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吳上舍保卿【時裕】 蒲團涔別離筵。往事傷心可說傳。山路僧歸叢竹寺。水樓人卧石林仙。遼東鶴語逢何處。塞北鴻啼悵去年。夾岸丹楓秋影裡。也知賢胤思悽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請洪慕孝齋【敘東】褒贈呈南平縣宰書 伏以民等。向於孝烈論薦之時。一依下敎之意。面任。報其姓名梗槩然後。自鄕中。繼以臚列。故面報之外。雖或有一二可稱者。不敢挾雜於其間矣。盖面任。則只擧其人。及子若孫之見在面內者。故其或自本縣而移他邑者。及身爲此面之人。而子孫之在彼面者。則皆不論焉。其意一出於審愼奉公。而還有不免遺珠之歎焉。孝子。故學生洪公敏東。道川人也。嘗以善事親。見稱一鄕。及其生時有所揄揚。而未蒙旌褒之典。及其歿後。其子窮困流散。方居竹谷地。故竹谷面任。則以其人之生於道川。而無所報。道川面任。則以其後之居於竹谷。而不敢擧嗚呼愛親。生民之則也。好善。秉彝之心也。雖楚人之子在越。則越人可褒。而況同井相奬之誼乎。伏乞恕其煩而採其說焉。今按去庚戌二月日。一鄕多士。聯報之狀。有曰。拱某。至孝人也。幼而愛親。克盡孺慕之誠。長而事親。能遵就養之方。出告反面。自警過復之誡。婉容愉色。多有幾諫之力。躬自丐貸。有如子路之負米。身執網罟。殆同王祥之叩冰。此則其孝之根乎天性者也。又日曾在甲子冬。父病將革。引刀斷指。垂血得甦。以延八年之壽。逮辛丑冬。宿疾添劇。又斷前割指第二節。而注血其弟啓東。從而䂨指。一時幷注。又延一年之壽。此則其孝之感乎神人者也。又曰父沒哀毁盡情。殮檖中制。葬極其禮。祭致其誠。三霜守墓。痛若一日。偏奉慈幃。益篤志軆之養。此則其孝之著乎終始者也。噫死者。旣不可媚。生者益不可誣也。當是時。孝子特寒士耳。旣無聲勢之可援。亦非風力之所使。而先輩於其生存之日。許之以負米叩冰之倫。則其不爲阿好之言可想也。初割指面延八年之壽。再割指而延一年之壽者。當時聯報之人。目見而口道之。其非爽實之言可知也。若夫廬墓。終喪。不跡中門。至今塋域之間。遺墟宛然。則其徽躅之不泯。亦可徵也。且故城主。李侯之題曰。洪某平日操行。官已知之。以是推之。則孝子之爲孝子。前後無二論。而上下同一辭矣。雖然。耳之可信。猶不如目。盖孝子之懿蹟。取諸多士之遺狀。採於故老之傳言者。民等之所耳聞也。若其事母之節。則今民等。年五十以上者。無不目覩焉。言其大槪。則耕稼漁樵。不惰肢軆。以極甘旨。苟有利養親。則雖極勞苦。不辭服力。逮其中身。以況疴不起。其崇之因。盖出於指血貧耗也。將終而涕漣曰。至誠未透。反貽毁性之譏。一不孝也。老母在堂。未遂終養之願。二不孝也。死後棺歛。務從省儉。勿以成人之禮。彰此不孝之罪。此則民等所目見者也。今者面任之枚報已盡。鄕去之臚列。亦多。後時煩達。極猥瑣。而只由居地之相左。未免美行之終泯。則凡爲人子者。孰不慨然。玆以參考狀實之文。備陳目擊之事。仰塵淸覽。冀蒙俯採。其進退可否。豈民等之所敢力哉。無任惶悚祈懇之至。【登聞于朝。贈監察。其弟啓東。亦贈監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酬南坡令兄見贈。【四首】李農隱爆【康翎縣監】 夙歲襟期凌朔皐。可歎衰老聖世遭。功名晼晩題黃紙。志業蹉跎曳綠袍。作行何心雲出峀。逢秋却羡雁飛高。新來學士頭兼白。莫笑何卽滯小曹。鶴唳淸聲在几皐。知音斯世苦難遭。經年卽署添華髮。新貴朝班多紫袍。數頃郭田蘇子累。一帆蒼海季鷹高。自嘯自詠君休笑。從古詩人隱小曹。我家何在在江皐。繞屋雲山揔周遭。偶爾名登紅桂籍。遽然身着綠荷袍。一官久滯東園直。岸夢遙牽南斗高。千里故人同作客。源源詩酒又隣曹。千秋已死九方皐。縱有纖離怨未遭。天祿校書終白首。杜陵耽句困靑袍。北山夜雨宮鴉定。南國秋風旅雁高。榮利世間皆外物。他時烟月屬吾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朴進士文煥 南國江山間氣收。蒼茫雲水永平洲。須從道學淵源得。肯把文章事業求。曾藿三時悲莫退。姜衾百載樂無由。煌煌寵秩丹旌字落。日招招望美樓。氣像楓山立。精神石瀬鳴。疇昔兄師誼。居然一夢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注書樂浚【改名羲俊吏判文穆】 天降人英佑世道。恢恢器局弁鄕邦。湖中走卒知名字。洛下諸生誦句章。長枕大被同四友。白蓮紅桂貫三場。藤床卧歷銀臺職。可惜經綸病未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沈校理能憲 德業文章一世尊。南中華閥數公門。高名朝野兼三達。懿範家庭備五敦。滄海收雲龍忽逝。蓋田餘地玉猶存。尋常士友咸於悒。誰贖百身作九原。公卧君恩重。公歸世事悲。淚霑哀輓去。芳草暮春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23년 진만동(陳萬東)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정치/행정-과거-홍패 雍正元年四月初四日 閑良 陳萬東 雍正元年四月初四日 景宗 陳萬東 科擧之寶(9.7×9.7)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1_001 1723년에 진만동(陳萬東)이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받은 홍패(紅牌). 1723년(경종 3) 4월 4일에 한량(閑良) 진만동(陳萬東)이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하고 받은 홍패(紅牌)이다. 진만동은 무과 병과(丙科) 제429인으로 급제했다. 과거지보(科擧之寶)가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6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一年六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一年六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6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86년(정조 10) 6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7년 진방일(陳邦一) 은사장(恩賜狀) 고문서-교령류-은사문 국왕/왕실-교령-은사문 丁未三月初一日 武臣兼宣傳官 陳邦一 丁未三月初一日 正祖 陳邦一 奉使之印(7.3×7.3)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7년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에게 웅어젓[葦魚鹽]과 밴댕이젓[蘇魚鹽]을 하사한 문서. 1787년(정조 11) 3월 1일에 정조(正祖)가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 진방일(陳邦一)에게 웅어젓[葦魚鹽] 1급(級)과 밴댕이젓[蘇魚鹽] 1급을 하사하면서 내린 문서이다. 