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2년 이규순(李奎淳) 관고(官誥)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六年十一月八日 李奎淳 光武六年十一月八日 高宗 李奎淳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1.0×11.0)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2년(광무 6)에 이규순(李奎淳)을 정삼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격시킨 관고(官誥). 1902년(광무 6) 11월 8일에 고종이 이규순(李奎淳)을 정3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격시킨 문서. 연호의 좌측에 '耆社時士庶年八十人覃 恩加資事奉勅'이라는 방서가 기재되었다. 이는 고종의 칙명으로 왕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는 때에 이를 기념하여 80세가 되는 사람에게 품계를 내린 것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0년 강혁조(姜赫祖) 단자(單子)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庚申七月日 化民 姜赫祖 城主 庚申七月日 姜赫祖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5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3_001 1740년(영조 16) 7월에 화민(化民) 강혁조(姜赫祖)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단자(單子). 1740년에 化民 姜赫祖이 靈光郡守에게 올린 單子. 靈光 愽山과 雲提는 先山 宗垈로 박산의 西麓은 姑母의 산소와 睡隱 姜沆의 別室墓가 있는데, 乙卯年(1735, 영조 11)에 누군가 밤을 틈타 亭子 위에 偸標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呈訴하였으나 나이가 어려 法庭에 설 수 없어 지금 다시 정소하니 偸標를 掘移해 주길 요청함. *題辭(24일): 偸標人이 누구인지 찾은 후에 推問하여 處置하라고 명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이은(李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年庚子式 行郡守 幼學 李垠 道光二十年庚子式 靈光郡 李垠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6)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0년(헌종 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은(李垠)의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 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은(李垠)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은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동고개리(東古介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4세 정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1세 경술생이며, 본관은 분성(盆城)이다. 이은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56년 강혁조(姜赫祖)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乾隆二十一年丙子十月日 行縣監 幼學 姜赫朝 乾隆二十一年丙子十月 日 靈光縣監 姜赫朝 전라남도 영광군 行縣監[着押] 靈光縣監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756년(영조 32) 유학(幼學) 강혁조(姜赫祖, 40세)의 준호구. 1756년 幼學 姜赫朝의 준호구.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二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17년 조모(祖母) 박씨(朴氏) 별급명문(別給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五十六年丁酉二月十三日 財主 祖母 朴 長孫 晋興 康熙五十六年丁酉二月十三日 朴氏 姜晋興 전라남도 영광군 着名 2 1개(흑색, 정방형), 3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40_001 1717년에 재주(財主) 할머니 박씨(朴氏)가 장손(長孫) 강진흥(姜晋興)에게 따로 재산을 주며 작성한 별급명문(別給明文). 