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처 고씨(高氏)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五年六月日 孺人高氏 光緖五年六月日 高宗 高氏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5×10.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02_001 1879년(고종 16)에 유인(孺人) 고씨(高氏)를 숙부인(淑夫人)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879년(고종 16) 6월에 고종(高宗)이 이복필(李馥弼) 처(妻) 유인(孺人) 고씨(高氏)를 숙부인(淑夫人)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좌측에 '折衝將軍 僉知中樞府事 兼五衛將 李馥弼 妻 依法典 從夫職'이라는 방서가 기재되었다. 이는 법전에 의거하여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겸(兼) 오위장(五衛將)인 남편 이복필의 관작에 따른다는 뜻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이현필(李鉉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三年癸卯式 行郡守 幼學 李鉉弼 道光二十三年癸卯式 靈光郡 李鉉弼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3),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3년(헌종 9)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현필(李鉉弼)의 준호구(準戶口). 1843년(헌종 9)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현필(李鉉弼)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현필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9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27세 정축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강씨(姜氏)는 27세 정축생이며, 본관은 진주(晋州)이다. 이현필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雜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傳。申箕善【陽園】 李上舍最善。字樂裕。自號石田耕人。讓寧大君之後也。世居湖南之潭陽。爲儒家。上舍幼頴悟。器量寬重。有長者風。十三。誦經史業功令文。旣長。遊於蘆沙奇先生之門。先生。湖南儒宗也。摳衣者盈門。而於上舍。期詡尤重焉。上舍之事先生。服勤無方。如事父母。其談經禮說心性。未必賢於諸子。而至悅其道而得其心法。則未有若上舍者。哲宗己未。中司馬。壬戌。三南民大擾。列城風靡。潭人將煽亂。上舍據義以鎭之。潭獨無事。亂定。朝廷發策。問三政矯捄之冝。上舍草對。數十萬言。極陳端本淸源之道。呈之府。府使見其文多觸忌諱。懼而却之。今皇帝三年丙寅秋。法寇陷沁都。中外大震。京城戒嚴。宗親府召募義旅。上舍激惋流涕。傳檄湖南諸邑。倡率宗室。會于潭之九嚴。刑馬爲盟。伏劒而起。直趨京師。邑守道伯。皆感其意。禮而送之。蘆沙先生聞而壯之。寄詩致意。在道牛酒來犒者相屬。而上舍皆却之。秋毫無犯。沿路大悅。及入京。寇已退。而上舍爲八路義旅倡矣。入政府見時相。爲道來意。錄事語少慢。上舍勵色呵之。時相爲之動容。偕詣本宮謁大院君。大院君喜甚。奬慰備至曰。吾宗有光矣。因問善後之策。上舍對曰。爲政之要。在於得人。得人之本。在於讀書以明理。閤下秉政以來。一國想望風彩。而民日困政日弛。至於妖寇乘間者。乃閤下不讀書之故耳。願閤下視務之暇。涉躐經史。鑑興亡而驗得失。以施于有政。當是時。大院君威震一世。而勸之讀書者。惟上舍一人而已。