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烈婦孺人尹氏行狀 尹氏旣葬之翌年冬。其夫弟鄭明三甫。述遺事若干言。來示曰。我伯嫂。淑德懿行。擧世所知也。士林之褒揚。懸官之論薦。可謂備矣。惟是載諸家乘儀型。我子孫者。宜有辭而闕焉。子其圖之。念余以未死爲罪者。雖曠世有感焉。則今於烈婦之狀。敢以不文辭乎。按尹氏其先。海南人也。上世爲勝國名閥。至本朝。益顯。曾祖諱。祖諱。皆含光不任。父諱濟民。娶耽津崔氏女。以辛未月日。生孺人於康津縣金輿村之寓舍。纔三歲而父沒。孩提有至性事母夫人。極孝敬。一日。與隣兒嬉。聞其呼父。歸而問諸母曰。吾爺安在。母泫然而顧靈筵曰。在此矣。輒哀號竟夕。自後不復跡門外。鄕里驚歎。稍長淑慧。曉義理。常以古女士自期曰。臨難而得如竇氏女。陳氏婦。則幸矣。家素貧。假貸不給。晝夜勤紡織。以供菽水。匱則傾箱篋心繼。而必致異味也。母善病。當寒必劇。與兄邦衡。左右扶護。須更不離側。或夜起禱天。露立達曙。母悶然止之。則曰夜不寒也。疾瘳乃已。及庚寅冬。許嫁鄭氏。旣卜日。母夫人以鄭君。嘗再醮。有二女。年紀多而貲産儉也。欲却之。揣其意從容言曰。此命也。論財背婚。非義也。先約後遁。非信也。以一女子之故。而納吾親於無義無信之科。則其何面於親戚乎。母義之遂成婚。閱三月。而鄭君。一請東床說。二女子失怙。仱傅孺人爲之惻恒動容。二女子聞之。亦日夜感泣。待其歸如赤子也又一閱月。而鄭君遣毒癘危篤。孺人聞之。郞治道將發。泣而辭母夫人。曰去而不返者。必此行也。聽者莫不憐之。果未及門而疾已革矣。先是。鄭氏諸族。知孺人之有異行。恐其遽聞而自引也。停哀聚傍舍。使女僕要于路曰。可暫歇而人視疾也。孺人至則促女僕。直扺病寢前。一座不得已擧哀以迎。而若不聞也。獨詣床開衾。診軆脉審顔色。知其不可爲然後。扶屍哭擗。旣絶而蘇者數矣。明三。哭且言曰。吾兄已矣。尸吾祀者。惟嫂氏耳。嫂若是。於先廟何。二女子。又握手而號曰。母若是。於吾曹。孺人於是稍定。囑二女子。詢庇喪之節。而其衣服附身者。皆自縫焉。至於襲歛飯含靡不手檢躬當必誠必謹。雖蒼黃急遽之中。戚易中禮。若素諸者然。時染氣彌一室。僮僕俱濱死。惟明三。敦喪事。旣殯。强乞出避曰。立嗣是大事。今不可遽議。願叔自愛。以俟整頓。盖孺人自靖之意。己畫於聞病之初。而一則爲立後。二則爲同穴。姑婉辭自固。以紓家人之憂也。月餘始成服。宗黨咸集。遂泣請于至親長老曰。亡夫以累世宗子。不幸乏嗣。今又主喪無人。願以諸姪中年長者。及此未葵而擇定焉。宗黨皆曰。亦吾輩意也。乃如其言。立長爲後。卽日率育于家。指二女曰。是汝姊也。裁衣衣之。曰是汝母手澤也。間復提之以義方。恩愛洽然。孺人一自旣殯之後。晝哭夜寢。必於柩側。雖雷霆風雨之夕。身不離靈卓之傍。以染疫。彌八朔未葬。而不梳不屣。哀毁如一日。惟以襄禮之愆期爲恨。凡繫葬需。有可力及者。則預爲經紀。不欲偏勞於夫黨也。及葬日旣定。送人邀其兄至。告以營襄諸節。因歔欷曰。亡夫旣立子而將入地矣。不幸不死。吾事己了。則此後死生。固無與於夫家矣。雖或以病自盡。更無餘憾也。其兄素知其處事不苟。忖其有自決之意。大驚呵之曰。老母在堂。汝何忍出此言。卽自解曰。是設辭之言。哀慟之極。不覺縱言至斯。其兄亦然之。翌日早起哭殯。洗手作飯羹。遍餉妯娌曁婢僕曰。今日可舂粟以供葬。誘女兒隨娣姒去。曰未要精白。無專委婢屬也。家衆信之。盡就砧舍。其兄及二叔。亦偕往看占葬處。渾室虛無人。遂盥颒櫛沐。服嫁時衣。堅紉使不解。懷亡夫腰帶。及弊囊。以其絞帶爲繯。自縊于園中杏樹下。無何二女子。恠其無哭泣聲。率女僕往視之。厨房闃寂。只有亂髮空箱。抛在床席。間驚惶遍索。良久。乃得其長女抱屍號夭。以兩指自壓磨輪中。出血灌口。因齒刃䂨。以至列指皆爛。而終不救。卽辛卯十月初六日。而距葬期。爲一旬。孺人年僅二十一。是日視尹氏之爲者。無不嘖嘖然曰。一晷刻之間。而鄭氏之烈孝備矣。又曰向也。隱忍不死。以至成服者。爲立後也。立後而必待今日者。爲同壙也。親賓皆曰。然矣。禮則緣情事。或從權。遂改卜鄭君葬日。以是月某甲同時。合窆于懸南鼓鼓村後背未之原。從鄭氏先兆也。將葬。遠近來見者甚衆。莫不爲之揮涕。鄭君名明一。字伯擧。晉州大姓。菁川府院君乙輔後。參奉諱晹五世孫也。曾祖諱標。祖諱世欽。俱以行誼聞一鄕。考諱以圭。妣全義李氏。震祥女也。生于甲辰三月初十日。歿于辛卯四月初二日。得年四十八。平居與朋友信。敦親戚而友兄弟。爲鄕黨所稱。孺人歿四日。隣里爲之聞縣官。未幾士論幷起。通章至者凡數十。郡鄕人及道內章甫之齊聲請褒者。積成卷軸。而皆幷擧鄭氏女血指加事。如史家列傳。李御史審理。時收入別單。太守吳侯。轉報營門。而至今寢不行。輿論惜之。嗚呼。