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維新虔享瀛山東衛道尊賢古士風宋子德儀萬世準斗翁功業千秋蒙文章盡是羅麗後忠義無非漢魏中史筆丹心受命地魯陽靈幀生時同 後學金海金鏡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聞道瀛州楚水東魯陽院宇振文風平生心學受尤老百世芳名傳後蒙已見祥雲開海內更逢瑞日到天中子孫追慕如斯極況復春秋士友同 後學瀛州李鍾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天設靈區玉峀東亭亭院宇挹長風摳衣函席曾聞道致力群經善誘蒙五曲江嗚來檻外三神翠適入簾曾乾坤靜裡貧猶樂一片丹心太古同 後學瀛州李炳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華陽道德冠吾東門下斗翁亦襲風淸節當年難有敵遺芳百載尙開蒙志能堅確安貧除學益高明被獎中鄕士爰成魯陽院尊賢禮數古今同 後學長城徐厚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數間廟宇在瀛東今日猶存洙泗風尤老春秋名萬國斗南道學啓群蒙大星曾落井州上眞影儼臨魯院中遠近士林心力合師生歲歲精禋同 後學義城金儀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儼然院宇築山東賢士芳名百世風好學一生修道德遺傳萬語啓愚蒙焚香己亥小春節恭祭魯陽黃菊中儼若神精歆享席鄕儒趨拜誠心同 後學晉陽河秉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地僻景深瀛海東儼然祠宇動和風道尊數仞恭修德學設絳紗嚴訓蒙雅操鳳翔千丈外逸心鶴舞九皐中尙有飄飄光霽像士林褒薦我邦同 後學瀛州李泰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강영만(姜永滿)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同治九年庚午二月日 幼學 姜永滿 行郡守 同治九年庚午二月日 姜永滿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70년(고종 7) 2월에 유학(幼學) 강영만(姜永滿, 57세)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70년에 幼學 姜永滿이 靈光郡守에게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一統 第一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측인명당도(側人明堂圖)·복인명당도(伏人明堂圖) 고문서-치부기록류-병록 鴻寶齊書局 곡성 이천서씨 서민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上海 鴻寶齊書局에서 발행한 側人明堂圖와 伏人明堂圖. 옆으로 누워있는 인체의 血자리를 그려 놓은 側人明堂圖와 엎드려 누워있는 인체의 血자리를 그려 놓은 伏人明堂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화제(和劑) 고문서-치부기록류-화제 곡성 이천서씨 서민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각종 질병의 처방전과 丸藥의 만드는 방법을 수록한 和劑. 草烏丸, 濟衆丸, 治百瘡, 鍾乳丸에 필요한 약재와 만드는 방법을 수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이곤(李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八年戊子式 行郡守 幼學 李坤 道光八年戊子式 靈光郡 李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0), 靈光郡戶口(흑색, 12.2×3.6)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28년(순조 28)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 1828년(순조 28)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7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9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4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곤은 1831년 이후의 문서에서 이이곤(李以坤)으로 기재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錦霞李學士【根秀】三首 西雲遙望定州城。治績朞年遠播聲。百里何嫌賢者路。漢朝循吏盡公卿。太守欲歸不得歸。黃童白叟攔道圍。寄語西民休苦挽。使君歸省多時。定原政事極仁慈。聞說方春賑貸爲。窮民豈獨西州已。須念蒼生際此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川上齋八景 日峯朝陽曉起移床曲檻東。淸明夜氣望中通。林間宿鳥啼飛下。知是峯頭瑞旭紅。古縣頽堞城邊草沒牧兒歌。歲月無情興廢何。斷壁蒼藤成畫本。山雅古木夕陽多。舊寺寒鐘白雲深處起人烟。寺在東峯第幾邊。每有鐘聲傳夜半。無心喚覺百來年。龍巖飛湍造化全功巧復深。跳珠噴玉掛長林。巖龍爾亦成雲雨。去向人間作旱霖。馬岡淸風莫道蓬萊誤問眞。東岡一曲可怡神。脫巾露頂北窓下。珍重淸風來故人。天鳳歸雲一片歸雲天鳳山。無非無是遠人間。怪君不是紛忙客。出岫何心去復還。瑞石落照天雲捲盡落霞飛。山影東邊鳥欲歸。忽覺書樓紅映錦。蔥籠瑞色射人來。月谷霽景雨餘新月掃冥濛。碧落靑山一色空。洗得塵寰長似鏡。豈勞喚起靈臺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盆梅四首 一盆圓樣小如臺。誰採芳根巧意栽。爲向煖陽朝運去。恐添寒瘦暮移來。半尋花對屛間月。數掬土封石上苔。不是主人偏愛格。推原太極見梅開。不是花仙孰是仙。水仙香外爾眞綠。分明一片羅浮月。暗動三淸桂樹烟。新蘂每從千卉首。古査如託百年前。攀來始識栽培意。爲看玄機造化天。洞闢靑陽帝出臨。先鋒花氣暗相侵。淡粧曾入師雄夢。冷笑難禁杜老吟。若嗅芝蘭賢士室。疑熏檀麝美人襟。無情閱盡風霜苦。白首如人見素心。盥餘盆水浥淸塵。經濟山林喜有人。癰腫孤根身易老。新鮮一樹足爲春。最宜消渴巡盃亂。未試調羹入夢頻。格韻那能容我力。橫斜疏瘦各天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夏日。登亭 林亭五月覺衣凉。消遣閑愁此有方。雨過園庭梅子老。風欥籬落竹孫長。有樽不妨心淸白。無事何煩口紫黃。滿野春光隨手綠。招招農老問東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蘆沙先生歌詞飜眞 功名爾自饜兮。富貴我且厭兮。閉門深山昏兮。對冊師友尊兮。待我者有誰兮。興盡時浩然歸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族姪【承赫】赴完山【臨終時絶筆】 將軍老白首。結髮戰凶奴。百戰戰非罪。無功奈數無。嗟哉我菊圃。韞玉待時沽。風雪完山路。桑楡定可圖。石田集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