觀者如堵墻。無不竦動。大院君亦虛心嘉納。惓惓目送之。及退。屢稱其氣節。而上舍不復往謁。傾槖中金。納巡撫營。以助軍餉。遣人祭沁都殉節尙書李公是遠兄弟而歸。自是。上舍名播當世。遠近嚮慕。而上舍益倦遊。間因璿派大宗會。一再至京師。而不肯覊留以圖進取。故前後屢中文科初試。被選應製。而終未大闡於蔭仕。亦被剡擬望而已。上舍不以爲意。一日。出都門。沈佩刀於江曰。以此爲別。遂去不復來。時會族戚朋友。講論道義。日以圖書經史自娛。每誦四書易繫辭武侯出師表靖節歸去來辭。尤喜讀紫陽綱目曰。千古龜鑑也。上之二十年癸未卒。壽五十九。陽園居士曰。上舍之孫前博士光秀。聰俊嚮學人也。嘗爲余言。吾祖事親孝。居喪盡禮。友于弟姊。睦于親戚。以及鄕黨朋友。勤儉以處家。刻勴以飭躬。行誼多過人者。値丙子大飢。傾家資以賑隣里。賙窮急難。若恫在己。每對鄕人。諄諄言孝悌忠信。故至今樵牧婦孺。語到吾祖。往往有泣下者。然遇辨義理嚴淑慝。則凜乎有不可犯之色。髥爲之張。此則光秀所親都記也。至其一生歸依於蘆沙。燕談默侍於尺雪之夜。冥然契合。充然自得。則其境有未易窺。而晩好讀史。輒掩卷噓唏。慷慨若不自勝者。吾未知其有何懷抱也。嗚呼。味光秀之言。可以知上舍矣。叔季以來。世少全材。靈慧者。其德薄。幹能者。其志陋。號稱學問者。多偏迂而不適於用。如上舍者。兼有才氣德量。而見得大義。不畔於道者也。豈非所謂全材也耶。天生全材。而不見試時也。於上舍何損焉。光秀世其學。庶其有不食之報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蘆沙先生送石田進士赴義韻 尹喜求【于堂】聽唱蘆中老子歌。石翁當日事如何。鷹揚早自伊吾得。龍種天生慷慨多。展策無階仍蠧篋。沈刀寧忍復漁蓑。文孫相見滄桑後。悵望江南落木波。閔衡植【又荷】出師表作醉餘歌。夷舶當時奈棘何。伊世恬嬉憂已切。似公忠義見無多。聊將花樹擐金甲。還向江湖理綠蓑。安得九原今復起。塵氛一掃息鯨波。柳興韶【惠山】泣血王孫誓凱歌。白衣赴敵奈時何。側身宇宙腥氛暗。奮袂風雲正氣多。沁水輕投三尺劒。石田虛老一耕蓑。死當褁革無窮恨。公獨儒門馬伏波。頭戴儒冠出塞歌。滿廷文武計無何。春秋大義蘆門重。星日孤忠草檄多。學力曾添花上錦。時論空歎雨餘蓑。生三事一恩難報。恨入江都不盡波。君恩未負鹿嗚歌。血詔催人不起何。白馬同盟誰復在。黑龍餘恨至今多。手持霜雪新磨劒。淚濺江湖舊釣蓑。朝野百年無異議。中流砥柱屹頹波。高光洙立馬金城發浩歌。指天誓衆死如何。工夫列日淵源在。肝膽爭秋義氣多。晩志還辭登樞要。初盟肯許老漁蓑。當年感憶沈刀事。漢水至今嗚不波。金光祐尺劒酬君一曲歌。聞風西寇退無何。自將南土衣冠衆。不使東方蹄跡多。名顯早登司馬榜。身閑晩着老漁蓑。經綸大策盡三政。汪若文章河海波。金文鈺瞋目登壇慷慨歌。男兒裏革正如何。義聲千里編軍壯。熱淚平生爲國多。鯨血未添靑海浪。戎衣換著暮江蓑。廟堂肉食皆公似。漢水當今也不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시권(試券) 3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적는 명지(名紙)가 없어서 누가 작성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또한 상단부 내용이 누락되어 시권에 대한 정보(시험과목, 시제 등)를 알기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原韻 雲水南天濶別離。春逢如夢轉相思。孤懷明月沈吟夜。强對黃花獨醉時。暮年舊契靑山在。塵世浮榮白首奇。一箑秋風知有意。卷舒惟我各隨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桐江 萬樹陰陰爽若晨。安排亭子盡淸新。大野東南村似市。明沙上下鷺如人。七里難鳴懷古蹟。一竿雨歇洗囂塵。從今絶俗歸來地。何處靑山是富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中節 浴蘭歸杖倚庭松。荊楚記時有古風。鬪草少年遊地上。頒永佳節屬天中。樽香到處斟菖綠。臂血誰家染蜥紅。不願艾人門設禳。題來帖子似歐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夏日。登俛仰亭 依微一閣鎻烟雲。當世風流老相君。疊疊重城山斷續。茫茫大野水平分。去年酌罷黃花節。此日筵開碧蘚紋。小子登臨多感舊。摩挲家蹟立西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月旣望 招呼舊伴臥篁林。