1717년에 財主 할머니 朴氏가 아들의 죽음 이후 홀로 남은 長孫 姜晋興에게 따로 재산을 주기 위해 작성한 別給文記. *背面: 1763년(건륭28) 12월에 노비 4구의 매매를 증빙하는 靈光郡守의 背頉斜給立案이 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參判【益鉉】 客臘。因昇平趙雅。伏拜下覆書。滿幅縷縷。無異親承警誨。殊激懦衷。顧以空山樵牧之羣。何以得此。因竊念以台座經幄之佐。使不得一日之安。彷徨於鯨海之間。世間榮悴得失。固無足動心者。而天果斯難諶矣。況倚斗瞻雲之懷。溢於辭表。竊想荒歲內恤之政。朝夕菽水之供。皆中夜以思。明發耿耿。處遠爲之憧憧不已也。第審榕牕瘴霧之中。寒暄易序。台體不至損攝。私心喜幸。最善拜別二載。所得只是鬂毛之添白。當此大無。日日見聞莫非愁慘。壯散弱顚。野殍相望。卽欲不見不聞而不可得。痛歎奈何。鰲山丈席移寓本邑倉村。見今氣力。長在攝中。伏悶。傳聞令胤來覲。歸旆必自長城。距鄙門半日程。倘使之惠顧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原書 纍啓疇昔之還。猥蒙執事不以此漢爲可誅。汲引進之大賢門庭。得近夫子之光華。暫頃陪話。雖謂只謁伊川之面。若其遂生平之願而得於觀感。則豈曰少也哉。且夫退與執事。聯轡共宵。仰見高風逸韻。動盪流注。無非自坐春立雪中出來。其於先生之道之學。亹亹津津。心悅誠推。殆同七十子之服孔子。乃自語於心曰。見聞不可不廣。師友不可不擇。意者古人師生之際。其當如斯而已。亟欲會同追隨。叩其緒餘。以伸未究之忱而不得焉。則只帳然太息而已。乃者聖恩鄭重。重貶海上。行到舊驛。興言感念。自不覺盤桓踟蹰。晋至光界。宋朴兩友。次第見屈。略探尊候。不敢萌書字計。非只自畏。亦恐累及別人也。茲於圍棘之中。伏擎寵訊。先以河南後及三浦。幷發於夏內。而涉於冬初。圭復壯翫。無言其遲速。如何。中心感戢。已無可言。況其辭旨懇到。備盡曲折。雖家人親戚。未足以喩其切也。則不敏之罪尙矣。益感先施之有得於聖訓者。出尋常萬萬也。居爾歲窮。伏問伊來。尊候動止萬衛。歉歲物情。近何如。以此地所見。可占水陸無異同生。一年鬼關。百體受病。已難支吾。而地勢甚左。親候久隔。情私甚悶。餘非遠紙可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奇宇萬【松沙】 嗚呼哀哉。天乎。何奪吾文丈之速耶。公乎。何棄吾後生之奄耶。問天而天冥冥。問公而公昧昧。後生之痛。向訴無地。嗚呼哀哉。公稟得英邁。早得依歸。言語政事之科。文行亦具。視我祖猶父。視我考猶兄。視我兄弟猶子姪。五十年如一日。士友之所艶稱而相傳者也。自吾兄弟痛纏風樹。所依仰者在公。而今焉已矣。公見事之白。謀人之忠。指迷之明。士友之所相信而就質者也。自吾兄弟之失怙擿埴。所取正者在公。而今焉已矣。赴難之忠。金城之秋色不死。斥邪之義。沙谷之誄文獨存。誌善行而顯其親於沒世。殫心力而刋先師之遺文。赴政門。勸之以讀書。監千古興亡。聽者悚然。使公立於朝。則其所以啓沃輔導。菀有可觀。而年命局之。不少槩見。嗚呼惜哉。吾嘗陪先子入公之室。非無婢僕使令。公躬執爨曰。如是而後安於吾心。後吾先子捿息石展山齋。公從之。匙筯之奉。灑掃之節。以至尿屎之澣濯。必躬必親。公事親之孝。此可以推驗矣。今公逝矣。於何復覩。胤子承鶴。服公義方。年芳學碩。公之典型在玆。及時相勉。無負初心。公與吾先子在天之靈。庶可以少慰矣。宇萬不恒厥居。將寓錦城之北。公來謀使。且曰移日幸須相知。陪先師祀板。誰知此日。遂發遠行乎。誰知此言。遂成千古乎。欲言臆塞。欲書手顫。公靈不昧。庶幾鏧此。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鄭鳳鉉【雲藍】 公挺南服。重望令儀。至德門範。囂囂家規。粤自覉貫。事我先師。羽翼斯門。士類咸推。榮止進士。器合台司。趙魏滕薛。何用莫爲。三政擬策。有宏設施。政門勸讀。聽者悚祗。丙寅赴難。忠勇自持。沙谷誄文。義氣彌詞。闔族齊心。惟公是隨。量能勸業。材各不遺。款誘後生。不曰幼卑。開心洞赤。發藥盡辭。胤子克家。英邁其姿。吾黨期望。實用在玆。姿豈徒然。庭訓實丕。一長一短。鮮不有疵。一人求備。惟公當之。凡人爲學。欲爲何斯。修齊治平。外無他歧。我公修齊。旣著當時。治平之要。世雖莫知。沙誄勸讀。政策義旗。於此四事。所蘊斑窺。以功未就。疇敢公疑。公實自盡。無憾無怩。湖人有言。我非阿私。丘珍治任。歲凡幾移。所可仰依。公未甚衰。天奪斯速。今焉已而。几然堂斧。猗彼園埤。嗚呼眞宰。若之何其。英靈不昧。有鑑我悲。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시권(試券) 1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적는 명지(名紙)가 없어서 누가 작성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또한 상단부 내용이 누락되어 시권에 대한 정보(시험과목, 시제 등)를 알기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李同福【鶴來】赤壁韻 秋遊隱約夢中開。水滿江磯月滿臺。水月知夫今夜客。坡仙去後鶴重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村居書事 禿盡胡羊筆一枝。郊亭入望畫中期。巖疑白鶴先天夢。松現蒼龍倒地垂。落靄微微依戶近。斜陽冉冉下窓遲。歲華欲爛人多感。却似江南送客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新正。憶京中舊遊 昔年今日客遊西。紫陌行人盡醉泥。貴里騎從銀轂繫。畫樓歌舞錦燈低。疏梅不負寒人屋。嫩柳如期野老溪。只有家人椒酒釀。淸狂自適任提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村留約會飮 起問江村信息來。浪吟先下讀書臺。君歌轉妙終難和。我量殊寛幾倒盃。時早柳絲將半嫩。春寒梅萼未全開。烟霞正在晴沙月。更理蓑舟上岸苔。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