死豈可易言哉。士君子讀書談道。稱以烈丈夫者。臨事逡巡。或不免言行矛盾也。孺人生長窮鄕。早孤失敎。國無所濡染於耳目。而一朝遇禍變。從容謹慤。明正周詳。自送終至捨生之日。隨事而順。如遵坦路。何其操守之確。而樹立之卓也。若鄭氏女誠孝。尤可敬也已。當其始見而悲遑也。赤心孺慕之情。不待勉强。油然而不覺焉。則其視徇名惡聲者之爲。相去遠矣。以三日夫婦之誼。殺身而效其烈。以數月母子之倫。毁軆而成其孝。實天下古今之所罕聞覩也。如或爲世道而慷慨焉。則其必有立言之君子矣。玆敢忘陋。摭實如右云爾。歲壬辰陽月上澣。生員豊山鳳周子敏謹狀。石崖先生文集卷之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奇進士泰溫 少日相從覿儀親。一團和氣座上春。倀倀末路將安仰。只有澘澘淚滿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瀬執事回納 洪安窩樂仁【吏參】 省式意外。季氏委臨。已極慰滿。而況伏承下札。從審無前潦暑。靜候萬相。區區仰慰無已。宗末又伏奉促還之命。冒暑冒雨。蓳纔還衙。而病狀之越添。姑捨之。離違情事。實難堪耐。奈何奈何。從以頹屋之告。傷椽之報。聒耳溢目。無術拯濟。愁惱萬萬。先人遺稿。聖念有日。特命頃下。煌煌雲漢。弁子卷首。從此可以傳百世不杇。恩數之曠絶。罕古稀今。幽明之間。哀榮備至。感泣之極。隕結是圖。而益不勝俯仰之痛矣。然不敢廣分博傳。而念執事與他宗氏有異。一帙玆以褁上。俯諒而受。如何如何。語無次序。而季氏所遭。慘喪驚歎。今始聞之。故慰書亦後於人。悚悚所恳。非不欲優助。而今春賑事。白地擔當。官債如山。新捧尙遠。無以措手。咄歎咄歎。胎紙敎意備悉。宗末豈敢歇後。而其於力弱言輕。奈何得力。莫加公洞。下諒如何。此箇事理略奉及於季氏耳餘姑不備謝狀丁七卄六宗末服人樂仁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柳閉窩迪 文章九命入沈吟。終恠天公稟賊心。桂子寧生羅隱塚。雨聲偏澈杜陵衾。簡敦風下趍朋舊。磊落胷中洞古今。紫府遽招銀署吏。江南芳草綠愔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曺翊儁 黔臝爐鞴信難均。玉樹飛花間溷茵。蓽戶單衾共姜枕。銀臺華帖奈楊貧。百家淹貫融今古。一病支離任坎淪。莫逆平生君與我。爲題哀輓涕盈巾。中年作者半凋零。落落相望若曉星。隣蓫聲中驚起立。丹山飛盡九苞翎。隔舍相逢未數團。那知遽哭寢門前。泉臺正會吾先子。爲報孤兒老榜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宋相炫 灝氣天然得已多。春歸肺腑玉如磨。文章左海詹山斗。孝友南州視則柯。夙抱經綸期叶望。及登樞要竟吟疴。木蘭花發靈輀路。暮雨凄凄和淚沱。昨年候病枕。見我拊心胷。豈意今日哭。靑山落花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朴履信 慈良愷悌老成人。卓犖襟懷一團春。雲路手高能闡甲。朝班身退未同寅。承顔每說心中事。叙誼相爲外黨親。況與先君同甲子。感傷今古自潜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42년 진만동(陳萬東)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七年十二月日 陳萬東 乾隆七年十二月日 英祖 陳萬東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42년에 영조가 진만동(陳萬東)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한 고신(告身). 1742년(영조 18) 12월에 영조(英祖)가 진만동(陳萬東)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守門將仕滿例授'란 방서가 있다. 이는 진만동이 수군장 임기를 채웠기에 용양위부사과에 예수(例授)한다는 뜻이다. 