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진천록(陳天錄)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庚子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故代子 幼學 天錄 庚子式 河東都護府 陳天錄 行府使[着押] 1顆(7.5×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천록(陳天錄)의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천록(陳天錄)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천록은 아버지인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가 사망하여 대신 호주로 등록하였다. 진천록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6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36세이다. 진천록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진천록은 1843년에 진달우(陳達佑)로 개명하여 준호구를 발급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7년 진행조(陳幸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建陽二年一月日 慶尙南道 河東郡 幼學 陳幸祚 建陽二年一月日 河東郡 陳幸祚 1顆(흑색, 원형), 河東郡印 略1/2顆(7.3×2.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97년(건양 2)에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 1897년(건양 2) 1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행조는 경상남도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 제16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7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행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어머니 서씨(徐氏)와 처(妻) 박씨(朴氏)가 기재되었다.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3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해년 김두(金枓)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丁亥四月二十四日 發文 羅州 幼學 金枓 興陽鄕校 丁亥四月二十四日 金枓 興陽鄕校 1顆(흑색, 7.0×5.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정해년에 김두(金枓) 등 17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정해년 4월 24일에 나주(羅州) 유학(幼學) 김두(金枓), 이수함(李壽咸), 나성오(羅性五) 등 17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599년 진무성(陳武晟)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宣祖 陳武晟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599년(선조 32) 8월 3일에 진무성이 무과 을과 15인으로 급제하며 발급받은 홍패 1599년(선조 32) 8월 3일에 진무성(1566~?)이 무과 을과 15인으로 급제하며 발급받은 홍패이다. 진무성의 본관은 여양(驪陽), 자는 사규(士赳), 호는 송계(松溪)이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휘하로 당포해전에서 전공을 세웠으나 정묘호란 때 인조를 강화로 호종하지 못한 죄로 사형당할 위기에 처하였다. 인조가 정황을 듣고 진무성을 구제했다고 한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진두성(陳斗星)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庚午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故代子 斗星 庚午式 河東都護府 陳斗星 行府使[着押] 1顆(7.1×7.5),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70년(고종 7)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 1870년(고종 7)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두성은 아버지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가 사망하여 대신 호주로 등록하였다. 진두성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8세 계사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서씨(徐氏)는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나이는 36세이다. 진두성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어머니 김씨(金氏)와 부인이었던 이씨(李氏)는 사망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全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位置 在全南高興郡豆原面新松里天皇山北麓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松溪陳公享祀事蹟序(2) 松溪陳公의 諱는 武晟이니 自少로 勇力이 絶人하고 義氣가超凡하니 見者咸推爲非常器러라 宣朝壬亂에 奮義盡忠하야 惟其所到에 連戰連勝하니 自 上으로 引見之寵하사加以崇品之 贈하시고 丁卯之亂에 以龜城府使兼防禦使하니 壽七十三에 卒이라 其後에 多士發議하야 有俎豆之儀하니 噫라 何其盛也오 但距世稍遙하고 間經離亂하야 遺跡이 湮滅하야 而存者가 不盈其半하니 可勝嘆哉아 惟其享祀之曰에 校院各處之狀이 尙有存者하야 歷歷如見當日事하니 卽今之寶玩也라 后孫贊範庚華恐久而易泯하야 欲印刷廣布之하고 又欲使於子孫者時時寓目하니 是擧也에 尊賢爲先之誠心篤志가 備無盡矣라 安得無一言而相之乎아 故로 忘拙書此하노라歲癸丑十月上澣全義李道衡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武烈祠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明神宗皇帝祭金魯卞三將軍文 皇帝若曰邦君御史越爾虎賁伯尹東藩許國臣金將軍應河魯將軍鴻卞將軍德馹舍生取義朕心所嘉願比死者贈以上公奉行天討將軍有死之心士卒無生之氣全士大北驕虜乘便諸將偷生將軍効死寡人恥之丹心誰效白骨誰收堂上鶴髮望斷倚閭閨中寡妻石化山頭雖然寡人之恥恥而無報將軍之死死而有光秋霜大節白日精忠足以扶萬古之綱常標萬古之人臣明萬古之大義懲萬古之奸諛將軍雖死於一敗不死於萬古向使黃鉞丹誠皆是將軍將軍何死於敗恤寡人何辱於醜虜嗚呼五岳可動一節難動忠如將軍勇如將軍智如將軍獨立無輔寡人之罪也崇德報功古有令典標忠旌節今獨不然肆朕統承先王表一寸之丹誠慰九原之忠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8년 김영귀(金永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戊申二月十七日 弟 金永貴 戊申二月十七日 金永貴 고흥 무열사 한국학호남진흥원 1968년 2월 17일에 김영귀(金永貴)가 보낸 간찰(簡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봄이 온화한 이때 체후가 매우 편안하리라 공손히 생각하니, 우러러 축하드리는 마음이 그치지 않습니다.저는 날마다 하는 일이 자질구레하여 어찌 다 말할 수 있겠습니까. 제게 부탁한 무열사(武烈祠) 차운시는 글솜씨가 부족한 저 같은 사람이 감히 입을 놀릴 수 있겠습니까. 다만 선조를 위한 정성이 피차간에 같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족형과 함께 상의하여 여러 어구를 구성하여 함께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과도하게 고칠 수는 없겠지만, 교정해 주는 것이 어떻습니까. 나머지는 예식을 갖추지 않습니다. 오직 잘 살펴주기를 바랍니다.1968년 2월 17일에 아우 김영귀가 두 번 절하고 올림.또한 혹 기호가 있다면 영관(永寬) 면헌(勉軒)이고 영귀(永貴) 월정(月亭)입니다. 恭惟春和貴軆大安 仰祝不已耳 弟日事碌碌 何足道哉 下索武烈祠次韻如我無文者不敢容喙 而爲先之誠 彼此一般 故與鄙族兄相議 構數語句竝呈 此不可過塗墨 然斤正之如何 餘不備 惟祝統恕 戊申二月十七日弟金永貴再拜又或有記号 則 永寬 勉軒永貴 月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中丁國忌相値季丁退行告由 今春(秋)享祀適値國忌季丁退行敢告【中丁前一日焚香先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國恤中停焚香告由 宗社不幸某月某日大行大王(大王大妃)禮陟中外震驚哀痛普深來朔(今望)焚香公除前禮當姑停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國恤中停享祀告由 大行大王(大行王妃)因山未訖今春秋享祀禮當不擧謹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