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淑夫人玉川趙氏輓。【趙氏。興縣監。樂臣之夫人。先生之三從叔母。】 一子三孫八耊兼。婦人祺福筆難添。風從謝氏爺孃得。孝及陳家娣姒覘。龍釰向來曾掛壁。鵲橋聞已遂拼簾。明時紫誥休官意。色養賢卽仕亦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吳時燮 靑雲何必許靑襟。與子幽期共斷金。孤月錦鄕論倜儻。別天銀界任浮沈。陶潜旣醉三農喚。阮籍雖貧一客臨。玉笛凌秋遺韻沒。竹枝歌裡鴈南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93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八年六月日 陳邦一 乾隆五十八年六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0×9.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93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93년(정조 17) 6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李牧使大永 豊山門戶有棟梁。人說南洲孝友良。策對治安今董賈。文成敷秦古班楊。淸時側耳朝陽鳳。暮年委身北牗牀。可惜靑山收俊傑。春婆一夢枕黃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縣監履錫【贈左贊成 南國生文章。超然翰墨場。暮年趍魏闕。少日八周庠。聖渥鬢雙玉。經綸書一牀。病吟終未起。鄕國哭人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林縣監性運 下車先問徐孺子。石老生涯屋數椽。晩學遽然嗟永訣。梅堂無客榻空懸。天遣巫陽召謫仙。遙瞻下界帝應憐。人間歲月渾忘酒。榮辱悲歡七十年。妙歲文章士。衰年劒履班。天應嫌早達。身亦値多艱。白首脩門阻。黃梁一枕閑。空餘君子宅。停盖望靑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吏判良浩 直方持德盡天心。餘事文章冠士林。晩展溟鵬千里翼。云胡一疾竟沉沉。銀臺淸要郞殊思。山斗聲名聞九閽。後祿其廷應食報。成行秀出好兒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正言宅入納 同上 此來歲周。聲徽渺然。日夕祗勞瞻懸。春寒尙峭。將攝起居。伏惟護安。嚮者恩資。雖知早晩間事。而系是異數。此心爲之欣喜。已不可言。況復闔門榮感。將何以報答萬一耶。馹召已下想。必華旆入京。而滯此嶺表。無由拜賀。豈勝悵往。族弟慈患危重。臨科束裝。未免還停。胤君來京。而未卽相見。可歎。聞欲入山。方此欣企耳。神思煎撓。下備。伏惟令察。甲寅二月旣望。族弟文榮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主簿執事八納 趙寅釆 卽承惠札。謹審夜來。直候萬勝。慰賀區區。陞叙之典。仰認御者。惶感之極。而僚末之特蒙陞六。寔出意外。伏不勝兢蹙之至。書末所示。旣出六之後。以直長持被。斷無是理。今日有開政之命。必得出代之事矣。閱朔作僚。倐爾分張。悵缺之懷。如何可喩。當一乘隙進穩。姑不備狀上。甲辰八月念日。僚末趙寅釆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持平宅入納 洪文榮 國有大慶。八域鼓舞。伏惟近熱。調中起居。不瑕有損。久未奉候。甚以爲悵。亦晩執事之無一字相問耳。胤君。相守漸久。益覺人品之非凡。有子如此。他復何憂。獻賀萬萬一麾旣難。鳥衣尙遲奉拜無便。令人悵然。渾室凡百。俱得安過耳。餘便忙。不能長語。伏惟下照。寬甫許去書。卽傳爲望。庚戌六月二日。族弟文榮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李馨福 生幷一鄕道亦同。百年交契托麻蓬。已知餘事文章藝。久仰居家孝友風。大小嵬科非僥倖。經綸素志樂貧窮。知申病未趍恩命。速奪悲懷訴上穹。一疾支離已十年。癯容骯髒最堪憐。神明扶護惟相待。萬事嗚呼忽九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僉正樂宰【改名義宅贈吏判】 我宗翁南坡子。簡易姿器揮然。志存文章大家。譽蔚士林群賢。八九歲童穉日。驚人語吐鳳聯。未三十弱冠年。孝友稱行義全。蓮榜桂籍通名。秋曹銀臺陞遷。事業於公快成。昌大我門嬋妍。十三歲二竪嬰。安素履志益堅。吾先子深推許。命小兒共周旋。非但敦睦有素。抑又遺訓不瘨。斯翁去後死悲。拜先君聲息傳。靑山四面白楊。落落親朋吾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注書致榮【正言】 追惟先誼傷心。小子登門幾佩箴。未布經綸綿一病。彼蒼之理渺難諶漢舘殘燈夜。蒼茫問藥人。吞聲心幾熱。提耳敎猶頻。璿錄新雖整。經綸未及伸。文章餘事業。忠孝寔無倫。位高才未展。一病奈艱難。謝事安歸後。遺香有一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2년 진상한(陳相漢)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二十一年三月日 陳相漢 康熙二十一年三月日 肅宗 陳相漢 施命之寶(10.2×10.2)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682년에 숙종이 진상한(陳相漢)을 보공장군(保功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682년(숙종 8) 3월에 숙종(肅宗)이 진상한(陳相漢)을 보공장군(保功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壬三別加'란 방서가 있다. 이는 임술년(壬戌年, 1682) 3월에 받은 별가(別加)라는 뜻이다. 문서 배면에 고신을 작성한 병조서리[兵政吏] 김대준(金大俊)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소지(所志)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二月日 城主 癸巳二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2顆(6.8×6.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사년에 진달규(陳達圭) 등이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계사년 2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진달규(陳達圭) 등이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여러 사람의 이름이 보이나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내용은 산송에 대한 것으로, 산소를 투장한 김지연(金至淵)에게 관에서 2월 14일까지 이굴(移掘)하도록 했는데 기한을 넘겨도 지키지 않았기에, 김지연을 잡아 그 죄를 묻고 굴이(掘移)하도록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동월 18일에 '김지연(金祉淵)을 잡아올 일'이라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癸卯式 幼學 陳天錄 改名 達佑 癸卯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着押] 1顆(7.0×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진천록(陳天錄)이 개명한 이름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9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39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8년 진행조(陳幸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光武二年二月日 慶尙南道 河東郡 陳幸祚 光武二年二月日 河東郡 陳幸祚 河東郡守之印(2.8×2.5), 河東郡印 略1/2顆(4.4×2.4)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98년(광무 2)에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 1898년(광무 2) 2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행조는 경상남도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전도동(錢島洞) 제16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8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행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어머니 서씨(徐氏)와 처(妻) 박씨(朴氏)가 기재되었다.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3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