怳爾羣仙坐太陰。鶴去千年江上夢。人來一夜酒中吟。天光寥廓殊前後。月影徘徊自古今。却笑浮生做不得。悵然回首意沈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奇魯喜【晩衍】文 嗚呼。天胡賦兄以至淸至粹之氣。兼之以俊偉絶倫之才。而不幷假之以壽。亦不畀之以位。使不得展布其所抱之萬一。終於巖穴蓬蒿之中乎。壽夭窮通。數也命也。數與命之至。奈兄何哉。惟宗族稱其孝。鄕黨稱其禮。朋友稱其信。俾僕服其愛。訃聞之日。莫不相與失聲而弔。或未識面而亦長吁齎嗟。其不有平生行誼之悅服於人。能若是乎。嗚呼哀哉。家切黔婁之貧。身抱東野之悲。甘旨之供。未嘗闕焉。愉色之養。未嘗改焉。昔我初謁函丈於卓谷。年纔志學。幼志未袪。而待以通家。同卓共衾。從此拜函丈。輒退入子舎。娓娓切偲。三十年餘。一日如也。且我生不辰。崎嶇命薄。備經百毒。疑則質之。難則救之。雖兄弟手足。何以加焉。歲初謁函丈於新寓第。探宿患。尙能飮啖。而猶不廢晨昏。竟夕歡笑。不以病情而有所闕漏。心賀其窮陰已退。陽和在前。庶可以休復不遠矣。翌朝。愀然向我道吾今備矣。深懷不須言。而恐難與知舊更對。尤可恨者。不得出龍江一步地。與乃久相訣。吾意乃久之宿疴漸劇。朝晡之相訊益遠。有此悵別之語矣。承訃來哭。又聞乃久之訃於敦所。始覺向日之語。明告於我。而我之愚迷。尋常聽過。嗚呼哀哉。乃久之篤老下情景。卽吾兄之情景也。自知不久於世。而亦知乃久之免不得長逝。則以我謂忝在知舊之列而有是語耶。高堂有親。以兄之孝不得終養。其可恨云者。今而後知之。然則兄前日之悲。其悲乃久乎。抑將自悲乎。我之今日之哭。其哭乃久乎。抑哭吾兄乎。厚夜逢乃久。倘說在世友最善哭之甚悲耶。嗚呼哀哉。兄之返此眞宅在卽。而未哭之前。進無可慰之語。旣哭之後。退無資益之警。入兄之門。如兄之悲者。何限。族叔士永。赴擧漢師。不得與之周旋於永訣之地。尤覺沖悒。見今海舶煽擾。中外憂懼。將不知來頭之有何急警。而無可與議於遠慮。有誰如粤丙寅之多所指畫於吾也。嗚呼。昔者把盞而歡娛。今也酹樽而拜哭。萬種心懷。荒蕪數言。非但爲吾兄悲。亦實爲自家悲也。我髮已蒼。我疾已痼。如此軀殼。亦豈能久存乎。從今與三孤胤。勉其耕讀。奠其居室。而勿替舊好如兄在時。以終吾餘日。如此而已。以此奉慰。亦以自慰。庶幾諒之。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南侯【廷顯】文 嗚呼。自公下車。獲拜于黌。爼豆禮勤。講習化興。觀感薰襲。芝醴根源。舃爀名門。奕葉蟬嫣。治傳傳譜。才製鄭錦。雁鶩化浴。豚魚信感。村狗夜眠。廳鳥畫回。水晶爲燈。氷玉可臺。輿情浹洽。庶幾消息。移除畿郡。潭民無福。如陰失庇。如乳失哺。民爭界上。願無遽去。燉煌之懷。潁川之思。士庶挽車。媍孺遮途。茫茫者天。云胡不恤。行路咨嗟。市街歎惜。方謠何暮。遽悲薤露。來以皀蓋。去以丹旐。願將衣冠。留此桐鄕。民樸俗野。遺愛敢忘。古有東岳。今睹龍村。龜頭巋然。綃像儼尊。公其無歸。其保其依。門戶有託。庶幾無憾。鴒原正卿。鯉庭三品。蘭茁成林。川至未艾。誰秉杠筆。續傳循吏。以此慰公。何以自慰。我田我耕。我書我讀。如非官惠。無以自恤。我淚如雨。我心如割。綿酒緘辭。山哀浦思。辭蕪薦薄。庶幾鑑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悲駿馬 千金可惜喚靑樓。櫪上年年志士秋。日暮城南彈劒罷。江山萬里信回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駿馬喜 飽喫靑蒭復剪騣。依然毛骨畵圖中。秋風驕踏天街路。料理平生報主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問駿馬 漢帝方求大宛騘。至今先數貳師功。爾何生晩千金市。不見仙槎渡海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駿馬答 漢代金吾不願逢。長驅萬里覔侯封。爭如遭値昇平主。玉勒金鞍駕六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高來七【廷憲】寄新曆。【廷憲號復軒。文科官承旨】 還鄕何日不相思。寒盡山中又歲時。試把新蓂尋甲子。故人顔面卷中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光山望圭峯。有懷。 瑞石層層瑣碧琅。桂花零落白雲長。千林雪月今宵恨。未上圭峯向洛陽。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