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6년 강재윤(姜載潤)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四十一年十月初三日 姜載潤 乾隆四十一年十月初三日 英祖 姜載潤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1_001 1776년(영조 52)에 영조(英祖)가 강재윤(姜載潤)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의금부도사(行義禁府都事)로 임명한 고신(告身). 1776년에 英祖가 姜載潤을 通訓大夫 行 義禁府都事로 임명한 告身. *姜載潤이 通訓大夫 行 義禁府都事로 임명됨. *背面: 吏吏李之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657년 모(母) 김씨(金氏)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順治十四▣▣▣七月十七日 財主 母 金 子女▣… 順治十四▣▣▣七月十七日 金氏 子女 전라남도 영광군 着名 3 1개(흑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40_001 1657년(효종 8) 7월 17일에 재주(財主) 어머니 김씨(金氏)가 5남매와 서자(庶子)에게 재산을 나눠주며 작성한 분재기(分財記). 1657년에 財主 어머니 金氏가 5남매와 庶子에게 재산을 나눠주며 작성한 分財記. *筆執: 家翁 三寸姪 童蒙敎官 秉節校尉 前 行 忠武衛 副司果 姜時億 *證人: 家翁 三寸姪 生員 姜時說 *證保: 家翁 三寸姪 幼學 姜時奭 *背面: 婢玉芝二所生婢千金果同婢一所生奴山伊二所生奴傑伊三口丙戌年盧宗世前放賣的實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549년 이준영(李峻齡)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嘉靖二十八年五月日 李峻㱓 嘉靖二十八年五月日 明宗 李峻齡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4×10.2)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03_001 1549년(명종 4)에 이준영(李峻齡)을 중직대부(中直大夫) 행(行) 마전군수(麻田郡守)로 임명한 고신(告身). 1549년(명종 4) 5월에 명종(明宗)이 이준영(李峻齡)을 중직대부(中直大夫) 행(行) 마전군수(麻田郡守)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좌측에 '己五別加'라는 방서가 기재되었다. 이는 기유년(己酉年, 1549) 5월에 받은 별가(別加)라는 뜻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이곤(李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咸豊二年壬子式 行郡守 幼學 鰥 李坤 咸豊二年壬子式 靈光郡 李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2), 靈光郡戶口(흑색, 12.2×3.