문서 배면에 고신을 작성한 병조서리 이시양(李時兩)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9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己酉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己酉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7.1×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9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49년(헌종 15)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5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45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양자(養子) 진원공(陳元公)과 며느리 조씨(趙氏)는 곤양(昆陽)으로 이거(移去)했다고 기재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0년 진행조(陳幸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光武四年二月日 慶尙南道 河東郡 陳幸祚 光武四年二月日 河東郡 陳幸祚 河東郡守之印(2.6×2.6), 河東郡印 略1/2顆(4.5×1.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900년(광무 4)에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 1900년(광무 4) 2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행조는 경상남도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전도동(錢島洞) 제16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0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행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어머니 서씨(徐氏)와 처(妻) 박씨(朴氏)가 기재되었다.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3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兵曹崇禎三年十月二十一日奉敎 司果陳繼立爲勵節校尉訓鍊院判官者軍功崇德三年 十月 日參議判書 參判 正郞臣鄭[着名]參知臣李[着名][兵曹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55년 진후평(陳後平)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孝宗 陳後平 施命之寶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55년 정월에 효종이 진후평을 어모장군·행충무위부호군에 임명하는 고신 1655년(효종 6) 정월에 효종이 진후평(陳後平)을 어모장군·행충무위부호군에 임명하는 고신(告身)이다. 방서에 기록된 '習讀官 仍資'는 진후평이 습독관(習讀官)일 당시 부여받은 어모장군의 품계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습독관은 정해진 녹봉이 없었으므로 체아록(遞兒祿)을 지급받는 부호군에 임명하여 생활을 유지하게 해준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興陽縣幼學柳芝榮·朴八炫·申彦模等 謹齋沐上書于繡衣閤下 伏以褒忠獎節 朝家之盛典 建祠立廟 士林之公議 幸際 閤下按斧南下 仰體 仁天莫不觀感 於尙忠義振斯文之新政 則竊有興起之心者 於忠臣烈士之蹟 尤有想焉 夫本縣故判書松溪陳公諱武晟 純孝貞忠 一身兼備 炳若日星 昭不可掩 著於 國史 載於邑誌 不必疊床 而略擧其槩 泣血三年 啜粥廬墓 不脫衰經 子職盡矣 壬丁之變 再度起義 水陸俱捷 臣節極矣欽仰敬服 靡不擊節稱賞 而昔我先聖朝 以眞將軍號 特爲許獎 至於執手 而興歎不已 