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成均館答通【己亥】 右回通事華陽宋子之道學尙矣斗南朴先生亦有功於後學者大矣井邑實宋子受命之地亦朴先生講修之所也故今者儒論齊發建立院宇而共享兩先生允合於公議矣不佞忝在首善之地彝衷所至謹表贊同之意惟願僉君子齊聲相應克修此擧以扶世道於無窮千萬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告由奉安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院宇開墓告文 維 隆熙紀元五十三年歲次己亥三月庚申朔二十五日甲申幼學宋圭錫敢昭告于土地之神伏以斗南先生學有淵源惟昔宋子德備道尊先生純師心近精熟闡明性理啓牖後學古阜魯陽桑梓之鄕瀛峀峨峨楚江洋洋況以夫子儼然主壁先生在左士論攸協玆涓吉辰爰始事役惟神佑之俾無災厄謹以酒果祗薦于神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尤菴宋先生奉安文 後學全義李炳殷 於皇上天東邦是佑篤降夫子如北有斗學專程朱義秉春秋惠我無窮曷忘厥庥瀛州魯陽世擅靈區載營祠廟籩豆斯儀載縟其儀衿紳躋躋靈尙不昧是安是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斗南朴先生奉安文 後學全義李炳殷 瀛山降靈先生是生淵源端的學問高明一生精力近思心經立敬爲本窮理居先造詣尤深踐履愈堅遺風餘休尙今藹然講學之地俎豆尙闕幸玆虔享公議允協況以大老洋洋主壁幽明豈殊坐春立雪卜日奉安百世無斁惟靈安兮衆心是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六年辛酉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浩 嘉慶六年辛酉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01년(순조 1)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52세)의 준호구. 1801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四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5년 나주향교(羅州鄕校)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乙卯正月日 羅州鄕校 多士 羅亮集 吳繼洙 梁時默 靈光鄕校 乙卯正月日 羅亮集 靈光鄕校 전라남도 나주시 羅州鄕校(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47_001 1915년 1월에 나주향교(羅州鄕校)의 나양집(羅亮集) 등이 영광향교(靈光鄕校) 유림(儒林)에게 보낸 통문(通文). 1915년 1월 일에 羅州鄕校의 羅亮集 등 25명이 靈光鄕校 儒林에게 보낸 通文. 靈光 佛甲面 龍山里에 사는 鄭氏가 龍溪祠의 터를 강학소로 이용하다가 그 땅의 주인 노릇을 하며 睡隱 姜沆 본손들에게 돌려주지 않자 羅州鄕校의 儒林이 靈光鄕校의 유림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영광 유림이 정씨문중에 전해 용계사의 땅을 본손에게 돌려주길 요청하는 내용. *참여자: 羅亮集 등 25명 가운데 개인 도장을 찍은 사람이 16명, 지장을 찍은 사람이 9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병인년 정동유(鄭東維)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寅十月日 幼學鄭東維 等 29人 城主閤下 丙寅十月日 1770년대 후반 鄭東維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3顆(6.8×6.8)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에 유학(幼學) 정동유(鄭東維)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상서(上書). 병인년 10월에 유학(幼學) 정동유(鄭東維) 등 29인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정려(旌閭)를 청원하기 위해 올린 상서(上書)이다. 영광군에 성균진사(成均進士) 이택(李澤)이란 사람이 있는데, 그는 대대로 충의와 절의가 있는 집안 출신으로, 부모에게 공경하고 형제와의 우애가 깊으며 학문에 정진하기를 힘쓰는 인물이다. 그래서 그를 위한 정려를 세우기를 청원한 것이다. 이에 영광군수는 동월 23일에 행의(行誼)가 매우 가탄(嘉歎)할만 하니 더 많은 실적(實蹟)을 찾아 전보(轉報)한다면 헤아리겠다고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五年六月日 李馥弼 光緖五年六月日 高宗 李馥弼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5×10.4)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02_001 1879년(고종 16)에 이복필(李馥弼)을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겸(兼) 오위장(五衛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879년(고종 16) 6월에 고종(高宗)이 이복필(李馥弼)을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겸(兼) 오위장(五衛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4년 이돈필(李敦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十四年甲午式 行郡守 幼學 李敦弼 道光十四年甲午式 靈光郡 李敦弼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4×7.1),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34년(순조 34)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돈필(李敦弼)의 준호구(準戶口). 1834년(순조 34)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돈필(李敦弼)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돈필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10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6세 기미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류씨(柳氏)는 38세 정사생이며, 본관은 고흥(高興)이다. 이돈필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과부(寡婦) 숙인이씨(淑人李氏)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乾隆四十八年癸卯正月日 行郡守 寡婦 淑人李氏 乾隆四十八年癸卯正月日 靈光郡守 淑人李氏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783년(정조 7) 영광군에서 과부이씨(寡婦李氏, 4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783년에 영광군에서 寡婦 李氏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一統 第三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