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52년(철종 3)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52년(철종 3)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곤은 영광군 마산면(麻山面) 신촌(新村) 제1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73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이다. 아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작성된 외조는 이곤의 빙부(聘父)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곤은 1831~1849년 준호구에 이이곤(李以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宋叅判【宗洙】 最善蓄私疑未決。窮鄕罕所質正。今日不揆分踈。敢以爲請。最善祖考在世時。以德行服一鄕。今下世未久。徵之在耳目。最善不敢廣有稱述以傷體貌。大抵祖考有卓異之姿。風儀偉然。襟懷夷曠。其於米鹽細碎。澹然一不屑意。所喫緊者。性理之書。而尤邃於禮。行之。必以讓爲本。常誨最善輩曰。吾先世至德大君。有泰伯之讓。僖安公讓宗祀。秋城公讓富貴繁華。後裔當以禮讓爲繼述先務。此蓋以身敎。非但以言而已。此是平生宅心行己之大略。而至於鉛槧詞章之事。自丁憂廢擧。絶少述作。每良辰淸景。輒芒屩逍遙於花柳山水之間。或朋友邂逅。情融意到時。有不能掩於吟哦者。然而隨卽散棄不收。子姪或欲藏弆。則必呵止之曰。此何足費紙乎。子姪亦不敢違越。習以爲常存者無幾。今日最善家親及伯父。猶以先意不許。不敢有所裒稡編錄。以圖壽一家之傳。最善於此。竊有所惶恐者。祖考之不自收咳唾。其微意雖不可知。而以不肖愚見言之。則文章是德行之末。壽詩又文章之末。而近體律絶又詩之末也。宜乎祖考之不數數於此也。亦無用收拾爲。而到今墳墓草宿。儀形永隔。此雖非所嗜好。一音一響。亦豈非精神心術之所寓乎。若不及今收拾。至於日遠日忘。則實非私情之所敢安也。是以。輒敢私自葺錄總若干首。粗成一秩。而此非先祖考本意。則其事體。畢竟如何。若使古人當之。又當如何。執事以詩禮傳家。竊以執事之所許。卽通國之所不禁也。幸賜一言於卷端。則使最善奉以有辭於家庭。而其於子孫述志之義。又何如哉。此區區之大望也。覼縷至此。惶恐惶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奇德叟【亮衍】 別後信息。每因月松承聆。卽拜惠問。仰賀不較之盛。仍審秋來。仕體萬禧。滿幅縷縷盡傾。若奉晤殊慰。第念兄豈以用天因地而爲孝。惟在於立揚以顯。宗黨知舊之望於兄者在此。至於菽水之供。伯叔季及賢胤在焉。何憂之有。弟因省楸行。每謁尊府而賀五福中康寧尤多。他日萬鐘祿。不如今日奉檄之喜。幸早圖之如何。會一筮仕。不足爲此友賀。而在吾儕。豈不爲增光乎。但素貧之家。漸上百尺竿頭。事育之節。杳無畔涯。而今春遭其割半之痛。斯人也而天不悔禍。若是之甚乎。月皐兄造望。可知公議之尙在。師集刋役事。過三之二。而財無繼至。漸爲弩末。想已詳聞。不須疊陳。而目下當用紙五十五塊。東西補得。無術以繼。會一勞焦。傍人視尋常而袖手。如弟無能者。束手無策。實所兢惕。善後之策。惟望於兄。勿以身在局外自處。言及於貴門與及門諸益。以爲就緒也。弟不才多病。宜其坐守空山。而病鷹在篝。或聞秋聲在樹。則夢翮於海山舊路。奈毛羽頹落何。時耗不堪言。而只切嫠憂而已。正言丈久喫風霜。莫非命也。永叔信宿回鞭。不亦快哉。惟千萬保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圭容【晦峯】 圭容少也。得聞蘆沙奇先生之門。有學問節義之兼備。而爲函丈之所期許。諸子之所推重者。石田居士李公。諱最善。字樂裕。是也。今其嗣靑皐承鶴。其孫博士光秀。亦世其家聲。於不休哉。博士以公倡義錄一通示余。余敬受而讀之未半。自不覺擊節歎賞而繼之以隕涕也。蓋我先帝三年丙寅。法夷闖發。來泊于江華洋中。京師震驚。宰執奔竄。自上有哀痛之敎。公掩卷太息曰。此賊。是天地間非常妖氛。斁喪彛倫者也。誓不與共生。