於此數者 可知其忠孝之卓然 爲世表矣 名載勳錄 加 贈顯秩 至今影幀 昭揭于麟閣 蹟其豊功偉烈 設享 賜額 必不後於諸賢也 是以嶺湖通章齊發 以本縣杖屨之鄕 建祠於龍岡 特一象賢祠 尙未蒙 贈諡賜額之恩 春秋腏享 芬苾難繼 此豈 昭代欠典 亶由子孫孤劣耳 又有異蹟之播於世者 公之當日所持七星釼 在於祀孫家 與新磨一般 光射斗牛 而往往天陰 雨濕之夜 則匣自動而吼不已 釼豈有神 公必有靈 向日本孫幼學陳秉斗·出身陳達聖之以松溪事績仰瀆也 急於易名 只擧龍蛇日記 不及文籍等語 故至承忠節旣如此卓異 尙未蒙易名之典 可謂士林之抑鬱 而文籍都無一張之粘連 未知其曲折 褒揚之道 益採公議 事之 題音也 爲士林者 其在秉彝 不忍泯默 通章軸與行蹟冊 玆敢粘連 褁足奔訴於繡斧之下 伏惟 閤下 還 朝復 命之日 以松溪行蹟冊 登諸 睿覽 亟下 贈諡賜額之典 一以樹百世之風 一以慰多士之望 不勝祈懇之至 謹冒昧以陳繡衣閤下 藻鑑戊辰六月 日 幼學丁斗成 柳浚錫 申纘模 宋煉 宋鎭珏 宋欽悅 柳正普 宋源 柳新錫 李鎬榮 丁日采 金斗聖 李成浩 鄭啓鉉 申俊模 宋台煉 李興基 宋夔浩 宋柱一暗行御史[着押][二馬牌](題辭)復 命之日 收公議 啓 聞向事 十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經義齋柱聯詩句 前日事元太王皮幣 今日歸明夫子春秋祥忠武節皇帝若曰 古社稷臣大哉王言唐浦奏捷宣祖賜券深河隕星神皇降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建上樑文【戊辰再創】 高時翰【長興人】鄕社有祭先賢重崇報之儀學宮建祠後生明修葺之義邈矣德表之尙想猗歟舊宇之維新恭維錦溪魯先生才器則玉質金章操守則銀山鐵壁適値倭酋之禍難不讓於蘇中郞孤衷獲奉魯儒之唱酬見許以朱夫子淵學旣承皇朝之褒贈臣子之大義益彰雖遭姦佞之斥擠士林之欽仰尤切歲寒知有松柏忠孝元非二致焉德器成以圭璋文武兼得雙全耳仰吾師於百世式覩立懦廉頑之風循僉議於一鄕詎無衆賢崇德之道顧玆舞鶴之遺墟實同白鹿之徽謨鑿深井而獲泉猶公神無往不在也儼喬泰而想像惟錦里偏得其重乎肆闢輪奐之一區用寓衿紳之永慕冠帶混幷之所絃誦彬彬春秋享奠之規籩豆苾苾嗟秉彝之罔墜遡流風而永懷不幸氣數之否衰乃有回祿之災禍噫彼聚講之堂于隨灰燼而滅湮巋然妥靈之室庭幸神鬼之呵護伊江山點綴之相物色失輝矧杖屢遊賞之墟感慨隨矚若不修創而重建無以揭虔而昭誠人神與之合謀爰究爰度土木因以營作載堂載基規矩授之於良辰仍舊礎而完爾經綸成之以不日起新檐而煥如旅楹有閒增古制之赫敞群工畢奏庶斯文之菀繽躋躋蹌蹌佇見禮成而儀備幽幽秩秩方知松茂而竹苞顧念師其道則尊其人是乃知之眞而好之篤宜使名存而實副盍亦屋修而學成得有依歸曷不竭吾於砥礪尙其陟降終當惠我以光明廟號尊嚴如爭日月之炳烺院貌淸肅怳若星斗之崢嶸謹述兒郞之拙詞敢效張老之善頌東龍岡朝日上晴空遙看錦水朝宗海流峙千年名不窮西灘上遺墟草色萋正氣堂堂誰繼者魯連明月畵梁捿南月出山光截彼巖精采至今留草木錦官城外柏森森北宸極垣中遙夜色霜雪不能移節操聊將牲酒享靡忒上昭森星日入瞻望頭邊如復洋洋在到此令人志益壯下誰得熊魚知取捨依舊山川靑只麼墓前秋色生疏檟伏願上樑之後典型不替風韻長存明薦蘋繁尤勉修飭之貞節式瞻棟宇永肩宗仰之誠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書籍總目 錦溪公贈職敎旨 二皇明遺韻復寫版 一皇明遺韻刻板 一〇岳隱集 一錦溪集 上下景賢祠誌 四育英齋默庵合稿 一韓國儒林大金 一韓國名賢遺蹟大觀 一羅州郡人物誌 一晚悔斗南合稿 一咸平郡史 一錦湌文化論叢 一咸平魯氏世譜 一石泉遺稿 一星州世譜 一默齋遺稿 一訥幸齋集 上下竹泉遺稿 一湖南誌氏族考 三院宇錄 一竹林書院誌 一韓國人의族譜 一全南大觀 一咸平魯氏文獻錄 一咸平魯氏派譜務安派 一大韓忠義孝烈錄 一鶴山祠誌 一壺亭遺稿 一大東氏族考 三觀潤齋遺稿 三溪山淵源錄 一愼齋漫錄 一松厓遺稿 一景賢書院誌 一悠南遺橋 一咸平魯氏大同譜【丙寅刊】 八卷榮江祠誌 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望瘞禮 祝奉幣及祝文就燎所 謁者引初獻官就燎所北向立 祝焚幣帛及祝文 謁者引初獻官復位獻官及諸生皆再拜 鞠躬 拜 興 拜 興平身 謁者進初獻官之左白禮畢 獻官以下出謁者還入與祝及諸執事俱復階間拜位再拜出祝闔櫝 掌饌率其屬掇饌 闔戶以降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