞須修營者以天德歲德月德天德合歲德合月德合天恩天赦毋倉所會之辰或各神出遊日倂工修營無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丁巳正月初九日 破契時目錄元利合金二百八十六兩三戔五分內五十兩文守畓價又六十三兩麻布■六疋과內珠三疋價除又八十은(三人外昌云)葬費豫算條除又三十兩棺板三件價除又五兩四戔窓紙三束價除又三兩南草三把價除又四兩五戔慰問酒價除合一百八十五兩九戔內三人每名下五十五兩三戔式除在二十兩은昌云出給條在百00四戔五分內七兩八戔二分各外人許給條除實在九十二兩六戔三分四人名下二十二兩一戔六分夕守가 三十三兩九戔四分을式百當하야■…■二十二兩五戔二月初持去 乃弘出給【麻布五疋任置中一疋價七兩?付ᄒᆞᆷ每名下二兩三戔三分又五十九兩八戔六分 式合六十二兩一戔九分出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靑山若有封侯地豈不當年葬汝祖答蒼天假我長生地最看人間積德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癸卯式單子第七統三戶 寡婦朴氏代子崔宗得年四十七丁巳本全州父學生 德延祖學生 東龍曾祖學生 龜善外祖學生朴光旭本密陽奉母歲七十癸巳妻鄭氏歲四十七丁巳籍慶州父學生 大益祖學生 致成曾祖學生 仁國外祖學生權在弼本安東[谷城縣監之印]行縣監[署押]賤口奴尙元年二十一 庚子相凖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貳拾陸年 月 日和順縣考丙午成籍戶口帳內東面住第九水冷川里第二統第五戶鱞幼學金在廷年四十九戊午本光山父學生 啓鉉祖學生 日海曾祖學生 錫三外祖學生李萬榮本全州奉母李氏齡八十七庚辰子祺玉年二十八己卯婦兪氏齡二十六辛巳籍杞溪婢惡春年四十五壬戌 癸卯戶口相凖印 [周挾無改印][和順縣監之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庚子式單子 二統五戶 [周挾無改印]戶 寡婦朴氏代子崔宗得年四十四丁巳本全州父學生 德延祖學生 東龍曾祖學生 龜善奉母朴氏年六十七癸巳籍密陽外祖學生 光旭妻鄭氏年四十四丁巳籍慶州父學生 大益祖學生 致成曾祖學生 仁國外祖學生權在弼本安東行縣監[署押][官印]賤口奴尙元 庚子〖丁酉〗式相凖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芝山面 日谷里盧 斯文 軫永 氏宅(피봉_뒷면)下南面 眞谷里眞泉祠(簡紙)伏惟麥黃體宇萬重. 生等依劣分幸. 就眞泉祠遺墟碑, 幸賴貴執之厚賜, 得良材, 巨匠工役, 今玆垂成. 此是吾道之所寄士林之慶幸. 以來月端午日, 將堅碑于佳作舊址. 惟願座下屆期光臨, 指揮方畧, 期圖玉成, 而當日欲各自言志, 以寓追慕之誠, 不有佳作, 何伸雅懷. 故拈出四律韻字以呈, 幸勿惜金玉之音, 投稿于當席乎否? 餘不備. 惟下在.乙亥四月二十日李啓琮 金錡洙奇琮燮 李載春高維相 高光瓚 等鄭友源 有司 朴魯宣梁鎰黙押韻 眞親辰隣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拾柒年 月 日和順縣考丁酉成籍戶口帳內東面住第十水冷川里第二綂第一戶幼學金在宇年四十戊午本光山父學生 啓鉉祖學生 日海曾祖學生 錫三外祖學生李萬榮本全州奉母李氏齡七十八庚辰妻金氏齡四十戊午籍慶州父幼學 光浹祖學生 鼎元曾祖學生重鎰外祖學生李命奎本光山弟 在榮年二十七辛未嫂朴氏齡二十七辛未籍密陽子 龍鐸年十九己卯婢惡春年三十六壬戌 甲午戶口相凖印 [周挾無改印][官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日谷里盧軫永氏(피봉_뒷면)陽山里崔南斗(簡紙)拜啓時餘體候大安耳. 生, 惠念無事, 是幸. 就悚碧梧桐木三本,山櫻木三本送呈, 則 貴庭院植栽, 仰祝仰祝耳. 餘惟不備禮上.乙亥二月念八日,生 崔南斗 拜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盧 軫 泳 氏(피봉_뒷면)光山郡 西倉面 細荷里金漢奎(簡紙)伏惟仲秋尊體萬重, 仰溯且祝. 就今月二十七日, 卽家親周甲也. 而畧設小酌, 右日午後一時屈期光臨之地伏望耳. 餘不備禮.丙子八月二十一日,金漢奎 拜上.押韻 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