倡率鄕兵。罔畫夜直上。賊已退矣。雖莫試其撑拄宇宙之氣。而滿腔忠赤。固有所素養。而不負皇降之衷。則實非一時慷慨者比也。嗚呼。今世何世。使公當日設施籌策。向前廝殺。醜類靡遺。則安知夷狄之禍不至於今日乎。曆數嬗變。太歲重回。志士仁人傷古悲今之懷。烏可已耶。其顚末。諸賢之纂述。已自詳悉。亦想太史氏大書特書之不已矣。自顧頑鄙。復何敢贅之。聊書感慨于中者以復之曰。願將此錄。亟付諸剞劂氏。廣布壽傳。使後之人。知所仰高山而行景行。則其於免獸爲人之方。庶幾一助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石田翁詩稿後。後學宋泰會 白頭風雅著丹衷。爭似秋城氣色雄。一旅義聲三政策。湖南士女誦無窮。己揀金沙覔句辰。敲椎寧借後來人。小同觧述康成意。不要誇多要選眞。持贈長鞭發浩歌。蘆門衣鉢孰爭多。澹軒回首那堪望。漢水無心尙舊波。寧翁狀德不遺辭。却恨論詩未暇爲。莫把文章看一藝。遡從忠義始眞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山書院配享時。光州儒林通文 右通諭事。伏以。古者。鄕先生沒。鄕人祭于祠。況生而爲一世矜式。而爲百世師表者乎。自朝家。醊享聖廡。自士林。建院爼豆。在古不忒。在今不差。惟我湖南蘆沙奇先生繼開之功。實爲百世師已。自先廟。旌招累降。恩禮隆重。惟建院一事。尙云晩矣。今聞院役告訖。將設爼豆。後人之責。如有待於今日。旣享先生。則門下諸賢中道德文章節義三不朽者。有一於此。同是配食。亦出於公議之攸在。而故進士石田李公最善。學問造詣。旣著當時。丙寅倡義。尤其大節。故蘆沙先生贈言曰。琢磨澡潔。鄕黨服義。朋友稱信。早年上庠。其文華也。倡宗赴難。其氣節也。勉菴崔先生曰。高風逸韻。動盪流注。無非自坐春立雪中出來。陽園申尙書曰。談經禮說心性。得其心法。天生全材而不見試。寧齋李侍朗曰。忠君愛國。畎畝而不忘。板蕩而愈奮。慨然有節義之風。其外諸家筆。不可枚擧。而叅以諸賢之論。則公之不朽者在玆。又非後人之所可疊論。而可合於配食。伏願僉君子。博採當世之公議。同時躋配。則斯文幸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沈別檢【欠名】 若此英才老漢城。也知今古道難行。一劍磨來會未試。千詩題罷若爲情。月廩寧嫌空鶴料。早朝應䞮聽鷄聲。袁生自愛牛衣煖。閉戶寒山雪屋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原韻 稅直朝來出禁城。主人傳說故人行。黃花謾負樽前約。白首那堪別後情。上舎功名應旅夢。南湖景物摠詩聲。驛書昨問家家信。萬緒披襟一燭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人 一幅剡藤强自持。不期連席似相期。園過宿雨林蟬歇。天掛斜陽野鳥知。壯跡遊來同子長。悲歌何處吊要離。喜聞北洛多新調。合把詩筒杖下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蘆沙先生文 維歲次庚辰二月干支。門人李最善。謹以淸酌脯醢之奠。敢昭告于先師蘆沙先生之靈。嗚呼。三五道邈。淳風日渝。世無善治。又無眞儒。天下貿貿。莫知歸矣。兩程勃興。以接孟氏。紫陽夫子。嫡傳寔是。吾道大明。如日中天。逮于我東。邪說亂眞。羅麗之間。幾乎如綫。天運循環。聖祖御極。箕敎復明。儒臣秉軸。上焉而治。下焉而學。錦松垂範。貞武積德。醴泉靈芝。源根不絶。先生之降。間氣五百。聰明睿知。超羣出類。禀以淸粹。充以積累。復何道術。天下分裂。認理作氣。積弊斯拔。凉議猥筆。發前未發。一心鑑空。萬理氷釋。巨細精粗。飛潜動植。天人理氣。墳典百家。倫常王道。毫緒無差。近接羣賢。遠遡洛閩。羽翼斯道。黼黻斯文。有德有志。無位無時。悠然衡泌。卒歲捷遲。黃冠野服。固守東岡。我簞我瓢。我糟我糠。我分我命。我樂我安。爵祿屛貴。家人安貧。修德于身。受報于天。身在巖穴。名徹魏闕。禮重干旄。志癖雲林。封事萬言。白首丹心。扶正闢邪。斥洋備倭。抑洪驅蛇。一治其猷。讀書擇人。外攘內修。三政嘉謨。六條大法。