봉사지인(奉使之印)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4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甲午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甲午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7.1×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34년(순조 34)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진종휘(陳宗輝)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34년(순조 34)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1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60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진두성(陳斗星)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己卯式 行府使 幼學 陳斗星 己卯式 河東都護府 陳斗星 行府使[着押] 1顆(7.2×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79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 1879년(고종 1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두성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7세 계사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서씨(徐氏)는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나이는 45세이다. 진두성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壬午式 行使 通德郞 陳宗輝 壬午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使[着押] 1顆(7.2×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22년(순조 2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22년(순조 2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9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48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진달인(陳達寅)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年庚子式 行府使 幼學 陳達寅 道光二十年庚子式 河東都護府 陳達寅 行府使[着押] 1顆(6.8×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인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대덕촌(大德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1세 경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송씨(宋氏)는 본관이 문경(聞慶)이고 나이는 29세이다. 진달인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인년 정덕선(鄭德善)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寅)▣(十)二月十五日 忠烈書院 發文 鄭德善 等 鄕校 庚▣(寅)▣(十)二月十五日 鄭德善 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경인년에 정덕선(鄭德善) 등 10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경인년 12월 15일에 충열서원(忠烈書院) 정덕선(鄭德善), 윤태권(尹台權), 권용하(權用夏) 등 10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답통이 글은 통문에 답변하기 위해 보내는 것입니다. 각 서원에서 보내온 말씀은 하나하나 잘 알았습니다. 고 판서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 1566~?) 공의 위대하고 장렬한 충열(忠烈)은 일찍이 탄복한 바입니다. 호남 선비들이 포장(褒獎)하자는 통문을 이미 돌렸는데, 하물며 우리 동향 사림들이 누군들 높이 받들려 하지 않겠습니까. 임진년과 정유년의 공훈은 생각해 보면 짝할 인물이 없고 일이 중대해지자, 고을과 관영에서 장계를 올려 임금께 전문(轉聞)되고 예조가 복계(覆啓)한 뒤에 추향(追享)과 별향(別享)이 판정될 수 있었습니다. 바라건대, 여러 존자께서는 근면하고 성실하여 힘을 다해 현창할 수 있기를 몹시 바랍니다.이는 충열서원, 신당서원(新塘書院), 경림서원(經林書院), 은열서원(殷㤠書院)의 통문에 답변한 것입니다.신묘년 1월 21일에 교임(校任) 류지찬·허술(許述)·강광정(姜匡正)·김성기(金星耆)·이동진(李桐晉)·구윤(具潤) 등 荅通右文爲奉答事 各院來諭 這這謹悉 而故 到書松溪陳公之偉忠壯烈曾所歎服矣 湖南章甫旣有奬通 況我同鄕士林熟〖孰〗不欲崇奉 而壬功丁勲思之寡儔 事繫重大 呈邑呈營 以至 轉聞 春曺覆啓然後 追 享別 享 可以判定 惟愿 僉尊且勤且誠 期於拔力揚處之地 幸幸甚甚右 荅 通忠㤠書院▣(新)塘書院▣(經)林書院▣(殷)㤠書院辛卯正月二十一日 校任 柳之燦 許述 姜匡正 金星耆 李桐晉 具潤 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