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上洪持平于敏淸几。宋彩雲欽書【府使】 壬子初夏。南倉歷路。荷洪持憲攀荊相待。兼有送我鄕行二首瓊琚。盛意不可孤忘。拙走和還。不如水瓜之味淡而無窮也。時維四月百花殘。三見紅櫻愧木還。身似浮萍無定處。心如飛鷁下深灘。亟章【二字缺】脑襟滌。杯酒攀荊誼意寬。卄日鄕由方伯假。田園逆招反家官。非營五柳先生行。只爲候門穉子迎。四百長亭餘古宅。紫荊好處聽兒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南坡先生 洪淵泉奭周【文簡公】 古有不遇時。多悲歌慷慨之士。或隱於漁樵。伏於山澤之間者。往往。此所以志士賢人。怨時之莫知。而疾沒世名不稱者歟。吾師南坡子。好學有文。又其性卓越感古。志不在區區。每讀古書詠古史。論及古豪傑。如屈原司馬遷之徒。抱名當世。而戚戚不得志。終身轗軻而不遇賢君。未嘗不長太息而扼腕也。旣而又自勉之曰。子桑戶。棬樞之士耳。負書擔囊。試策于京師者屢矣。偶得良有司。【大提學金陽澤試士取先生】擧進士時。公年三十有四矣。遂遊於太學。【先生自中進士置京第於晦洞焉。】匹馬而下上鄕洛者。倐已十有餘星霜矣。於是。得以結交洛中諸君子。相與從事於詩文之場。吾得以師之。有以識公之志。盖要得一小縣。幸以全城之養。得奉老母。備甘毳耳。然後。將退耕於山海之岸。垂釣於滄浪之上。傲遊浮世之外。偃仰山水之間耳。然公旣寡合於世。世亦無知公者。彈鋏無憑驩之魚。十上多蘇秦之窮。其如古豪傑之士。不遇時而然耶。荊山之玉。必竢和氏之剖而後。價稱四海。騏驥之馬。必待伯樂之御而後。能致千里。公之文宏深幽遠。讀不能便曉其義。必又得哀有司而後。能擢秀拔萃。正笏明時然後。天下之人。皆得以誦公之文。服公之賢。有蘭棘梟鳳之別矣。雖閭巷之婦孺。亦皆賀有司之得人。豈有懷騏驥荊玉之寶。而無伯樂和氏之遇者哉。吾子勉乎哉。豈無時哉。莫作悲歌慷慨之士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往復書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郡守聖規 嗟我洪承宣。奄作九原容。白首故舊在。執紼慘終夕。豈意十年顔。倐與人世隔。望眼迷南國。樑月空留色。豊山大姓閥。孝悌由房闧。出身雖晩暮。立脚彌勵節。高飛不盡翰。旅舍罹風疾。歎息明良際。文華竟埋沒。南州初識荊。北洛復開榻。雅志耻熱交。心期照冷勺。中浦三冬雪。咀葩歡無極。人生多別離。文酒幾寂寞。簪花訪吾廬。雲樹舊緣續。惠省與宗署。隊逐慰聯直。墨綬吾蹭蹬。緋玉君通塞。畢竟脩短數。天意渺難測。峯峯楓嶽側。迢迢道川曲。千里勞夢想。一夕驚魂魄。馬鬛起新塋。螟嗣淒陳跡。永負萬里餞。老懷紙盈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沈佐郞誠之 表範南州迥出倫。胸中長有自家春。功名御讚文章客。器局士稱豁達人。一世風流敦孝友。百年志業在經綸。嗚呼命道天難必。空使餘生淚滿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牧使裕淳 十載長安旅食愁。蕭蕭霜髮已盈頭。棄繻當日終軍志。獻策天門得意秋。霜臺華誥又銀臺。聖主恩深擢俊材。短髮江湖漁釣興。五雲多處首頻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송전옥(宋銓玉)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卯二月十四日 ▣院 發文 宋銓玉 雲院 辛卯二月十四日 宋銓玉 雲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신묘년에 송전옥(宋銓玉) 등 17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通文). 신묘년 2월 14일에 경원(京院) 송전옥(宋銓玉), 신정태(申正泰), 송양희(宋陽熙) 등 17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단자(單子)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正月日 城主 癸巳正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3顆(6.8×6.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사년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단자(單子). 계사년 정월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단자(單子)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누가 올린 단자인지 알 수 없다. 흥양에 진무성(陳武晟) 등 삼대 공신이며 관작이 있는 묘소가 있는데, 그곳에서 투장(偸葬)과 암장(暗葬)이 발생하였다. 공신 산소에 수년간 암장한 것을 밝혀내어 파낼 수 있도록 청원한 내용이다. 이에 동월 13일에 흥양현감이 판결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丁酉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丁酉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7.2×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37년(헌종 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37년(헌종 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4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63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해년 안사눌(安思訥)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丁亥午月一日 南原 發文 幼學 安思訥 興陽鄕校 丁亥午月一日 安思訥 興陽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정해년에 안사눌(安思訥) 등 13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정해년 5월 1일에 남원(南原) 유학(幼學) 안사눌(安思訥), 최강범(崔綱範), 김인달(金仁達) 등 13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乙酉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乙酉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6.8×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25년(순조 25)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25년(순조 25)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2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51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진달인(陳達寅)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癸卯式 幼學 陳達寅 癸卯式 河東都護府 陳達寅 [着押] 1顆(7.0×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인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대덕촌(大德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4세 경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송씨(宋氏)는 본관이 문경(聞慶)이고 나이는 32세이다. 진달인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