規例井當。經綸密勿。勤勤懇懇。聯章累牘。眷遇隆重。恩批煌煌。邦國蓍龜。士林棟梁。素抱涵蓄。發爲文章。祖述朱孔。蹈舞雅頌。窮極藝苑。汎博詞林。史則其文。袞華鉞嚴。孝思彌篤。篤於追慕。澹對瑞石。于朝于暮。霜露之感。感動於人。事死如生。竭力新阡。以揚以顯。於身於親。愛人以德。眷眷後學。各得歡欣。人自矜式。如叩洪鐘。如奉拱璧。三朝逹尊。百世師宗。有光澹齋。趾美高峯。山嶽巖巖。江海淵淵。頹波砥立。冥途燭懸。鳳飛千仞。見處超然。鴻霄一羽。擧處飄然。小子管窺。莫能名之。嗚呼哀哉。屈伸消長。孰主張是。臘月三十。莫知微意。樑摧山頹。邦國遂空。斯文云墜。斯道云窮。道之不行。以之殉身。天乎天乎。孰云非天。小子愚騃。艸角追拜。恭惟先君。志同契孚。切偲誾侃。謙德相輸。先生之言。指我先君。專任靈臺。君無他端。先君之言。謂我先生。俱表墓道。百世可徵。行遠之楚。事大凍餒。任以心託。不曰匪爾。先君之好。贈言丁寧。誨諉不棄。示以周行。書牘盈箱。杖履屢臨。今焉已矣。安仰曷任。我有匱乏。誰錫與其。我有飢渴。誰飮食之。心燕心越。趨向造詣。過被獎許。是懼是戒。全生全歸。先生無憾。後學失依。小子尤歉。謦欬難承。侍席無期。眞宅凰山。執紼連洏。情文未備。惟有微誠。綿酒齎哀。萬曲衷情。有聲天徹。有淚泉落。英靈在上。庶幾鑑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祭蘆沙先生文 嗚呼。天道微妙。不得以聞。天理昭著。可坐而致。天之禀性。何其豊於聰明精粹而能盡其心。天之賦命。何其嗇於苦餓窮乏而不得其位。出處關盛衰。行藏隨潦霽。孟氏之不遇。命也。晦翁之筮遯。義也。貧而高臥。鍾駟其可䘏乎。窮而獨善。威武其能屈乎。得喪一任於天。榮辱兩忘於身。爵祿不入於心。顯晦與比其義。萬牛之力不得挽。一狐之腋何其美。惟有理義之悅心。自無氷炭之熾情。言其降衷。則非天之豊於先生也。言其氣數。則非天之嗇於先生也。嗚呼。羲農忽焉。唐虞邈矣。鳳鳥隱林。碩人在陸。道之難行。進不得都兪吁咈之盛。道之所寄。不越乎言語文字之正。尺紙獻猷。放蛇驅虎而使免被左。猥筆質疑。雲披氷釋而若決江河。燕居獨歎。所歎者何。中夜靜思。所思者何。斯世之憂。自發夢寐。魏闕之心。不忘蓽蓬。志挽熙皥。優哉經濟之學。資近生知。充然眞積之工。道無常師。得於遺經。則淵源何其正也。理爲主宰。氣不奪位。則乾坤亦可定矣。得片言而寶藏。每切尊仰之衷臆。覓一字而吹毫。難掩媢嫉之偏習。醇醲元氣。爲天運之否泰而然歟。冥漠大化。爲鬼神之屈伸而然歟。臧氏之沮。僞學之攻。何代無之。禹孟之功。一治之任。自有所歸。小子何懼。後賢奉質。永有辭於天下萬世。何其豊於付畀大任。以此爲小子自慰。而曷足爲先生損益哉。嗚呼。小子生之不辰。早失怙恃。艸角趨侍。恩同父子。遽奠楹之告夢。哀執燭而呑涕。非敢曰捄拔其身。而過被獎許之敎。如或忽持身不謹。而恐忝父師之訓。私纏風樹之悲。義切安放之歎。烟鎻丘珍。草宿鳳山。漠漠夜臺一閉。歷千載不復晨。賢胤其侍晨昏耶。二抱其侍左右耶。抑亦先君之續舊緣耶。杖履莫追。先生之德音。已隔千古。日月逾邁。小子之顔髮。漸迫遲暮。禮有限几筵之撤。誠未及墻室之築。聞命無才。辜負函筵。克家有人。賢抱繼述。文不足以洩哀。淚有餘而徹泉。小子豈阿其所好。後世知不易吾言。敢薦菲薄。願垂鑑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伏日。主人苦熱。賦凉字走次。【二首】 隱几幽幽午睡長。夕陽庭樹轉微凉。輕衫汗透君休說。紅女田家盡布裳。庭院無風白日長。鳴蟬時送數聲凉。塵寰衮衮如相促。欲向雲林借羽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完山旅舍【二首】 可惜風塵路。人生奈老何。白鷗偏得意。春日浴淸波。極目長安遠。春城雪又瓢。功名應有待。回馬渡南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獨不見 遊子長安去。江南海棠發。韶光獨不見。落日山蒼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