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酬南坡見贈。【三首】洪紫陰樂命【文淸公】 湖海漫留魚鳥盟。風塵浪作白頭生。不帷十載對賢聖。上供偏親寄釣耕。志結風雲高步地。詩多遲暮不平鳴。胷中未遣難銷氣。故自顚往外法程。從君已結金蘭盟。可莫榮枯變死生。有志攀龍光竹帛。那思將鹿混樵耕。文章何但一時伏。聲價正須百代鳴。折桂何論時早晩。白頭高步向雲程。天地與君有大盟。百年判不作虛生。但使進擎丹極日。不怨去作白頭耕。以玆落落鯤鵬志。肯效區區斥鷃鳴。終應快展靑雲上。活氣扶搖九萬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敏榮歸不可無志喜。病中聊吟奉別。同上 倜儻吾宗士。文章倒一時。有花餘宿淚。攀桂展衰眉。長笛烏山山路。恩袍錦水湄。莫言能事畢。自有歲寒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兄南坡先生。擢第歸鄕。不可無志喜。臨發走艸六絶。奉呈行幰。洪致榮【文科正言】 江上秋蓮晩自開。功成百戰鬢毛皚。始知窮達由前定。況復文章夙抱才。看花三日馬蹄高。嘶向桑原氣更豪。長笛一聲歸去路。垂楊芳草暎靑袍。懷書十上欲何營。擬就榮名慰母情。忽忽餘生風樹恨。那堪簪笏泣先塋。移孝爲忠自一門。好將孺慕答君恩。除非榮辱關心力。白首寧憂世路奔。十年交誼見吾宗。憶在齠齔負笈從。自此文園衣鉢托。平生詞賦愧允庸。長歌短詠勸深觥。不似前年渡灞行。別後幾回看月滿。歸鞭好伴雁南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宋相林 多文蓄德貪何傷。遠播馨香重一邦。雁塔名高同李賀。龍池筆落獻長楊。淸時擬濟經綸策。晩歲還吟疚病床。忍見重泉理玉樹。春風花鳥助悲涼。德業文章一世鳴。好官不足爲公榮。公歸有子傳書籍。福履他時可得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崔福鉉 忍記當年吾祖言。先生德器世稀存。廟堂不幸喪良佐。鄕井無依乏達尊。執雉古情文擧宅。登龍喜色李膺門。家聲孝友傳賢嗣。哭盡吾私慰九原。鄕隣化德霑如雨。學子開疑撥若雲。今日斯翁何處得。可憐天不眷斯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46년 진만동(陳萬東)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十一年九月日 陳萬東 乾隆十一年九月日 英祖 陳萬東 施命之寶(10.0×9.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46년에 영조가 진만동(陳萬東)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46년(영조 22) 9월에 영조(英祖)가 진만동(陳萬東)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守門將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92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七年正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七年正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0×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92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로 임명한 고신(告身). 1792년(정조 16) 정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監司泰永【吏參】 遙憶從遊澗北樓。淸樽秀句好風流。若論湖海英豪士。應使夫君處上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徐監司鼎修【吏判】 玉立楓山降淑氣。洪崖百代舊名家。淸時槖征蓬廬閉。病枕支離北闕遐。往日封章懷白簡。衰年增秩泣黃麻。嗟嗟素蘊將何試。輓紼空山暮雨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陳後平爲禦侮將軍興陽監牧官者康熙五年七月初五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무년간 진상조(陳尙祚) 지계(地契) 고문서-증빙류-지계 경제-매매/교역-지계 光武年月日 陳尙祚 光武年月日 1897~1906 昆陽郡 陳尙祚 昆陽郡印(4.3×4.4), 昆陽郡守之印(2.5×2.5), 1顆(1.4×1.4), 1顆(2.5×1.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광무 연간에 곤양군(昆陽郡)에서 진상조(陳尙祚)에게 발급한 지계(地契) 서식. 광무 연간에 곤양군(昆陽郡)에서 진상조(陳尙祚)에게 발급한 지계(地契)의 서식이다. 지계는 대한제국기의 근대적 토지 소유권 증명부이다. 하지만 이 문서는 서식틀에는 진상조란 이름과 곤양군인(昆陽郡印)등 인장만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1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咸豊十一年辛酉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咸豊十一年辛酉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7.3×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61년(철종 1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61년(철종 1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동촌(錢洞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7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57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두성(陳斗星), 며느리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680년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拾玖年庚申二月十三日 元財主 故 禦侮將軍 行訓鍊院判官 陳後平 妻 鄭氏 子女 等 康熙拾玖年庚申二月十三日 鄭氏 子女 等 後寔[着名], 後蕃[着名], 宋時亨[着名] 1顆(4.4×4.2)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68_001 1680년(숙종 6)에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기 위해 작성한 분재기(分財記). 1680년(숙종 6) 2월 13일에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기 위해 작성한 문서이다. 정씨는 자신이 연로하여 병을 얻어 죽을 수 있으니 노비와 전답을 자녀들에게 균등하게 나누겠다고 재산 상속의 사유를 기재하였다. 이 문서는 족자에 배접 된 상태이다. 이 문서를 작성할 당시 가옹(家翁)인 동생 유학(幼學) 진후식(陳後寔)과 진후번(陳後蕃)이 증인으로 참여하였고, 송시형(宋時亨)이 필집(筆執)으로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濟州牧使公行狀 公忠道都事豊山柳疇睦公諱壽生姓李氏字?當喬桐主酗虐退歸興陽以終墓在尙州之東無量洞先兆左申坐表石毀於壬燹其所記有無不可知世益遠事蹟沉沒莫有能尋逐者十三代孫興基裒集其雜岀於邑誌家乘及文簡公蒼石先生家牒四佳徐文正公佔?金文簡公先生贈公遺詩可據爲殁信者草出遺事一通使其族弟敬基姪子貞奎北走七百餘里屬疇睦爲撰次之役於是乎公之事行庶幾有徵矣李氏出興陽自高麗生員諱彦林始是爲公十世祖八世祖諱陽升衛尉將軍高宗時破契丹立功竟殉節於渭州大顯高祖諱吉文科封興陽君曾祖諱舒原文科入本朝官左贊成祖諱垠文壯元官大司憲考諱堰蔭進官全州府尹 光廟賜手書褒清白士林爲建祠享之商山誌曰公以武擧官濟州牧赴州時佔畢齋送之以詩詩見本集是則公之以武科進可知也家乘曰公爲通政大夫昌原府使晉州濟州牧使燕山朝退居興陽與四佳佔畢相善前後赴官皆有贈詩是則公之通政以前之歷官不傳可知也文簡公家牒曰濟牧與畢齋相善赴濟時有贈之詩二老者當世之鉅匠而儒宗也其亢少可不拘言孰如二老而公之取端於二老二老之推重於公亦豈無所見而然哉今其詩有曰忠孝一生雙美具滿城冠蓋送君行則其多少盡分於君臣父子之間而一時諸名勝之遞筩酬唱以侑其樂可見也有曰聚落半隨龍虎集溪山眞似羽人居則其静制間御而古之所謂吏隠可見也以其超邁之姿卓異之操出而供世誰之不如而値廢主駭機將萌則獨乃超然遠引晦跡荒海沒齒而無悶此豈非明哲者耶苟非精義入神其何以辨之早而退之勇也是可以爲狀而傳諸久遠矣謹就說粗加整齊如此丙辰移葬于豊陽博士洞丙坐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